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94)
  • 리포트(75)
  • 논문(13)
  • 시험자료(6)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번역박통사" 검색결과 61-80 / 94건

  • 구개음화 졸업논문
    한 문헌으로는 『오륜전비언해』(1721)가 있다는 것이다.이에 반해, 이명규)는 17세기 이전의 중앙자료 문헌 중 『역어유해』뿐만 아니라 『번역박통사』(16세기초) 『번역노걸대 ... 의 문헌에서 취해야 한다고 하였다. 곧 『노걸대언해』이후의 17세기 중앙어를 반영한 문헌으로 『박통사언해』(1677)와 『역어유해』(1690)가 있으며 18세기 초기의 중앙어를 반영 ... 』(16세기초)를 위시하여 최세진 소작의 일련의 문헌들 『박통사언해』(1677), 『노걸대언해』(1670) 등과 그외 남이성의 『어록해』(1669)에서도 구개음화의 증거를 발견
    리포트 | 37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07.11.29
  • 훈몽자회에 대한 고찰
    다.중종초년 (1506 ? ) 번역노걸대중종초년 (1506 ? ) 번역박통사(3권)중종 5년 (1510 ? ) 언해노걸대중종 5년 (1510 ? ) 언해박통사중종12년 (1517 ... 이전) 노박집람(2권)중종12년 전후 노걸대언해(2권)중종12년 전후 박통사언해(3권)중종12년 (1517)11월 사성통해(2권)중종19년 (1524) 2월 친영의주언해중종19년 ... (1524) 2월 책빈의주언해중종22년 (1527) 4월 훈몽자회(3권)중종27년 (1532) 9월 번역여훈중종32년 (1537)12월 운회옥편(2권)중종32년 (1537)12월
    리포트 | 1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10.09
  • [한국어 변천사]시대별 주요 문헌 자료
    다. 원간본은 전하지 않으며 권질(卷帙)이 전한다.- 번역박통사 : 조선 중종 때 최세진이 중국어 학습서인 한문본 ‘박통사’에 한글로 중국어의 정음과 속음을 달고 번역한 책이다. 권상 ... (卷上)이 전한다.- 노박집람 :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의 요점(중요한 단어 및 어구)을 뽑아 해설을 붙인 책이다.- 사성통해 : 1517년 최세진의 책으로, 신숙주 ... 으로 추정된다. 중국어 학습서‘노걸대‘를 한글로 번역한 책으로 중종 때 최세진의 ’번역노걸대‘의 중간본이 아니라 그것을 참고하여 편찬된 것이다.- 박통사언해 : 고려 말부터 사용되던 중국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1.12
  • 중세국어문법론
    서, 월인석보 서...등등. 언해문이 구결문보다 한 글자 아래 식자됨-한문+언해문: 두시언해, 원시에 구결이 없고 시에 따라 주석문이 붙음-백화문+언해문: 번역박통사, 번역노걸대 등문법 ... , 서간자료, 고려가요 등언해자료: 한문이나 중국어의 원문을 앞세우고 이를 한글로 번역한 자료 (언해: 한문, 백화문 -> 한글 번역)-구결문+언해문: 훈민정음언해, 석보상절 ... 자료의 성격: 한문 원전에서 번역된 것이 대부분, 전반적으로 한문화된 모습이나, 구결의 영향으로 의고적,문어적 성격을 지님. 대부분 전 번역-의역, 후 번역-직역 형태.원전(묘법
    시험자료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10.17
  • [국어사개설]국어사 자료 정리
    보단경언- 시식권공(5) 중종-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번역소학- 여씨향약언해, 정속언해- 간이벽온방, 우마양저염역치료방, 분문온역이해방- 번역노걸대, 번역박통사, 노박집람 ... 의 대표적인 한문 초독서로 사용된 책으로 글씨나 주석이 국어학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3) 번역박통사: 박통사와 노걸대는 고려 말에 만주에 살던 고려의 유민들의 한어를 학습하기 위하여타난다. ... - 고려시대의 석독구결을 보여주는 자료(4) 대명률직해: 고사경, 김지의 역으로 간행된 책으로 명초의 대명률을 당시의 실정에 맞게 차자표기, 즉 이두로 번역하였다.(5) 양잠경험촬요
    리포트 | 2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1.05
  • [문법]문법범주의 변화
    현세기 한국어의 청자높임법의 실현방법은 다음 ③과 같다.④ ㄱ) 날회여 말 호리?다. (번역 박통사 상:59)ㄴ) 왕오 왓?이다. (번역 박통사 상:59)그런데 청자높임어미 ... 에는 변화가 없다.⑤ 가. 고렷 ?흐로 가노-?-다 (번역박통사 상 8)나. 날회여 말 호리-?-다 (번역박통사 상 59)⑥ 가. 왕오 왓?-이-다 (번역박통사 상 59)나. ?심 ... 이나 그러?리-잇-가 (번역박통사 상 58)청자높임어미 ‘-으?-’ 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으?-’ 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두 형태가 공존한다.⑦ 엇디 어현히 ?링잇가 (첩해신어
    리포트 | 2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5.06.27
  • 구개음화의 통시적 연구와 특징
    구개음화에 대한 근거가 되는 실례가 『번역소학(1517)』에 나타나기 때문이다.(1) a. 시졀(六17a, 七32b, 九30b, 55a, 72a, 十32a)b. 시절(六10a, 七 ... 의 문헌에서 취해야 한다고 하였다, 곧 『노걸대언해』이후의 17세기 중앙어를 반영한 문헌으로 『박통사언해(1677)』와 『역어유해(1690)』가 있으며 18세기 초기의 중앙어를 반영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08.01
  •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중요성,어원,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논리,오염실태,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문제점,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훼손 사례,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바로쓰기 방법,과제
    )'에서, '동치미'는 '동침(冬沈)'에서 나왔다. '시금치'는 뿌리가 붉은 채소라는 뜻의 '적근채(赤根菜)'에서 나왔는데, 『훈몽자회』와 『번역노걸대』에서 '시근'라고 하였는데 이 ... (內凶)'에서 나온 말이다. '빈대떡'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17세기의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에 보이는 '빙져(餠食者)'에서 나왔다는 설이 지배적이
    리포트 | 18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11.05.10
  • 구비문학개론-속담
    번역번역 박통사에는 원문의 "상언(常言)"을 "샹노말"로 직역한 것을 보면 그 당시 속담이란 말은 잘 쓰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광해군 말년에 어우당 유몽인이 지 ... 중엽 세종실록 권73에 "언왈 고려공사삼일(諺曰 高麗公事三日)"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또한 중국어 교과서인 박통사에 중국어 속담이 몇 개 나오는데 중종 때인 16세기 초 최세진
    리포트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1.27
  • [중국어]사성통해 연구
    고 서 『통해』를 편찬하면서 그 말미에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를 붙여서 『역훈』의 발음을 『통해』에서 수정한 이유를 밝혔다. 온갖 정열을 기울인 저술이요, 그 ... (老乞大)?박통사(朴通事)』를 출판하였으며, 성종(成宗)에 들어와서도 군신(君臣)들의 역학에 대한 관심은 대단하였으며, 그 주요관심사는 말할 것도 없이 중국어에 관한 것이었고, 그 ... (冊嬪儀註)』를 번역하였다. 이 두 책은 궁중의 법도를 규정한 것으로 중국의 규범에 맞춘 것이어서 최세진의 한어 지식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중종 22년(1527) 4월에는 자획(字劃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6.06.17
  • [국어학사]조선시대 역학자들의 외국어 교육
    문서, 한어(회화)가 있었다. 몽고어 시험 에는 문자의 번역, 글자를 베껴 쓰는 필기시험과 몽고어(회화)가 출제되었다. 한어, 몽고 어 회화능력도 시험하였으며 노걸대와 박통사 ... -1398)는 1393년 사역원을 받아들여서 설치하고 이곳에서 중국어 를 가르치고 연구하게 하였다.- 번역, 통역을 양성하는 국가 행정기관이며, 외교임무를 수행 및 관장하였다. ... 으로 중국어 회화 학습서이다.③ 중종조의 최세진에 의하여 정음으로 번역 됨.④ 호란 이후 이 번역본을 근거로 여러 차례 언해의 수정이 이루어졌다.⑤ 영조조에는 한어마저 교정
    시험자료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05.06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를 비롯한 간경도감 간행의 불경언해들.?한문과 언해문이 짝지어진 것 - 대표적으로 두시언해?백화문과 언해문이 짝지어진 것 - 번역박통사, 번역노걸대가 대표적④협주자료 : 번안자료와 언해 ... 고 이를 한글로 번역. 중세의 대부분의 한글문헌은 한글 붙은 구결문이 먼저 나오고 이를 한글로 번역한 언해문이 나오는데, 석보상절은 구결문이 없다. 현재 남은 것은 초간본 8권 ... 음.③언해자료 : 한문이나 중국어의 원문을 앞세우고 이를 한글로 번역. 세 부류가 있음?구결문과 언해문이 짝을 이루는 것 - 훈민정음언해, 석보상절 서, 월인석보 서, 능엄경언해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0.20
  • 속담과 한국인의 사회심리
    왈 고려공사삼일(諺曰 高麗公事三日)"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또한 중국어 교과서인 {박통사}에 중국어 속담이 몇 개 나오는데 중종 때인 16세기초 최세진이 번역한 {번역 박통사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10.10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특성 비교론 -응운, 자료, 어휘, 표기 면에서
    에도 소수의 예가 보인다.?(銅)부플 , 갸? (家事, 의미는 ‘椀?’이었음) ,훠(靴 ,능엄 6:96>, 노(羅) 등.16세기에 사용된 중국어들은 《번역박통사》,《훈몽자회》등에 많이 ... 를 비롯한 다른 문자와 혼용하여 쓴 자료를 포함시킨다.* 번역 여부에 따른 분류한글 자료는 그 문헌이 번역을 거치지 않고 직접 국문으로 쓴 문헌인가, 번역을 거쳐 이루어진 문헌인가 ... 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전자를 원국문본, 후자를 번역본이라 한다. 번역본은 다시 한문이나 백화문을 번역한 언해본과 그 이외의 언어인 몽고어 청어 왜어 등을 번역한 역학서본, 그리고
    리포트 | 2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8.02.06
  • _국어사_개설 정리
    초엽 번역박통사에 처음 보임)- 이 밖에 ‘-ㄴ뎌’, ‘-ㄹ쎠'가 있었다.? 이들의 형성은 ‘동명사 어미’와 형식명사 ‘?, ?’와 ‘계사’로 분석? 계사와 그 활용- 계사
    시험자료 | 60페이지 | 8,000원 | 등록일 2012.02.27
  •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
    한다.최세진의 사성통해에 수록된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合脣作聲 爲ㅂ而曰脣重音 爲ㅂ之時 將合勿合 吹氣出聲 爲ㅸ而脣輕音.- 입술을 합하여 소리를 낼 때 ㅂ음이 되는 것을 순중음이라고 하고, ㅂ음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07
  • [국어사]근대국어
    살펴보면 16세기 문헌에는 문자 ‘ㆆ, ㅸ’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이 두 문자는 이미 15세기 후반에도 사용되지 않았으며, 다만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와 번역박통사(飜譯朴 ... 는데, 한어와 왜어는 17세기에, 만주어와 몽고어는 18세기에 주로 간행되었다.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등이 이에 속한다. 19세기 후반에는 주로 외국인 ... 들에 의하여 한국어 학습서가 간행되었는데 헐버트의 조선위국자휘(祖先危局字彙), 푸칠로의 노한사전 등이 당시의 국어를 알게 해주는 자료가 된다.이밖에도, 번역문이 아닌 한글로 창작된 문헌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3.17
  • 후기 중세국어
    .13)- 나가디 슬?야(삼강행실도, 열녀도16)- ?? 보디 됴?니라(번역박통사.상5)▶ 관형사형 어미▷ 현대 국어와 같이 ‘-ㄴ, -ㄹ’이 있음.▶ 연결형 어미▷ 대등적 연결어미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2.12 | 수정일 2016.12.10
  • 중세국어의 음운변화
    몽고어 차용어(관명, 말과 매 등의 군사어에 국한)는 15세기 이후에 문자로 기록되었다.① 16세기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훈몽자회』(訓蒙字會)는 正音표기② 안평대군의 古本
    리포트 | 1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06.15
  • 중세 국어의 모음체계
    )”에서 이 문자가 ‘이스랒’(두시언해 15.20). ‘이?랏’(번역박통사 상4)의 ‘스’ 또는 ‘?’를 표기하고 있음은 그 고대적 용법을 보여주는 듯하다. 한편 처용가의 “명기
    리포트 | 1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7.12.01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