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폐결절(pulmonary nodule),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사례보고서 (OR case study)
본 내용은
"
A+ 폐결절(pulmonary nodule),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사례보고서 (OR 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3
문서 내 토픽
  • 1. 폐결절(pulmonary nodule)
    폐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 SPN)은 폐 내부에 생긴 지름 3cm 이하의 작은 구상 병변으로 보통 1개만 있어서 고립성 폐결절이라고도 한다. 병변의 크기가 지름 3cm 초과할 때는 결절이 아닌 종양 또는 혹이라고 부른다. 보통 무증상인 관계로 건강 검진 시 흉부 X선이나 CT 촬영을 통해 발견된다. 폐결절을 보이는 전체 성인의 약 35% 정도는 악성 종양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흡연자이면서 35세 미만의 경우에 발견된 폐결절이 악성일 확률은 극히 낮다. 결절이 악성 종양인 경우 그 조직형이 선암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결핵에 의한 육아종과 감별 진단을 요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병력을 조사하고 진단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 2. 영상 보조 흉강경 촬영술(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영상 보조 흉강경 촬영술(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은 3-4군데의 작은 흉벽 천공을 하고(1-2cm), 그중 하나의 천공을 통하여 비디오 모니터와 연결된 흉강경을 삽입한 후 다른 천공을 통하여 내시경용 기구를 삽입하여 흉부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최소 침습적 수술 접근법이다. 실시간으로 흉강 내부를 이차원 영상으로 제공한다. 흉막, 폐의 종양과 결절, 종격동의 종양, 간질성 폐질환 등의 상태의 진단 및 처치 시 사용된다.
  • 3. 수술 전 간호
    수술을 견딜 수 있는 상태 확인과 수술 후 간호제공을 위한 환자의 호흡기계와 심혈관계의 상태를 사정한다. 폐기능, 흉부 X선, EKG, ABGA, 혈액 요소질소(BUN, blood urea nitrogen), 혈청 크레아티닌, 혈당, 혈청 전해질, PT/INR, aPTT, CBC 등을 모두 검사하며 마취과 의뢰도 시행한다. 수술 전 환자는 최상의 건강상태에 있어야 하며 흡연자라면 금연을 하도록 돕는다. 산소사용, 기관삽관 가능성, 수액공급이나 수혈 가능성, 흉관의 기능과 목적을 포함한 수술 후 예상되는 것들에 대해 환자에게 교육한다.
  • 4.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환자는 심한 통증을 호소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통증간호는 호흡기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우선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흉부수술에서 폐의 재팽창을 위해 흉관이 흉강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배액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PCA의 사용과 늑간신경의 차단은 환자가 심호흡과 기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술 부위의 팔과 어깨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호흡수와 객담의 양과 색깔, 호흡음, 흉관의 기능과 배액상태를 관찰해야 한다.
  • 5. 수술 기구 및 장비
    Endo GIA Roticulator, Alexis Wound Retractor, Neoveil Sheet Type, Laparoscopic scissors(Harmonic HD 1000I), Bovie suction, Thoracic catheter, Forceps, ESU : Electro-surgical Unit, Needle holder 등 다양한 수술 기구와 장비가 사용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폐결절(pulmonary nodule)
    폐결절은 흉부 영상 검사에서 발견되는 작은 결절성 병변으로, 악성 종양일 수도 있고 양성 병변일 수도 있습니다. 폐결절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세심한 임상적 평가와 영상 검사, 필요 시 조직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폐결절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함께 악성 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중요합니다. 또한 폐결절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의료진과 환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입니다.
  • 2. 영상 보조 흉강경 촬영술(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VATS는 최소 침습적 흉부 수술 기법으로, 작은 절개창을 통해 흉강 내부를 관찰하고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VATS는 기존의 개흉 수술에 비해 수술 시간이 짧고 출혈, 통증, 합병증 발생률이 낮으며 회복 기간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VATS는 폐암, 기흉, 종격동 질환 등 다양한 흉부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VATS는 숙련된 외과의의 기술이 필요하므로, 의료진의 충분한 교육과 경험 축적이 중요합니다.
  • 3.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는 수술 성공과 환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필요한 검사와 처치를 시행하며, 수술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여 환자의 이해와 협조를 이끌어내야 합니다. 또한 수술 전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도록 돕는 것도 간호사의 역할입니다. 이를 통해 수술 전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준비를 도와 수술 후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4.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빠른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활력징후, 출혈, 통증, 감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영양 상태와 배설 기능을 관리하며, 조기 활동을 격려하여 합병증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더불어 수술 후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회복 과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환자의 안전하고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5. 수술 기구 및 장비
    수술 기구와 장비는 수술의 성공과 환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수술에 필요한 기구와 장비를 숙지하고, 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수술 기구와 장비의 관리와 보관, 멸균 등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수술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나아가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수술 기구와 장비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