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
본 내용은
"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5
문서 내 토픽
-
1.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DKA는 생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당뇨 합병증으로 보통 인슐린 분비의 절대적 양이 부족한 1형 당뇨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10~30 % 정도는 인슐린 저항성이 문제인 2형 당뇨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DKA에 대한 이해가 늘어나면서 이로 인한 사망률은 5% 이내로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신질환 및 감염, 저혈압, 의식 저하 상태인 노인들에게서 나타날 경우 높은 사망률을 보입니다. DKA의 기전은 크게 두 가지로 첫 번째는 절대적 혹은 상대적인 인슐린의 부족과 두 번째 그로 인해 저장된 당이 부족해지고 이에 대한 작용으로 카테콜라민, 코르티솔, 글루카곤, growth hormone과 같은 counter regulatory hormone이 과잉으로 분비되어 고혈당 및 케톤증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DKA의 원인으로는 인슐린을 제때 주사하지 않았거나 인슐린 펌프의 오작동, 감염, 임신, 갑상샘항진증, 쿠싱 증후군, 약물의 영향, 장 출혈, 췌장염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2. DKA 증상 및 진단DKA의 증상은 크게 고혈당과 볼륨 소실, 산증에 의해 유발됩니다. 고혈당으로 인한 볼륨 소실로 인해 소변을 많이 보고 심박이 빨라지며 프로스타글란딘이 방출되어 복부 통증 및 구토, 호흡수가 빨라지며 케톤산 냄새가 나는 호흡을 하며 세럼 오스몰 증가 시 의식저하를 특징적으로 합니다. DKA의 경우 보통 PH가 7.3 이하로 나타나며 케톤혈증을 보이고 혈당이 250이상 애나이온 갭이 10이상 바이카보네이트 레벨이 15이하일때 DKA 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3. DKA 치료DKA 치료의 목표는 크게 부족해진 볼륨을 보충하는 것, 인슐린 부족을 해결하는 것, 포타슘을 포함한 전해질 이상을 해결하는 것과 산염기균형을 맞추는 것, 유발 요인을 해결하는 것, 이후 있을 합병증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수액 치료는 관류를 올려주고 인슐린 치료의 효과도 늘려줍니다. 보통 환자들은 5~10리터의 수액 부족이 있습니다. 노말샐라인이 가장 선호되는 수액으로 급격하게 삼투압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해주고 과도한 수액이 CNS로 흘러 들어가 뇌부종이 생기는 것을 예방해줍니다. 인슐린 투여는 인퓨젼 펌프를 이용한 저농도의 인슐린 투여가 좋은 방법입니다. 전해질 불균형 교정을 위해 포타슘, 인, 마그네슘 등을 보충해줄 수 있습니다.
-
4. DKA 합병증DKA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감염과 심근경색이 사망의 주원인이 되며 이외에도 급성호흡부전증후군, 유아에서 나타나기 쉬운 뇌부종, 혈전증, 진균증 등이 있습니다. 보통 혈중 삼투압이나 BUN과 혈당이 높은 경우 혹은 비본이 낮은 경우 사망률은 올라갑니다.
-
1.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DKA(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대사 합병증입니다. 이는 혈액 내 과도한 케톤체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며, 방치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DKA는 주로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발생하지만,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DKA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슐린 부족, 감염, 스트레스, 약물 중단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은 DKA 발생 위험을 인지하고 예방 및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
2. DKA 증상 및 진단DKA의 주요 증상으로는 구토, 복통, 빠른 호흡, 탈수, 의식 저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 검사를 통해 혈당, 케톤체, 전해질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혈액 내 케톤체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DKA의 핵심 진단 기준입니다. 또한 소변 검사를 통해 케톤뇨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DKA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3. DKA 치료DKA 치료의 핵심은 인슐린 투여, 수액 공급, 전해질 보충입니다. 우선 정맥 내 인슐린을 지속적으로 투여하여 혈당과 케톤체 수치를 정상화시켜야 합니다. 동시에 탈수 증상을 해소하기 위해 수액 요법을 시행합니다. 또한 저칼륨혈증, 저인산혈증 등의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외에도 감염 관리, 산-염기 균형 유지 등의 보조 치료가 필요합니다. DKA 치료는 신속하고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므로, 전문 의료진의 적절한 개입이 필수적입니다.
-
4. DKA 합병증DKA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뇌부종, 저혈압, 저칼륨혈증, 저인산혈증 등이 있습니다. 뇌부종은 DKA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의식 저하,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저혈압은 심각한 탈수로 인해 발생하며, 저칼륨혈증과 저인산혈증은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DKA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의료진은 면밀한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 및 보호자들도 DKA 합병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중요합니다.
-
[간호학과A+] [ER응급실 CASES STUDY케이스스터디] 당뇨병성케톤산증 (DKA) / 문헌고찰 포함 / 간호과정 2개1. 당뇨병성케톤산증 (DKA) 당뇨병성케톤산증 (DKA)의 원인, 증상과 징후, 진단 및 검사, 병태생리, 치료와 간호중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인슐린 부족으로 인한 지방대사 활성화와 케톤체 과잉 생성, 심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 치료 목표와 방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간호과정 당뇨병성케톤산증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이...2025.01.29 · 의학/약학
-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 문헌고찰1.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당뇨병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은 제 1형 당뇨병의 급성 상태로, 인슐린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생산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에 이상이 생기며,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당보다 지방을 사용하여 지나친 혈류속의 산대사물의 축적과 수분과 당의 손실이 발생하는 ...2025.05.01 · 의학/약학
-
당뇨병 응급간호 컨퍼런스 자료(저혈당, 당뇨병성 케톤산증(DKA)과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HNKC))1. 저혈당증 저혈당증은 혈액의 포도당 수치가 70mg/dL 이하인 경우를 말하며,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흔하고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도 가끔씩 발생한다. 저혈당의 원인은 과량의 인슐린 투여, 처방된 양보다 적은 양의 음식 섭취, 음식 보충을 하지 않고 과다한 운동을 한 경우, 오심·구토로 인한 영양과 수분의 불균형이 있는 경...2025.05.10 · 의학/약학
-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문헌고찰 + 간호과정(진단4개) A+(만점) 과제1.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은 인슐린 부족, 수분결핍, 산염기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심한 급성 대사성 합병증으로 주로 1형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나, 인슐린을 투여하는 2형 당뇨병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DKA의 근본적 원인은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인슐린의 부족이며, 질병, 특히 감염이 선행하면서 나타날 수 있지만,...2025.01.03 · 의학/약학
-
[간호학과 CASE STUDY] A+ 성인간호학 케이스 CASE 응급실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 진단3개1. 당뇨병성 케톤산증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인슐린 부족, 수분 결핍, 산-염기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심한 급성 대사성 합병증입니다. 주로 제1형 당뇨병에서 발생하지만, 인슐린 투여를 하는 제2형 당뇨병이나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던 사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케톤체인 아세톤이나 acetoacetic acid, ß-hysroxyb...2025.05.08 · 의학/약학
-
성인 당뇨 case 과제1. 당뇨성 케톤산증(DKA) 당뇨병 케톤산증은 제 1형 당뇨병의 급성 상태로 특징은 심각한 고삼투압 상태, 저혈압, 혼수 등이 있다. DKA 에서 상대적 또는 절대적인 인슐린의 부족과 길항호르몬(케터콜라민, 코르티솔, 글루카곤, 성장호르몬)의 증가가 고혈당과 케톤증을 유발한다. 고혈당은 증가된 포도당신합성, 촉진된 글리코겐분해, 말초조직에서 포도당의 이용...2025.05.11 · 의학/약학
-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 문헌고찰 4페이지
1) 당뇨병성케톤산증(1) 정의당뇨병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은 제 1형 당뇨병의 급성 상태이다.인슐린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생산되지 않을 때 발생하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에 이상이 생긴다.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당보다 지방을 사용하여 지나친 혈류속의 산대사물의 축적과 수분과 당의 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2) 증상: 인슐린이 부족하면 세포내로 포도당이 들어가는 양이 감소하여 세포 내 에너지가 부족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간은 포도당을 무제한으로 생산하여 고혈당이 생긴다.-> 고...2023.02.22· 4페이지 -
성인간호학, 당뇨병성 케톤산증, DKA, 문헌고찰, 간호 8페이지
1) 당뇨병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1) 정의▶ 인슐린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생산되지 않을 때 발생함▶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에 이상이 생김 (3가지 주요 특징: 탈수, 전해질, 손실, 산증)▶ 인슐린 부족 -> 세포 내로 포도당이 들어가는 양이 감소 -> 세포 내 에너지 부족 -> 이를 보상하기 위해 간은 포도당을 무제한으로 생산 : 이 2가지 현상으로 고혈당이 생김▶ 체내의 과다한 포도당을 제거하기 위해 콩팥에서는 수분 및 전해질과 더불어 포도당을 배출함으로써 고삼투성 이뇨가 일어남▶ ...2021.12.02· 8페이지 -
DKA(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간호진단 13페이지
의학적 진단명: Diabetic ketoacidosis, TypeⅡ Diabetes mellitus1. 간호사정 기록1) 간호력 Nursing History면담일: 면담자: 자료출처: EMR1. 일반적 사항이름 성○○ 나이(만) 35세 성별 F 직업 무2. 주호소다뇨, 다갈, dyspnea, chest discomfort3. 현병력- Body weight 6kg 정도 lose 되었으며, 11월 1일 저녁부터 가슴 불편감 및 숨쉬기 힘든 증상 지속됨, 식욕저하 및 다갈, 다뇨 지속되어 검사 및 치료 위해 본원 IG f/u 후 외래 통...2023.01.31· 13페이지 -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치료와 간호 보고서 입니다! 3페이지
DKA의 치료 및 간호1. 개요? 당뇨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은 심각한 인슐린의 결핍으로 초래되며, 고혈당, 케톤증, 산증, 그리고 탈수로 특징지어진다.? 제 1형 당뇨 환자에서 대부분 발생하며, 제 2형 당뇨 환자에서는 췌장이 여분의 인슐린 요구를 충족할 수 없는 심한 질병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제 1형 당뇨병의 경우 신체는 에너지를 만들기 위하여 저장된 단백질이나 지방을 이용하기 시작한다. 지방 조직에서는 과량의 지방산이 유리되어 간으로 이동되고 간은 조직 세포에서 이화작...2021.10.14· 3페이지 -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문헌고찰 + 간호과정(진단4개) A+(만점) 과제 12페이지
Ⅰ. 문헌고찰 1) DKA 의 병태생리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은 인슐린 부족, 수분결핍, 산염기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심한 급성 대사성 합병증으로 주로 1형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나, 인슐린을 투여하는 2형 당뇨병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1형 당뇨병에서는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흔한 급성 합병증이고 심한 인슐린 부족, 고혈당증, 산혈증, 그리고 케톤증이 특징이다. 1형 당뇨병으로 새롭게 진단받은 환자의 30-40%에게서 DKA를 관찰할 수 있으며, 예전에 이미 당뇨병을 진단 받고 치료 중인 아동의 재입원 및 응급 ...2024.01.22·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