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실습 OR case
본 내용은
"
성인실습 OR cas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4
문서 내 토픽
-
1. 갑상선 구조갑상선은 후두 아래 기관 앞, 목 앞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좌우로 2개의 엽이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엽은 소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2개의 엽이 협부를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어 나비 모양을 나타낸다. 각 엽은 원추형으로 길이 4~5cm, 너비 1.5~2cm, 두께 2~4cm인데 일반적으로 우엽이 조금 더 크다. 적갈색을 띠고 있으며 갑상선의 무게는 보통 6~20g 정도이다.
-
2. 갑상선 기능갑상선은 대사작용으로 대사의 필요한 에너지와 세포의 구조적/기능적 합성을 촉진한다. 그리고 요오드를 이용하여 모든 세포의 대사율을 조절하고 신체 산소 소모와 호흡 깊이 증진, 열 생산 증가와 열 방출 기전을 조절한다. 또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여 신체 성장과 발달을 도와주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조절한다. 갑상선호르몬의 기능이 이상해질 경우 갑상선 기능저하증(대사량감소), 갑상선 기능항진증(대사량 증가)이 발생할 수 있다.
-
3. 갑상선 절제술갑상선 절제술은 병변이 있는 갑상선을 절제하는 것으로 갑상선 전절제술과 종양이 침범한 엽만 제거하는 일엽절제술, 갑상선 일부를 남겨놓는 갑상선 아전절제술로 나뉜다. 양성이거나 전이가 없는 악성의 경우 로봇수술로 가능하지만 병변이 크거나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목을 절개하여 수술한다.
-
4. 수술 전 간호수술 전 간호에는 환자 확인, 수술신청서 확인, 장신구 제거 확인, 속옷 착용 여부 확인, 금식여부 확인 등이 포함된다.
-
5. 수술 전 투약수술 전 투약에는 항생제 Triaxone 2g, 최토제/진토제 Nasea 0.3mg/2ml 등이 사용된다. 항생제는 수술 후 감염 예방, 최토제/진토제는 수술 후 구역/구토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
-
6. 수술 중 간호수술 중 간호에는 수술체위 확인, 마취종류 및 마취제 사용, 동/정맥 확보, 수액 투여, 활력징후 모니터링, 피부준비 및 절개, 봉합 등이 포함된다. 수술 과정에서 간호사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
7. 봉합사 종류 및 특징봉합사 종류에는 polysorb 등의 흡수성 봉합사가 사용되며, 복선사로 끈으로 꼬거나 한 가닥 이상의 모양을 가진다. 흡수성 봉합사는 체내 효소에 의해 소화되고 체액에 의해 가수분해된다.
-
1. 갑상선 구조갑상선은 목 앞쪽에 위치한 내분비선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하여 신체의 대사 활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갑상선은 두 개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엽은 다시 여러 개의 소엽으로 나뉩니다. 갑상선 내부에는 여포라고 불리는 작은 구조물들이 있으며, 이곳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생성됩니다. 갑상선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갑상선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2. 갑상선 기능갑상선은 신체의 대사 활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내분비선입니다. 갑상선은 주로 티록신(T4)과 트리요도타이로닌(T3)이라는 두 가지 호르몬을 생산하는데, 이 호르몬들은 체내 세포의 대사 활동을 조절하여 체온 유지, 심장 박동 조절, 신경계 기능 유지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갑상선 기능 이상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갑상선 기능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
3. 갑상선 절제술갑상선 절제술은 갑상선 질환 치료를 위해 시행되는 수술로, 전체 갑상선 또는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갑상선 절제술은 갑상선암,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결절 등의 치료를 위해 시행됩니다. 수술 방법에 따라 전절제술, 아전절제술, 부분절제술 등으로 구분됩니다. 갑상선 절제술은 숙련된 외과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야 하며,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 대체 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후 관리와 합병증 예방이 중요합니다.
-
4. 수술 전 간호갑상선 절제술을 받는 환자에게 수술 전 간호는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사정하고, 수술 전 검사와 준비 과정을 안내합니다. 또한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수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을 제공합니다. 수술 전 금식, 피부 준비, 투약 관리 등 수술 준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전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수술 전 투약갑상선 절제술을 받는 환자에게 수술 전 투약은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전 투약의 목적은 환자의 불안감 감소, 수술 중 통증 관리, 수술 후 합병증 예방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전 투약으로 진정제, 진통제, 항생제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시기와 용량으로 투여되어야 합니다. 수술 전 투약 시 환자의 병력, 약물 알레르기 여부, 기저 질환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투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전 투약은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한 필수적인 간호 중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수술 중 간호갑상선 절제술 중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중 환자의 생체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합니다. 또한 수술 중 출혈, 호흡 문제, 저체온증 등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합니다. 수술 중 간호사는 의사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수술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수술 후 회복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수술 중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봉합사 종류 및 특징갑상선 절제술 후 수술 부위 봉합에는 다양한 종류의 봉합사가 사용됩니다. 봉합사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수술 후 상처 관리와 회복에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봉합사에는 합성 봉합사(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와 천연 봉합사(아크릴, 실크 등)가 있습니다. 각 봉합사는 강도, 흡수성, 조직 반응성 등의 특성이 다르므로, 수술 부위와 상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봉합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봉합사 선택과 관리는 수술 후 상처 치유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OR 전무릎인공치환술 TKA case1. 퇴행성 무릎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osteoarthritis)은 65세 이후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관절 질환으로,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관절염은 무릎 관절이나 고관절같이 체중 부하를 많이 하는 관절의 가장자리...2025.05.07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수술실OR 실습 추간판절제술 사례연구 CASE STUDY1. 추간판탈출증의 병태생리 및 원인 추간판은 두 인접한 추골중심 사이에 놓여 있어서 각 척추의 추체를 연결하는 구조로 척추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추간판은 연골판과 수핵, 섬유성막인 섬유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용적과 탄력성이 감소되어 압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진다. 수핵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감소...2025.05.11 · 의학/약학
-
A+ 받음, 수술실(OR) 케이스 스터디, 유방암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1. 유방암 유방암은 이미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여성암으로써, 미국의 경우 전체 여성암의 약 30%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사망률 또한 폐암에 이어 2위의 암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최근 유방암의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1위였던 갑상선암을 제치고 여성 암 발병율 1위로 등극하였고, 한 해 유방암으로 진단받는 환자 수가 2만 명에 ...2025.04.28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 폐암(Malignant neoplasm of bronchus or lung) A+자료1. 폐암의 역학 2021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9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54,718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폐암(C33~C34)은 남녀를 합쳐서 29,960건, 전체 암 발생의 11.8%로 2위를 차지했다. 남녀의 성비는 2.1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20,331건으로 남성의 암 중에서 ...2025.04.28 · 의학/약학
-
A+ 폐결절(pulmonary nodule),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사례보고서 (OR case study)1. 폐결절(pulmonary nodule) 폐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 SPN)은 폐 내부에 생긴 지름 3cm 이하의 작은 구상 병변으로 보통 1개만 있어서 고립성 폐결절이라고도 한다. 병변의 크기가 지름 3cm 초과할 때는 결절이 아닌 종양 또는 혹이라고 부른다. 보통 무증상인 관계로 건강 검진 시 흉부 X선이나 CT 촬영을 ...2025.04.30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 A+/수술실/회복실/OR/서혜부탈장/양성종격동종양/케이스스터디/성인간호학1. 서혜부 탈장 서혜부 탈장은 복강 안의 장기가 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복강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말한다. 증상으로는 사타구니가 부풀어 오르는 것이 있으며, 직접 탈장과 간접 탈장으로 구분된다. 진단은 서 있는 상태에서 기침을 하거나 변을 볼 때 서혜부를 촉진하여 확인하며, 치료는 수술을 통해 탈장낭을 제거하거나 묶고 후복벽을 보강하는 것이다. 수술 ...2025.05.0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OR 실습 Case Study 6페이지
대상자 간호사정자료 수집일 :실습 장소 :작성자 :Ⅰ) 일반적 사항(1) 환자명 박00 연령 세 성별입원일자 2020. 수술일자 2020.의학진단명 Multiple fracture of Phalanx of finger, open마취방법 General 예정수술명 Skin Graft S (25cm 미만)수술명 Skin Graft S (25cm 미만)(2) 회복실 도착 시 활력징후 및 의식상태맥박 64회/분 혈압 122/90mmHg SpO2 100% 의식상태 Alert활력징후의 변화시간SpO2BPHRRRBT2020-10-07 09:421...2021.02.16· 6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OR 추간판탈출증 케이스 37페이지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추간판 탈출증(Spinal disc herniation) 또는 추간판 헤르니아는 탈장의 일종이며, 흔히 디스크 즉. 추간판의 일부가 피막을 찢고 탈출한 상태를 말한다. 추체와 추체 사이에는 인체에서 가장 큰 무혈관 영역인 추간판이 있다. 추간판은 가운데에 연골세포군과 젤라틴 상태의 수핵이 있으며, 주변에는 결합조직과 섬유성 연골로 되어 있는 섬유륜이 존재한다. 이 수핵이나 섬유륜의 일부 등이 탈출한 상태가 추간판 헤르니아라 하며 Macnab에 의한 분류가 유명하다. 중력에 대해 척추를 수직으로 생활하...2025.06.23· 37페이지 -
성인간호학 OR실습 충수염CASE STUDY A+ 자료입니다!! 7페이지
CASE STUDY충수염 Appendicitis실습기관한국병원실습부서OR실습기간제출자제출일담당교수성명: 김OO성별: F연령: 562021/5/18진단명: Appendicitis 수술명: Laparoscopic Appendectomy정의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2022.01.25· 7페이지 -
성인간호학 수술실(OR)실습 케이스-골절 환자, 간호진단 2개, A+자료 29페이지
성인간호학골절(fracture)환자의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과목명성인간호학Ⅱ 실습실습지담당 교수학년/반학번/이름제출일목차Ⅰ. 문헌고찰1. 진단명 및 병태생리2. 골절의 분류3. 골절의 치유과정4. 진단검사 및 치료5. 합병증 치료와 간호6.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OR&IF) 방법 및 절차Ⅱ. 간호 사정1. 간호 정보 조사지2. X-ray 및 Reading3. 진단검사 결과4. 수술/시술 기록지5. 마취 기록지6. 수술실 간호 기록지7. 회복실 기록지8. VAS...2022.06.06· 29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케이스 A+(담낭절제술, OR) OR기록지 포함 17페이지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실습병원실습부서OR과목성인간호학실습1담당교수님학교학년/반학번성명제출일수선생님 확인란-목 차-Ⅰ.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고찰Ⅱ. 본론 ------------------------------------------------------------------------...2021.02.03·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