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09개
-
시편 73편 주해2025.01.031. 악인의 형통함 시편 73편은 의인의 고난과 악인의 번영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시인은 악인들이 번영하는 것을 보고 자신의 신앙에 큰 위기를 겪게 됩니다. 그러나 성전에서 깨달음을 얻게 되면서 악인의 번영은 잠시뿐이며 그들에게는 심판이 예비되어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이를 통해 시인은 하나님만이 영원한 분깃이 되심을 고백하게 됩니다. 2. 하나님과의 관계 시인은 악인의 번영으로 인해 신앙의 위기를 겪지만, 결국 하나님께서 자신을 붙들어 주시고 인도해 주심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만이 자신의 영원한 분깃이 되심을 ...2025.01.03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2025.01.25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을 동물과는 구별되는 고차원적인 존재로 이해했다. 인간은 이성을 가지고 있어 본능과 욕망을 통제할 수 있으며, 사물을 객관화하여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플라톤은 인간의 본질이 영혼에 있고, 영혼의 본질은 이성이라고 보았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인간이 이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다운 존재라고 보았다. 그는 인간의 미덕이 중용이라고 생각했으며, 중용을 가지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인간이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사...2025.01.25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2025.01.26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 플라톤은 육체가 영혼의 진리 추구를 방해한다고 보았는데 참된 인간은 자기 내면을 잘 조절해 내면에서 평화를 얻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성은 욕망과 기개를 통제하는데 인간은 이성, 기개, 욕망 등을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다. 이성이 기개와 욕망을 잘 조절하면 그 개인은 인간다운 인간으로 볼 수 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 이성 발휘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에게 이성을 따르는 영혼 활동이 중요한 것으로 여겼는데 자연은 인간에게만 이성을 주었기에 인간은 자연의 뜻을 잘 실현해야 한다. 인간 본성을 실...2025.01.26
-
동서양고전의 이해: 맹자의 현대적 의의2025.01.251. 맹자의 사상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 맹자의 사유가 담긴 고전이다. 맹자는 좋은 정치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지, 인간이 선하게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맹자는 혼란스러운 시대에 군주가 백성의 평안을 목적으로 하는 왕도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았다. 또한 인의의 구체적인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 맹자의 왕도정치와 성선설 맹자는 군주가 자신의 마음을 바로 잡아 인의로 백성을 다스려야 하며, 이는 성선, 즉 스스로 도덕적인 성인이 되기 위한 노력...2025.01.25
-
루소의 교육 사상 리포트2025.01.291. 루소의 교육 사상 루소의 교육 사상은 1762년에 발간한 교육 소설인 <에밀>에서부터 시작한다. <에밀>은 '에밀'이라는 이름의 고아가 이상적인 교사에 의해 성장해 가는 과정과 '에밀'의 아내가 될 소피의 여성 교육을 논한 교육 소설이다. 루소의 아동관은 당시 기독교가 가지고 있던 성악설과는 달리 성선설에 기초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존재로 선천적으로 부여된 자연적 인성을 자유롭게 발전시켜야 하며, 인간은 자연 상태에 있을 때 가장 선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부모는 아동의 자연성을 지키는 방법...2025.01.29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2025.01.20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사물의 본성을 되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감각만으로는 참된 본성을 알기 어렵다고 보았으며, 이성, 기개, 욕망의 조화를 통해 인간다운 인간이 된다고 주장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에게 이성이 권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다. 인간의 본성은 태어날 때부터 가진 것이므로 이를 잘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칸트의 인간관 칸트는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고 불렀다. 인간은 자신의 범위 안에서 자연을 인식하고 ...2025.01.20
-
철학의 이해: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삶2025.01.061. 인간의 본성: 이성과 욕망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등의 철학자들은 인간이 이성적인 존재인지 욕망하는 존재인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플라톤은 인간이 사물의 참된 본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이성적 존재라고 보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칸트는 인간이 이성에 따라 행위를 하는 도덕적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2. 도덕과 사회계약 홉스는 인간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이용하려 한다고 보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이 사회계약을 맺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흄은 인간의 본성에...2025.01.06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2025.01.25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을 자신이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설명했다. 이는 대상을 객관화하며 다양한 상황을 동시에 고려할 능력이 있다는 의미이다. 플라톤이 보기에 영혼의 진리 추구를 육체가 방해한다고 여긴다. 참된 인간은 자기 내면을 잘 조절해 내면의 평화를 얻어야 하는데 플라톤은 파이돈을 통해 기개와 욕망을 두 마리의 나쁜 말로, 이성을 말을 통제하는 마부로 표현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에게 이성을 따르는 영혼 활동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해 인간 본연의 능력...2025.01.25
-
천국을 소유합시다 (마태복음 13:44-50)2025.01.131. 천국의 실체 천국은 내가 원한다고 해서 갈 수 있는 곳이나 소유할 수 있는 곳이 아니며, 천국과 관련된 모든 주도권은 하나님께 있다. 천국은 탐구의 결과물이 아니라 계시의 산물이다. 천국의 실체를 우리에게 알려 주시고 믿게 하시는 하나님께 감사하고 그 이름을 높여야 한다. 2. 천국의 가치 천국은 내가 가진 모든 것, 심지어 내 생명과도 맞바꿀 수 있는 최고의 가치이다. 천국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재물, 야망, 육신의 정욕 등을 포기하고 하나님을 우선순위로 두는 삶을 살아야 한다. 3. 심판과 선별 천국에 들어가는 사람과 그렇지...2025.01.13
-
동서양고전의 이해 - 교재 『동서양 고전의 이해』(2021)를 중심으로2025.01.251. 대승기신론소 대승기신론은 1500여 년 전에 쓰인 논서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많은 의미를 지닌다. 대승기신론은 진여의 변하지 않는 본성과 일심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삶의 의미와 방향을 제시해준다. 또한, 심진여문(心眞如門)과 심생멸문(心生滅門)의 개념은 우리가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신학대전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독교 신학과 결합하여 독창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했다. 그의 대표작인 『신학대전』에서는 신의 존재, 인간의 본성과 구원, 윤리와 정치 등...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