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0개
-
말초신경 손상의 원인, 증상 및 관리2025.11.161. 척골신경 손상(Ulna Nerve Injury) 척골신경 손상은 주관절의 골절과 탈구, 팔꿈치 부위의 압박이 주요 원인입니다. 척골신경은 손가락의 내외전, 손목 척골 신전, 제3,4 충양근을 지배하며 제4,5 손가락의 감각을 담당합니다. 주요 증상은 손목 굴곡과 내전장애, 손가락 굴곡장애, 손가락 내외전마비이며, 완전 마비 시 갈퀴손이 나타납니다. 진단은 갈퀴손과 프로망 징후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신경 절단 시 봉합술, 압박 시 신경 이식술을 시행하고 물리치료를 병행합니다. 2. 요골신경 손상(Radial Nerve Injur...2025.11.16
-
말초신경손상2025.04.261. 말초신경손상의 개요 및 정의 말초신경은 뇌와 척수의 중추신경계에서 말초의 근육, 관절, 뼈대계에 연결되어진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초신경손상은 말초신경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집(myelin sheath)과 축삭(axon)의 병변으로 발생하며, 물리적 외상, 염증 질환, 대사 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말초신경손상은 완전히 절단되지 않았다면 다시 재생될 수 있다. 2. 말초신경의 구조와 기능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CNS)와 기능에 따라(체성신경, 자율신경), 위치에 따라(뇌신경, 척수신경) 구분된다. 신경조직...2025.04.26
-
뇌동맥류, 뇌동맥류결찰술 문헌고찰2025.01.151. 뇌동맥류 뇌동맥류는 뇌혈관의 내측을 이루고 있는 내탄력층과 중막이 손상되고 결손되면서 혈관벽이 부풀어올라 새로운 혈관 내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 크기는 10mm이하이지만 간혹 그보다 큰 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25mm 이상인 경우 특별히 거대 동맥류라고 지칭한다. 동맥류의 형태에 따라 낭상동맥류, 방추상동맥류, 해리성 동맥류로 구분된다. 뇌동맥류가 터져 출혈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와 뇌동맥류가 주변 신경조직을 압박하여 비정상적인 신경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뇌 컴퓨터 단층촬영(CT), 뇌 자...2025.01.15
-
[A+ 종합실습] 병동의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 관련 간호활동(OS병동)2025.05.101. 인공 슬관절 치환 수술 인공 슬관절 치환 수술은 무릎 관절염, 무릎의 골괴사증 등 무릎의 퇴행성 손상이 발생한 경우 연골의 재생이 어렵고 통증이 심하며 무릎의 기능에 제한이 많을 때 시행됩니다. 수술 전 설명 및 동의서 작성, IV 확보, 수술 부위 표식, 금식 및 교육, 통증 및 불안 중재, 수술 전 검사, 수술 후 관리 등의 간호활동이 필요합니다. 합병증으로는 감염, 출혈, 혈전증, 색전증, 인공관절 마모, 골절, 신경 손상 등이 있습니다. 2. 내시경적 회전근개 봉합 수술 내시경적 회전근개 봉합 수술은 외상이나 충돌 증후...2025.05.10
-
성인실습 OR case2025.05.071. 갑상선 구조 갑상선은 후두 아래 기관 앞, 목 앞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좌우로 2개의 엽이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엽은 소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2개의 엽이 협부를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어 나비 모양을 나타낸다. 각 엽은 원추형으로 길이 4~5cm, 너비 1.5~2cm, 두께 2~4cm인데 일반적으로 우엽이 조금 더 크다. 적갈색을 띠고 있으며 갑상선의 무게는 보통 6~20g 정도이다. 2. 갑상선 기능 갑상선은 대사작용으로 대사의 필요한 에너지와 세포의 구조적/기능적 합성을 촉진한다. 그리고 요오드를 이용하여 모든 세포의...2025.05.07
-
팔신경총손상2025.04.261. 팔신경총 손상(Brachial Plexus Injury) 팔신경총 손상은 C5, C6, C7, C8, T1 신경근의 손상으로 발생하며, 출생 시 난산, 가벼운 압박, 견인, 빗장뼈 골절, 신경 절단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임상 증상으로는 통증, 감각 이상, 근력 약화, 반사 저하 등이 나타난다. 손상 부위에 따라 에르브마비, 크룸프케마비, 긴가슴신경마비, 겨드랑신경마비, 노신경마비, 정중신경마비, 자신경마비, 근육피부신경마비 등으로 구분된다. 치료는 운동치료, 물리적 인자 치료, 보조기 적용, 일상생활 훈련 등을 통해 이루...2025.04.26
-
유방암 유관 상피내암 수술 사례와 낙상 위험 관리2025.11.151. 유관 상피내암(DCIS) 유관 상피내암(DCIS)은 유방의 유관 내에 비정상적인 세포가 존재하는 유방암의 가장 이른 형태로, 0기 암에 해당합니다.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는 비침윤성 암으로 전이하지 않습니다.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유방관 세포의 DNA 유전적 돌연변이, 생활습관, 환경, 유전자 등이 관련됩니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없으나 가슴 덩어리, 혈중 유두 분비물, 피부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는 병소의 다발성, 잠재성 침윤 병소,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 유방전절제술 또는 유방보존술을 선택합니다. 2. 유...2025.11.15
-
수술실 사례연구: 척추궁절제술과 V-Y 피판술2025.11.141. 척추궁절제술 및 추간판절제술(Laminectomy & Discectomy) 요추 척추관협착증(T12-L1) 환자에 대한 신경외과 수술로, 척추궁을 제거하고 탈출된 추간판을 절제하는 시술이다. 복위(prone position) 자세에서 시행되며, C-arm 투시를 이용하여 수술 부위를 확인한다. 수술 과정은 절개, 근육박리, 척추궁절제, 황색인대 절개, 추간판 제거 등의 단계로 진행되며, 신경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경근견인기와 현미경을 사용한다. 지혈 및 감염 예방을 위해 겔폼과 가디스를 사용하고, 봉합은 층별로 다른 재료를...2025.11.14
-
소장 위장관기질종양 수술 환자의 간호사례2025.11.161. 위장관기질종양(GIST) 위장관 기질 종양은 위장관 벽의 근육층에 위치한 카알세포의 변이로 발생하는 희귀 질환입니다. 점막하층이나 근육층에 경계가 뚜렷한 종괴를 형성하며, 양성부터 악성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주로 위(50%), 소장(25%), 대장(5~10%)에서 발생하며 전체 위장관 악성 종양의 1~3%를 차지합니다.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분열 정도가 심할수록 재발 및 전이 가능성이 커집니다. 2cm 이하인 경우는 대부분 저위험군에 속하며, 악성 종양이라도 전이되는 기간이 길어 예후가 양호합니다. 2. 복강경 소장절...2025.11.16
-
수술절차 관찰 기록지 (SLNB-sentinel lymph node biopsy/T.T-Total Thyroidectomy)2025.05.161. SLNB (감시림프절 생검) 감시림프절을 찾기 위해 젖꼭지 주변에 푸른색 염료를 주입하고, 염료가 림프선에 잘 퍼지도록 마사지를 해준다. 이후 감시림프절이 있는 곳을 절제하고, 내시경을 넣어 파랗게 염색된 림프절을 찾는다. 절제한 림프절은 병리과로 보내 암세포가 있는지 검사한다. 감시림프절에 암세포가 없다면 유방의 암 덩어리를 제거하고, 암세포가 있다면 겨드랑이에 임파선 모두를 절제해야 한다. 배액관을 연결하고 절개부위를 봉합한다. 2. Total Thyroidectomy (전 갑상선절제술) sternal notch 위로 피부...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