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547)
  • 리포트(474)
  • 논문(39)
  • 시험자료(16)
  • 방송통신대(14)
  • 자기소개서(4)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사단칠정논쟁" 검색결과 81-100 / 547건

  • 국민대학교 '철학의물음들' 기말대체과제 A+ 과제
    , 특히 감각에 의한 지각을 강조한다.(이기론, 철학: 서양의 사단칠정논쟁 (경험론.합리론))이제 합리론에 대해 알아보자 이를 알기위해서는 존재론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나
    리포트 | 8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1.12.02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 한국사, 조선 초기_키워드 한페이지 정리 서브노트
    , 10개의 그림으로 나타냄)→동방주자사단칠정 논쟁(with 기대승) (인간본질 무엇이 중요하냐)-기대승이 대사성을 하던 이황에게 편지-경상도-서울-전라도 읽어보라며 편지 전국학술대회 ... :주체적훈민정음(↔최만리) 칠정산(역법서) : 이순지└용비어천가 └한양중심의 역법서(별자리흐름)└수시력(원) + 회회력(아라비아) 참조└시흥,성종,강희맹 농서건축·탑 공예·궁궐 축조
    시험자료 | 2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5.01.20
  • 조선시대 요약 - 한국사
    과 이이는 성리학이 조선 사회에 확고하게 뿌리내리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이황은 기대승과 사단 칠정에 관한 논쟁을 벌이고, 주자의 이론에 조선의 현실을반영시켜 나름대로의 체계
    리포트 | 42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0.09.19 | 수정일 2022.06.24
  • 雪嵒 權玉鉉의 性理思想 (Seolam Kwon Okhyun's Li-Ki Thoughts)
    칠정논쟁, 인물성동이논쟁, 명덕논쟁 등 조선 성리학의 주요 쟁점들에 대한 立論이다. 셋째는 韓末에 등장한 ‘새로운 主理論’에 대한 비판인바, 설암 성리설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여기 ... 된다. 첫째는 ‘心統性情’과 ‘主宰’의 의미에 대한 천착이다. 설암은 오랜 천착 끝에 성리학의 핵심 주제인 ‘心統性情’과 ‘主宰’에 대해 그 정확한 의미를 터득하게 되었다. 둘째는 사단 ... normative principles and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mind correctly. Seolam was also a scholar who pursued this ideal.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퇴계학논총 이상익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3 | 수정일 2025.06.17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준비 - 조선 후기 문제 키워드 잡기(3)
    . 기대승과 사단칠정 논쟁 전개- 퇴계이황 : 군주의 도를 도식으로 설명한 성학십도보기- 양명학 강화학파 : 정제두- 명에 대한 의리 기축봉사 : 효종 때 송시열- 동호문답 : 이이
    시험자료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1.02.04
  • 조선대 인강 한국사 뿌리깊은 이야기 기말 족보
    는 물성을 결정, 기는 물형을 결정조선의 성리학은(주리설,주기설, 이발기발설, 사단칠정론, 인물성동이론)-> 발전과 전개 보임52. 조선 성리학의 계통주리파선구자는 이언적, 그 ... 음, 이이 ,성혼, 김장생 기호학파에 의하여 계승53. 예송논쟁 (예송에서 환국으로)예에 대한 다툼이란 뜻조선 후기 현종과 숙종 때 효종과 효종비에 대한 조대비의 복상 문제로 일어난 ... 논쟁붕당 간의 공론의 대결, 서인과 남인 간의 신권과 왕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드러남1차 예송은(1659) 효종의 사망으로 일어남, 현종의 즉위년이자 기해년이므로 ‘기해예송’이
    시험자료 | 10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0.11.14 | 수정일 2021.08.24
  •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아포리아 (Philosophical Aporia of Zhu Xi's Thought in the Joseon Dynasty)
    이 논문은 조선조 성리학자들이 주자학의 철학적 이론을 가지고 전개한 논쟁 중 드러난 철학적 아포리아(aporia)를 밝혀낸 것이다. 그 가운데서 4인의 ‘사단칠정 논쟁’(인심도심 ... 하면서 반대하였다. 율곡 이이는 우계 성혼과의 논쟁에서 고봉의 관점을 계승하여 칠정이 인간 정의 총칭이고 사단은 그 중의 특별한 것에 불과하므로 퇴계의 사칠호발론은 틀렸다고 하 ... 하였다. 그리하여 퇴계는 가치입론으로서 ‘사단=리발, 칠정=기발’이라는 ‘사칠호발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도덕적 ‘가치입론’이다. 고봉은 이러한 이원론적 입론은 오해를 불러온다고
    논문 | 2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8 | 수정일 2025.07.04
  • [조선성리학과실학 A+레포트] 사칠논변의 전반을 리를 중심으로 한 리기론의 시각으로 고찰
    조선성리학과 실학한국 유학발전에 있어 하나의 분수령이 된 퇴계, 고봉 간의 사단칠정 리기에 관한 논쟁은 흔히 사칠논변이라고 약칭되기도 한다. 이 논변은 후세의 주리론과 주기론 ... 는데, 유학에서 이를 ‘칠정’이라 한다.사단칠정의 논의는 우리 마음이 일으키는 감정이 질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사단의 수오지심과 칠정의 분노가 다른 ... 것인가? 그리고 이 논의는 사단칠정이 근원적으로 다른 것으로, 즉 그 소종래에 있어 다른 것으로 볼 수 있는가의 문제를 따져 들어가게 된다. 정의 소종래는 성이며 이때, 성
    리포트 | 9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20.03.25
  •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어 조광조를 중심으로 한 기묘사림들이 추진했던 일련의 정치적 개혁은 『소학』 정신의 정치적 실천이었다. 16세기는 조한보‧이언적의 무극태극논쟁, 이황‧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 이항‧김인후 ... ‧기대승의 태극논쟁 등 다양한 이론적 논쟁이 등장함으로써 이론의 다양화와 발전이 가능해진 시기이다. 이 시기는 학자들이 상호 비판을 통해 새로운 문제의식을 갖게 됨은 물론 자신
    논문 | 45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16 | 수정일 2025.07.20
  •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요약본 - 한국사 요약 정리 / 한국사 1급, 2급, 3급 / 한국사 정리 / 요약 / 핵심
    , 북인, 동인서인, 노론, 소론[주자서절요], [성학십도]사단칠정 논쟁(↔?기대승)예안 향약, 도산 서원?일본 성리학[동호문답], [성학집요]현실 개혁적10만 양병설, 수미법 ... (소격씨?기묘사화조광조 개혁(위훈삭제, 소격서X, 현량과O)?을사사화외척대윤(윤인)↔소윤(윤원형)임꺽정붕당이조전랑척신청산중립외교예송논쟁환국탕평정치세도정치대동법자의대비 상복착용기간효종
    시험자료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2.04.13
  • 율곡학에서 四端의 不中節 문제-호굉과 비교를 통해서- (The Problem of ‘Sì duān bù zhòng jié’ in the Yulgok Studies: Through comparison with Hú hóng)
    며, 이는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으로 표현된다. 율곡이 주자학의 노선을 벗어났다고 하는 주장은 퇴계의 사단칠정론을 정통으로 삼는다. 즉, 퇴계는 그 근원에서부터 사단칠정을 분리 ... 율곡이 리기를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라고 주장한 데서 비롯한 정통성 논쟁은 그 역사가 오랜 것이다. 퇴계학파에서는 율곡을 “기를 리로 인식한다[認氣爲理 ... 하여 태생적 차별을 둠으로써 사단의 위상을 제고하여 성선의 선명성을 부각시킨 것이 주자학을 발전시킨 퇴계의 정체성으로 본다. 과연 이러한 주장이 타당한지 이 글에서는 다음의 사항
    논문 | 3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9 | 수정일 2025.06.2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비교서브 '동양윤리'
    처럼, 사단칠정 역시 천리와 형기를 지각하는 각각의 것으로 엄격히 구분 -이기호발설 : 사단칠정은 이기호발에 근거하여 각각 기원을 달리하는 독립적인 정으로 파악 *사단 ...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을 포함하듯 칠정사단을 포함 -기발이승일도설 : 리는 발함이 없고 오직 기만 발함. 이황의 이기호발, 이발이기수지를 반대. 기발이이승지만 허용하여, 기발이승일도 ... 로 모든 존재의 존재양상을 설명 *사단 : 칠정 중에서 중절되어 발한 선한 정. 오직 ‘리’. 순선무악 *칠정 : 리와 기를 겸하고 있는 것. 현실에서 리와 기는 분리될 수 있는 것
    시험자료 | 1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0.01.30 | 수정일 2025.01.31
  • 율곡의 인간 이해에 대한 일고찰 (Yulgok's' Theory of Mind-Body Relation and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조선조에서 16세기는 성리학의 이론적 정착기였다. 그런데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완성하는 데에 있어서는 사단-칠정, 인심-도심과 같은 개념에 대한 이기론적 정초가 요구되고 있 ... 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우선 퇴계와 고봉이 ‘四端七情論爭’을 통해 그 실마리를 제공했다. 퇴계와 고봉의 논쟁을 지켜본 우계는 이제 인심과 도심의 문제를 이기론과 연관하여 어떻게 정립 ... 론적 정립과 그 의의를 살펴보려는 이 논문은 우선 문제의 인심도심논쟁이 있게 된 배경으로 주자의 인심도심설이 지니는 한계와 우계의 질문을 살펴보는 것으로 출발하여, 율곡의 이 문제
    논문 | 32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2 | 수정일 2025.06.27
  • 高峰 奇大升의 민본적 정치사상과 현실 (Gobong Ki Dae-seung's Political Thoughts of People Based-on and Reality)
    고봉 기대승은 조선조 중기 성리학자이다. 그는 이황과 7년간 리기심성과 사단칠정에 관한 논변하였다. 유학의 종지는 ‘수기치인’인데, 성리학의 심성논쟁은 ‘수기’에 관한 것이 ... 하고 있다.고봉의 경세학과 정치사상의 업적은 조야를 감화시켰고 후인들의 좋은 귀감이다. 그의 사단칠정론도 중요하며, 경학에 중점을 두었다. 그가 선조와 시무에 대한 간언은그의 경세학적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30 | 수정일 2025.06.05
  • 丁時翰ㆍ李栻과 李柬ㆍ韓元震의 人物性同異論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In-mul-sung-dong-i-lon between Toegye scgool and Yulgok school in 18th century)
    때문에 있게 되는 유사함이 있으나, 퇴계학과 율곡학의 理氣 이해방식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사제 또는 동문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이기 및 사단칠정의 이해에 다름이 있었다. 이에 이 ... 본고는 18세기 조선유학의 최대 문제인 인물성동이론을 논쟁의 형식으로 전개한 정시한과 이식, 이간과 한원진을 비교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정시한과 이식은 퇴계학파의 학자로서 전자 ... 았다. 그리고 18세기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왜 이 논쟁이 발생하였는지를 추정하여 보았다. This paper aim for a comparative study on debates
    논문 | 3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04 | 수정일 2025.07.05
  • 한국철학사 중간기말대비 요점정리
    Ⅰ. 사단칠정 논쟁에 대해서 설명하라. (이황과 기대승의 입장)이황이 서울에 살던 53세 무렵, 옆집에 추만 정지운이 살았다. 정지운은 동생을 가르치기 위해 하늘과 인간이 도덕적 ... 이 이황에게 편지를 보내오면서 논쟁이 시작된다.이황의 주장은 사단은 언제나 결과가 선이기 때문에 리에서 나오고 칠정은 결과가 선일 수도 있고 악일 수도 있기 때문에 기에서 나온다는 것이 ... 의 움직임 때문이라는 것이다.논쟁은 결말을 보지 못하고 끝난다. 기대승과 이황은 사단칠정이 모두 감정이라는 점에는 의견을 같이 했지만 기대승은 나누지 말자는 의견을, 이황은 나누
    시험자료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03.26 | 수정일 2020.04.01
  • 교육과 철학사 연구, "인물성동이론"
    며 주자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았고, 이를 통해 조선의 성리학의 이론적인 탐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속적인 탐구로 인해 발생한 논쟁 중 하나는 16세기 중반에 발생한 사단칠정론이고 ... , 이후 18세기, 즉 조선 후기에 발생하게 되는 인물성동이론이다. 이 두 차례의 논쟁은 조선 성리학계의 큰 화제로 대두되는 사건인데, 사단칠정론의 주요 학파는 퇴계와 율곡으로 나뉘 ... 의 앞선 논쟁사단칠정론에서는 이와 기의 이론적인 측면을 명확히 한 바 있었다. 그 후 이루어지는 인물성동이론에서는 인간의 마음을 다루게 되는데, 성리학에서는 마음을 사단칠정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07.11
  • 3원적 사유구조- 원효 『기신론』 주석과 이익의 『사칠신편』을 중심으로 (A Ternary Structure of Thought: - Focusing on the Wonhyo's Commentary on the Treatise on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and the New Treatise on the Four-Seven Debates by Sungho)
    에, 기(氣)의 발현에 의한 ‘청명순수한 감정,’ ‘도심을 따르는 인심’이라는 특수한 영역을 인정하여, 칠정사단을 포함시키는 율곡학파의 입장을 절충한다.원효와 성호는 공통 ... 의 중첩지점이 설정된다. 본각의 진여상에서는 진여와 생멸, 체(體)와 상(相)이 중첩되면서, 여래장과 알라야식성이 중층적인 원융을 이룬다. 조선성리학의 사칠논쟁에서 성호의 『사칠신편 ... 』은 발생적 측면에서 리기이원적 체계(퇴계)와 기일원적체계(율곡)를 제3영역의 확보를 통해 통합하고자 한다. 성호는 순수하게 리발(理發)에 의해 발생하는 형이상의 사단을 인정하는 동시
    논문 | 52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11 | 수정일 2025.07.19
  • 答問類編』을 통해 본 蘆沙學派의 心性論 고찰 (A study on Nosa school’s Theory of Mind reviewed through Dapmuryupyeon)
    )과 감정의 영역인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을 다루고, 끝으로 하늘에서 얻은 본심이 인심과 도심으로 되는 과정, 본심과 명덕의 일체적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은 인간의 현존 ... 의 논쟁을 반추하며 그 이론을 굳건하게 하면서 전통의 윤리적 가치를 지키려고 노력하였다.본 논문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학문을 그 문인들이 체계
    논문 | 3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4 | 수정일 2025.06.06
  • 고봉 기대승과 사단 칠정
    칠정론. 분명 이황과 고봉 기대승 간의 논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황을 중심으로 사단 칠정론을 배워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왜 우리는 이황을 더 잘 기억하고 있는 것 ... 서신이 발단이 되어 고봉의 서신 3회, 이황의 서신 3회 모두 6회의 논쟁사단 칠정론이 시작되게 된다. 기대승과 이황은 총 3번을 만났는데, 위에 언급했듯 32세의 첫 만남 ... 에 대한 수많은 평가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사단 칠정논쟁을 벌인 퇴계 이황의 기대승에 대한 평가를 주의 깊게 보자면, 이는 이황이 10월 24일 기대승에게 보낸 편지에 잘 드러나 있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12.30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