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사고과정장애 조현병2024.12.061. 조현병(Schizophrenia) 1.1. 조현병의 진단기준 조현병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음 증상 중 2개 이상이 있고 각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중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극도로 와해된 행동, 음성증상 중 최소 하나는 있어야 한다. 둘째, 이로 인해 직장, 대인관계, 자기관리 등의 영역에서 기능 수준이 발병 이전보다 현저히 낮다. 셋째, 장애의 지속 기간이 최소 6개월 이상이며, 이 중 활성화된 증상 기간이 최소 1개월 이상이다. 전구증상이나 잔류증상 기간도 포함될 수 있다...2024.12.06
-
Dar charting2024.09.011. 간호기록과 보고 1.1. 기록의 목적 기록의 목적은 대상자에 대한 의무기록의 의사소통, 의료기관 감사, 자료의 출처, 평가, 법적 문서, 의사결정, 연구, 교육, 치료비용의 상환 근거, 통계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의무기록은 대상자의 건강력, 최근의 건강상태, 치료 및 경과 등에 대한 기록으로 건강관리 요원 간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어 정확한 기록을 통해 치료나 처치 및 간호의 중복을 막을 수 있고 대상자가 일관되고 지속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비용대비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었는지 의료 및 ...2024.09.01
-
간호기록2024.11.161. 간호 기록 1.1. 간호 기록의 목적 간호 기록의 목적은 의사소통, 간호계획, 연구, 감사, 교육, 통계자료, 법적문서 등 다양하다. 첫째, 의사소통의 일차적 목적이다. 구두로 의사소통을 하지만 기록을 통해 정보를 좀 더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고, 근무시간이 다른 건강관리요원들과도 대상자의 중요한 정보에 대해 의사소통을 잘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대상자의 간호를 계획할 때 기초자료와 진행되고 있는 자료를 이용한다. 기록된 자료에 의해서 간호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셋째,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의 출처가 되며...2024.11.16
-
SOAP기록2025.06.151. 서론 1.1. 간호기록의 목적 간호기록의 목적은 의사소통, 간호계획, 연구, 감사, 교육, 통계자료, 법적문서이다. 간호기록은 대상자 치료에 참여하는 간호사들로 제한하여 작성하며, 검정색 볼펜 사용, 내용 작성자의 서명, 빈칸 처리, 정확성, 공용 약어·기호·용어 사용, 날짜와 시간 기록 등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간호기록은 정보중심기록, 문제중심기록(POMR), SOAPIE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정보중심기록은 자료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방식이고, 문제중심기록(POMR)은 대상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기록하며 기초자...202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