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상질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거중심간호와 PICO
1.1.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
1.1.1.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의 효과
1.1.2.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1.2. 치매 환자의 비약물적 치료
1.2.1. 치매 환자의 비약물적 치료의 효과
1.2.2. 치매 환자의 비약물적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1.3. 수술실 감염관리
1.3.1. 수술실의 청결물품과 오염물품 동선 분리
1.3.2. 수술 부위 소독 방법
1.3.3.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별 카트 공급시스템
2. 심방세동 환자의 항응고제 사용
2.1. 심방세동 환자에서 와파린 vs NOAC 사용의 효과 및 안전성
2.2. 심방세동 환자에서 NOAC 사용의 장점
2.3.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응고제 선택 예측 인자
2.4. 심방세동 환자의 주요 출혈 관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거중심간호와 PICO
1.1.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
1.1.1.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의 효과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은 병원 획득 감염 발생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클로르헥시딘은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진균 및 일부 바이러스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 활성을 보이며, 세포막 파괴와 세포 내 단백질 침전을 통해 항균 작용을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2% 클로르헥시딘으로 매일 침상목욕을 시행한 결과 다제내성균 획득 발생률, MRSA 발생건수, 혈류감염 발생률 등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클로르헥시딘 목욕은 피부 세균 집락화 감소에도 효과적이었다"." 이처럼 중환자실 환자에게 2% 클로르헥시딘으로 매일 시행하는 침상목욕은 다양한 병원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2. 중환자실 환자의 클로르헥시딘 목욕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서지수와 송라윤(2021)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의 의료관련감염 및 다제내성균 감염 예방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발행된 논문 중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중재 연구를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을 받은 경우, 대조군은 2%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하지 않고 상목욕을 시행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중재는 의료관련감염과 다제내성균 감염 발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발생률이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진은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이 중환자실의 감염관리를 위한 비용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다만 일부 연구에서는 피부 반응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어 추가적인 무작위대조군 실험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아 중환자실과 일반병동에서도 클로르헥시딘 목욕이 감염 예방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중환자실 내 감염관리를 위한 근거 중심 간호중재로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2. 치매 환자의 비약물적 치료
1.2.1. 치매 환자의 비약물적 치료의 효과
치매 환자의 비약물적 치료의 효과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첫째, 비약물적 치료는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곽호성과 박지혁(2018)의 체계적 고찰 연구에 따르면, 10편의 연구 중 7편에서 비약물적 중재 후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치매 환자에게 적용된 비약물적 중재 방법에는 회상치료, 음악치료, 다감각 자극, 작업치료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중재들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비약물적 치료는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 권미화와 이재신(2017)의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비약물적 중재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감각 자극 프로그램과 작업치료가 행동심리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치매 환자의 정서적, 감각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비약물적 중재가 증상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비약물적 치료는 치매 환자의 자존감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이나래 외(2021)의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자존감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클라이언트 중심적 접근을 통해 치매 환자의 의사를 반영하고 적절...
참고 자료
구미옥, 조용애, 은 영, 정인숙, 이선희, 서현주. (2021). 근거기반간호 입문. 서울: 포널스출판사.
Lewis, S. R., Schofield‐Robinson, O. J., Rhodes, S., & Smith, A. F. (2019). Chlorhexidine bathing of the critically ill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
이주연, 정재심, 김민영, 박실화, & 황영희. (2018). 중환자실에서 클로르헥시딘 목욕이 다제내성균 획득과 의료관련감염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 38-46.
서지수, & 송라윤. (2021).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이 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과 다제내성균 감염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1(4), 414-429.
심영아. "간이식환자를 대상으로 한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의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부산
Bleasdale, S. C., Trick, W. E., Gonzalez, I. M., Lyles, R. D., Hayden, M. K., & Weinstein, R. A. (2007). Effectiveness of chlorhexidine bathing to reduce catheter-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19), 2073-2079.
윤형숙, 최은희, & 김진희. (2014).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가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과 혈류감염 발생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838-848.
곽호성, & 박지혁. (2018). 치매 환자에게 적용된 비약물적 인지중재방법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6(4), 13-26.
권미화, & 이재신. (2017).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비약물적 중재가 미치는 효과-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 540-550.
이나래, 박윤지, & 장종식. (2021). 국내 치매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효과분석: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4), 466-472.
박진세, 임유미, 김해유, 안은진, 배경인, 이영민, & 박주언. (2018). 치매환자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조사.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4(2), 1-14.
장연욱. (2015). 집단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3732415
Cho, M. K. (2008). Horticultural therapy as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BPSD in dementia. PhD Diss., Konkuk Univ., Seoul, South Korea.
국회도서관,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수술실 감염관리 실태 및 환경조사를 통한 감염예방 전략 개발 [전자자료]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점검보고서 / 질병관리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