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두부외상의 분류, 간호사정 및 중재
본 내용은
"
[모성,아동간호학] 두부외상 A+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6
문서 내 토픽
-
1. 두부외상의 발병기전두부가 충격을 받을 때 충격 받은 쪽의 뇌는 가속력을, 반대쪽은 감속력을 받아 뇌가 두개골에 부딪혀 압착된다. 전두부 충격 시 양압, 후두부에 음압이 생기는 공동화현상이 나타나며, 후두부 타박은 중증의 공동화좌상을 일으킬 수 있다. 손상받은 쪽의 충격손상과 반대쪽의 반충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
2. 두부외상의 분류경미한 두부외상은 의식변화 없이 외상 후 24~48시간 내 현기증, 오심, 구토, 두통이 생길 수 있다. 두개골골절은 선상골절과 함몰골절로 나뉘며, 경막외출혈은 짧은 의식 명료기 후 혼수에 빠지는 특징이 있다. 경막하출혈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만성의 경우 생후 3~6개월에 가장 흔하다.
-
3. 아동 두부외상의 간호사정의식수준, 대천문 돌출 등 뇌압상승 증상, 편측마비를 사정해야 한다. 소아는 구토증(약 50%)과 간질발작증에 유의해야 하며, 반복되는 구토는 뇌좌상, 뇌부종 또는 두개강 내 혈종 가능성을 시사한다. 간질 빈도도 성인보다 많으며 2/3에서 국소성 형태로 나타난다.
-
4. 두부외상 아동의 간호중재기도유지를 위해 기관 내 삽관이 기관절개술보다 바람직하다. 두피정맥 주사침 삽입을 삼가야 하며, 수액투여에 신중해야 한다. 반복되는 구토로 탈수증이 심할 수 있으나 과도한 수액 주입은 수분중독이나 뇌부종을 야기한다. 발작 시 페노바르비탈이 가장 효과적이다.
-
1. 두부외상의 발병기전두부외상의 발병기전은 외부 물리적 충격이 두개골과 뇌조직에 직접적 손상을 야기하는 과정입니다. 초기 손상(primary injury)은 충격 순간 발생하며, 이차 손상(secondary injury)은 뇌부종, 뇌압 상승, 혈류 감소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특히 가속-감속 손상은 뇌조직의 전단력을 증가시켜 축삭손상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개입의 기초가 되며, 신경학적 악화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손상 메커니즘을 파악하여 잠재적 합병증을 예측하고 환자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2. 두부외상의 분류두부외상의 분류는 손상의 심각도, 해부학적 위치, 손상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집니다. Glasgow Coma Scale을 기반으로 경증, 중등증, 중증으로 구분되며, 폐쇄성과 개방성 손상으로도 분류됩니다. 또한 두개골 골절, 경막외혈종, 경막하혈종, 뇌좌상 등 구체적인 손상 유형별 분류도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 정확한 분류는 예후 판정, 치료 방침 결정, 간호 계획 수립에 필수적이며, 각 분류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
-
3. 아동 두부외상의 간호사정아동 두부외상의 간호사정은 성인과 달리 발달 단계별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신경학적 사정에서 의식 수준, 동공 반응, 운동 및 감각 기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제한을 고려한 관찰이 필수적입니다. 활력징후, 두개골 손상 징후, 신경학적 악화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아동의 불안, 통증, 행동 변화 등 심리사회적 반응도 사정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며, 보호자의 불안 정도도 함께 평가하여 전인적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4. 두부외상 아동의 간호중재두부외상 아동의 간호중재는 신경학적 악화 예방과 합병증 관리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뇌압 상승 관리를 위해 두부 거상, 목 중립 위치 유지, 과환기 방지 등의 환경 조성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신경학적 사정, 정확한 약물 투여, 감염 예방 간호가 중요하며, 아동의 안전을 위한 낙상 예방과 경련 대비도 필수입니다. 동시에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심리사회적 지지, 보호자 교육 및 정서적 지원을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 회복을 촉진해야 합니다. 퇴원 후 재활 및 추후 관리에 대한 지도도 중요한 간호중재입니다.
-
외상성 경막하 출혈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1. 외상성 경막하 출혈(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TSH) 교통사고, 추락 등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를 둘러싼 경막 안쪽의 뇌혈관이 파열되어 뇌와 경막 사이에 피가 고이는 질환이다. 노인은 낙상, 영유아는 아동학대, 젊은 사람은 교통사고가 주요 원인이다. 즉시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피가 뇌를 압박하여 ...2025.11.15 · 의학/약학
-
경막하출혈(SDH) 질병보고서1. 경막하출혈(Subdural Hemorrhage) 경막 안쪽의 뇌혈관이 파열되면서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과 지주막 공간에 출혈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경막 안쪽의 뇌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대부분 시상정맥동이 파열되며 출혈이 발생한다. 이러한 뇌출혈은 뇌표면에 혈종이 생기면서 뇌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조...2025.05.11 · 의학/약학
-
A++)성인간호학실습 신경계중환자실CCU실습 경막하출혈(SDH)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2개 22페이지
경막하 출혈(SDH)학 교과 목담당교수학 과학 년학 번이 름< 목 차 >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Ⅱ. 문헌고찰 ········································································ 3~6Ⅲ.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 6Ⅳ. 간호과정 ····················...2024.06.16· 22페이지 -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case report SAH(외상성 지주막하출혈) 32페이지
1. 자료수집 양식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1) 현병력○ 과거력상기 환자 M/44세로 10년전 서울대병원에서 AVM(뇌혈관질환) 진단받고 수술 권유받았으나 증상 없어 수술 피하고 지냄. 자가 복용약 없음.○ 입원일- 사정 전정○○님은 11/24일 작업현장 약 3m가량 높이에서 떨어져 엉덩이, 허리로 부딪힌 후 머리 부딪히며 추락함. 머리 및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119 구급차로 본원 ER로 내원함. 두부 외상으로 후두부위의 부드러운 종창이 관찰됨. mental: alert, pupil size: 5p/5p이며, (...2024.11.19· 32페이지 -
A+ 아동간호학실습 뇌전증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14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 CASE STUDY뇌전증(Epilepsy)과목명아동간호학 실습담당 교수실습 기간제출일학과학번이름문헌고찰1. 뇌전증(Epilepsy)의 정의뇌전증은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이상을 일으켜 과도한 흥분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나타나는 의식 소실, 발작, 행동 변화 등과 같은 뇌 기능의 일시적 마비 증상이 만성적,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뇌 질환을 의미한다. 즉, 발작을 초래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생하여 만성화된 질환군을 의미한다.2. 원인...2025.03.11· 14페이지 -
A+ 아동 요로감염(UTI)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CASE) 진단 2개 평가까지(고체온, 피부 통합성 장애) 포함!! 16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요로감염(UTI)CASE STUDY-------------------------------------------------------------------------------실습기관실습병동실습기간실습지도교원조학 번이 름제출일- 목차 -Ⅰ. 서론Ⅱ. 본론1. 문헌고찰1) 정의2) 분류3) 원인 및 위험요인4) 증상5) 진단6) 치료7) 예방2. 간호과정 사례보고서1) 환자소개2) 기...2024.04.07· 16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A+]Sickle Cell Anemia 겸상적혈구 빈혈 케이스 V-SIM 15페이지
1) 환자 소개환자명B***** l***나이(출생년월일)2016년 10월 12일 (5세)성별F혈액형Rh{}^{+ ^{}}A입원일2021년 12월 23일과거력생후 6개월 겸상적혈구빈혈 (Sickle Cell Anemia)의학적 진단명Sickle Cell Anemia질병과정생후 6개월 sickle Cell anemia, 3세 fever, 4세 vaso-occulsive crisis 특이 과거력 있는 환아로 지난 2일동안 오른쪽 다리 통증을 호소하여(2021/12/22) 어머니와 함께 밤에 ER로 내원하였다.2) 질병기술(1) 빈혈(an...2022.04.19·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