• 통합검색(1,122)
  • 리포트(862)
  • 논문(172)
  • 시험자료(46)
  • 방송통신대(37)
  • 자기소개서(5)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사단칠정" 검색결과 421-440 / 1,122건

  • 한국철학
    을 드러낼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나는 일찍이 정에 사단칠정의 구분이 있는 것은 성에 본연과 기질의 다름이 있는 것과 같다고 생각했다.성을 리와 기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면, 정도 ... 사단칠정으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실제적으로 기질지성만 존재함에도 본연지성의 개념을 사용함- 성을 그리 설명했듯이, 정도 그리 설명할 수 있다.*사단은 인의예지의 성에서 발한 ... 것이고, 칠정은 외물의 형체에 감촉되어서 마음속에서 움직여 외부에 따라 발출된 것→이후 수정: 사단은 리가 발하여 기가 따르는 것이며, 칠정은 기가 발하여 리가 타는 것 -독립
    시험자료 | 1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4.02.03 | 수정일 2019.03.03
  • 조선성리학과 율곡 이이
    의 사상 – 理氣一元論 율곡의 이통기국설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성주자 리 기 사단 칠정 ? 이황 vs 기대승 리 기 사단 칠정 사단칠정의 관계 사칠대거 理氣互發 이기호발 氣發 기발 ... 기발 칠정 사단 칠정 理 氣 사단칠정의 관계 칠포사율곡 이이 기대승의 입장을 수용 , 발전 시킴 기발이승일도 氣發理乘一途 리 , 기 ( 구분 x) 氣의 발함 칠정 理의 편승사단 ... 의 입장 내 생각에는 사단칠정을 대립시켜 말한다면 사단은 리에서 발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다고 할 수 있다 . 성정의 그림을 만들 때는 분리시켜서는 안되고 사단 , 칠정을 함께
    리포트 | 2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13.01.13
  • 영원한 제국을 읽고 쓴 노론과 남인의 사상적 차이, 그리고 우리 현실은?
    되었다. 따라서 인간의 심성에서도 도심은 사단으로서 ‘본연의 성’인 ‘이’가 발한 것이며, 인심은 칠정으로서 ‘기질의 성’인 ‘기’가 발한 것이라고 설명하여 ‘이’에 절대적 가치 ... 여 계승된 성리학설이다. 이황이 일찍이 사단은 이발로, 칠정은 기발로 설명한 것에 대해 기대승은 사단칠정을 모두 기발로 설명했으며 사단칠정 가운데 선한 측면만을 가리키는 개념 ... (이이)를 떠받드는 무리들이 지어낸 궤변이야. 기만 움직이고 이는 움직이지 않는다면 만화의 근원인 이는 허무한 공적과 다름없이 될 것이 아닌가. 이와 기는 어디까지나 다른 것이니 사단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4.03.21
  • [인간의 정서] 정서의 유형, 정서의 역동성, 정서의 성차, 쾌락과 행복의 추구
    (pride), 수치심(shame), 그리고 죄책감(guilt)을 이 목록에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동양에서는 인간의 정서를 희노애락(喜怒哀樂)으로 말하기도 하고, 사단칠정(四端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7.10.11
  • 이황과 이이의 이기론
    , 기질지성은 선할수도 악할수도 있는 상대적인 선이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나아가 이황은 본연지성, 도심, 사단과 기질지성, 인심, 칠정을 명확히 구별한다. 이황의 관점에 반대 ... 하여 기대승이 편지를 보내왔고, 이로써 사단칠정논쟁이 전개된다. 이황의 사단칠정에 관한 입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황에게 있어서 사단은 리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 것이다. 사단칠정의 존재구조는 리와 기의 조합이나, 주가 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사단은 심의 리인 선한 본성이 그대로 발동하는 것이고, 칠정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8.14
  • 조선말기 개화사상인 동도서기 사상의 형성 배경에 관한 보고서
    者謂之道 形以下者謂之器)’는 데서 출발하고 있으며 이 정의와 내포에서 한 발자국도 더 나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황과 이이 등이 벌인 조선의 사단칠정(四端七情)논쟁(이하 사칠 ... 다. 즉, 동도서기론은 이기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먼저 이황과 성혼의 입장은 ‘사단(四端)인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이(理)에서 나오고 칠정(七情)인 희(喜), 노(怒), 애 ... (哀), 구(懼), 애(愛), 오(惡), 욕(欲) - 통상 희노애락(喜怒哀樂)을 뜻한 - 은 기(氣)에 나온다는 주자(朱子)의 말을 근거로 하여 사단칠정을 엄격히 구분짓고 나아가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8.29
  • 이황
    `에 능동성·자발성을 부여하여 철저하게 氣의 세계를 理의 세계에 종속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이황은 사단칠정론에서 사단은 理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氣가 발한 것이라고 주장하여 심성정 ... (心性情)에 대한 분석에 이기철학을 적용시켰다.따라서 이황은 인간의 본질적인 성(本然之性)인 사단은 순선무악(純善無惡)인 것임에 반하여, 비본질적인 성(氣質之性)인 칠정은 선과 악 ... 되었다. 여기서 퇴계는 정지운의 천명도를 수정하는 과정에서나 기대승과 사단칠정논변을 전개하면서 인간의 심·성·정의 개념을 이·기 개념의 존재론적 구조로 정밀하게 분석하면서, 하늘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9.13
  • 사단칠정
    1. 논변의 전제가 되는 개념과 이론에 관한 설명(1) 情1) 四端과 七情사단칠정은 바로 인간의 얼굴 표정이나 언어 동작 등을 통해서 드러나는 심정들을 개괄한 개념들이 ... 는 辭讓之心, 智의 단서가 되는 是非之心을 말한다. 성리학자들이 사단이라고 할 때는 仁義禮智의 본성에서 일어나는 情을 가리킨다. 사단은 도덕적으로 純善하다는 성질을 지닌다.칠정 ... 이 있다.2) 情과 心의 관계사단칠정은 모두가 인간의 마음의 현상인 情의 부류들이다. 마음의 현상을 情이라고 하는 이유는, 마음이 자신을 겉으로 표출하는 방식 혹은 그 내용이 情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6.12.05
  • 퇴계와 고봉의 사칠논쟁(발표문)
    를 타[乘]는 것은 7정(情)이라고 주장하였다. 사단칠정(四端七情)을 주제로 한 기대승(奇大升)과의 8년에 걸친 논쟁은 사칠분이기여부론(四七分理氣與否論)의 발단이 되었고 인간의 존재 ... 하는 동안 선학(先學)들이 미처 생각지 못한 새로운 학설을 제시한 바가 많았다. 특히 스승이라고 할 수 있는 이황과 12년 동안 서한을 주고받으면서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 였는데, 이 논변의 왕복서한은 《양 선생 사칠이기왕복설(兩先生四七理氣往復說)》 2권에 남아 있다.◎ 사단칠정 논변의 배경불교를 국가이념으로 삼았던 고려왕조가 고려 중엽 이래 사회 여건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12.12
  • [철학]율곡 철학의 이해
    기’의 미묘함3)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2. 율곡은 사단 칠정의 문제를 어떻게 보았는가?3. 사람의 마음(心)과 본성(性)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1) 심(心)?성(性)?정 ... 라는 것이다.2. 율곡은 사단 칠정의 문제를 어떻게 보았는가?중국 성리학에서는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았던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문제가 한국 성리학에서는 중요한 논제로 대두되었다.사단 ... 성리학에서 논의의 초점이 되었던 것은 바로 이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문제였으며, 사단칠정이 동일개념이냐 별개의 개념이냐 하는 것이 논란의 대상이었다.율곡은 퇴계(退溪)와 고봉
    리포트 | 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06.06.20 | 수정일 2021.01.13
  • 이황의 사상
    에 대해 이황은 이와 기는 서로 떨어져 존재할 수 없으나, 서로 뒤섞일 수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둘 사이의 분별성과 차별성을 강조한 것입니다. 이를 그 유명한 사단칠정논쟁이 ... 라 합니다. 이황은 사단(四端)등의 선한 마음은 이(理)에서 나오고, 칠정(七情)등의 악한 마음은 기(氣)에서 나온다고 주장하였고, 이가 순수한 선이라는 입장에서 이의 우월성을 주장 ... 의 원리를 강조하였습니다. 이를 이기호발설이라 합니다. 이기호발설이란 이기론을 대표하는 학설로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각각 이발(理發)과 기발(氣發)로 나누어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06.16
  • 2016년 동국대학교 역사교육학과 수시 자기소개서
    와 사상 과목도 저에겐 즐겁게 느껴졌습니다. 퇴계와 율곡을 공부하며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 논쟁을 통해 도덕적 원리는 절대적이어야 한다는 이황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이황
    자기소개서 | 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6.10.08 | 수정일 2018.06.07
  • 인간의 행위와 삶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해석
    인간의 정신, 원효의 화쟁 사상, 성리학의 사단 칠정론, 실학의 자율적 인간관, 동학의 인내천 사상 등도 인간의 삶과 행위에 대해 서로 다른 윤리적 해석을 제시하지만, 모두 인간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2.16
  • 퇴계이황의 사상 정리 리포트 (이기론,이선기후의 이일원론 등등 )
    사양지심[辭讓之心]:양보하는 마음칠정:즐거움,노여움,슬픔,두려움,사랑,미움,욕심이(理):마음의 상태(사단),진리'를 뜻하기도 하지만 또 원리, 원칙, 이치 등으로 말하여지는 일체 ... 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평가4.사칠론사단(四端)과 칠정(七精)은 마음에서 정(精)의 두 가지 발동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맹자는 사단의 마음을 인간의 성품이 선한 증거 ... 로서 제시한 것이며, 칠정은 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인정으로 제시한 것이다. 처음에 퇴계는 1553년 정지운의 에서 천명도를 수정하면서,"사단은 이의 발동이요, 칠정은 기의 발동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04.20
  • 한국 윤리 사상의 흐름
    하고자 했다. 유학자들은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비롯한 다양한 논쟁을 통해 인간의 도덕성에 대한 확신과 이에 따른 도덕적 실천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예(괋)에 대한 강조를 통해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2.16
  • 조선유학의 개념
    (心統性情)8. 인물지성(人物之性)9. 사단칠정(四端七情)10. 인심도심(人心道心)11. 함양성찰(涵養省察)12. 격물치지(格物致知)1. 太極동양철학에서 만물의 근원, 원리
    리포트 | 1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12.18
  • 퇴율의 묘합적 사유 (Toe-Yul’s Myohap(妙合) Thought)
    영남퇴계학연구원 김동희
    논문 | 37페이지 | 6,600원 | 등록일 2016.08.08 | 수정일 2017.02.02
  • 2016년 동국대학교 사학과 수시 자기소개서
    과목도 저에겐 즐겁게 느껴졌습니다. 퇴계와 율곡을 공부하며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 논쟁을 통해 도덕적 원리는 절대적이어야 한다는 이황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이황과 이이
    자기소개서 | 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6.10.08 | 수정일 2018.06.07
  • 교육철학 및 교육사-퇴계이황
    의 기호학과가 대립, 부단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이는 마침내 동인과 서인 사이에 벌어진 당쟁의 이론적인 근거가 되기에 이르렀다.사단칠정은 마음에서 정의 두 가지 발동양상으로 이해 ... 할 수 있다. 맹자는 사단의 마음을 인간의 성품이 선한 증거로서 제시한 것이며, 칠정은 ‘예기’에서 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인정으로 제시한 것이다.처음에 퇴계는 1553년 ... 정지운의 ‘천명도설’에서 천명도를 수정하면서, "사단은 이의 발동이요, 칠정은 기의 발동이다."라고 고쳤다. 1558년 고봉의 지적을 받은 후 자신의 견해를 수정하여, "사단의 발동
    리포트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10.27
  • 본성에 따른 인간의 존재 탐구
    하고 있으며 그것을 유학의 인성론에서 말하는 사단칠정의 측은지심이나 수오지심과 같이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심성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인간은 짧은 순간 '내가 어떤 행동을 하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8.06.08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