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94)
  • 리포트(75)
  • 논문(13)
  • 시험자료(6)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번역박통사" 검색결과 21-40 / 94건

  • 중세국어의 특수어간 교체에 대하여
    (번역박통사上)지정ㅈㆍㄹ이니(두시언해)쟈ㄹㆍ(袋)쟈ㄹㆍ 袋(불정심경언해下)쟈ㄹㆍ(훈몽자회)배제격쟐ㅇㆍㄴ(두시언해)처격쟐ㅇㆎ(구급간이방)쟐의(구급간이방)?제3류ㅁㆍㄹㆍ(類)ㅁㆍㄹㆍ 棟 ... , 宗(훈몽자회中)공동격ㅁㆍㄹㆍ와(두시언해)배제격ㅁㆍㄹㄹㆍㄴ(번역소학)주격ㅁㆍㄹ리(월인석보, 두시언해)처격ㅁㆍㄹㄹㆎ(두시언해)대격ㅁㆍㄹㄹㆍㄹ(월인석보, 법화경언해)ㅎㆍㄹㆍ(一日)ㅎ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5.14
  • 중세국어의 방점과 성조
    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1506년에서 1517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알려진 『번역노걸대』와 『번역박통사』에서는 방점이 매우 정밀하게 표기됐다. 그러나 그보다 2-30년 앞선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10.30
  • 국어 음운론 - 음운 현상의 이해 ㄷ구개음화(口蓋音化)
    으로 다음과 같은 15세기 문헌을 제시하였다.진·짓 ·어·딘 남지·니러·라 = 眞箇是好男兒- 『번역박통사』츠기 너·겨 :모·지마·라 :듛디라·도 ≒ 其心不喜 設不得已而行施時- 『석보상절 ... 』횩뎌·근 ·?·호 ·사·리·라 = 買些零碎的貨物- 『번역노걸대』네 :사? ?·리·샤 ·셕·슬 ·치자?·시·니 = 遂率四人 按 而行?리·예 ·?딜 ?·? 넌즈시 ·치·?시·니 = 橋
    리포트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3.22
  • 중세국어 도표정리
    ㄴ8)소학언해(1588)사서언해(1590)효경언해(1590)간이벽온방언해(1525)번역노걸대(1517)번역박통사(1517)시용향악보(16세기 초)악장가사(16세기 초)사성통해
    리포트 | 1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12.02
  • [국어사개설] 5. 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의 흔적2) 고려 관명3) 말과 매 및 군사에 관한 것4) 대부분 15세기 이후에 문자로 기록① 16세기 『번역박통사』, 『훈몽자회』: 정음 표기(← 가장 정확함.)② 14세기 『응골방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12.20
  • 조선시대의 교육 용어정리
    는 사역원에서, 복시는 예조와 사역원에서 주재하였는데, 한학ㆍ몽학ㆍ왜학ㆍ여진학의 네 분과가 있었다.3. 사역원(司譯院): 고려ㆍ조선 시대에, 외국어의 번역 및 통역에 관한 일을 맡아보 ... . 사학의 훈도는 성균관의 관원들이 겸임하였다.2. 노걸대(老乞大): 조선시대에 역관(譯官)들의 외국어 학습 및 역과시(譯科試)용으로 사역원에서 간행한 중국어 학습서.3. 박통사(朴
    리포트 | 18페이지 | 2,900원 | 등록일 2020.11.23
  • 박통사 언해류의 음운.형태.통사 연구
    박통사』 언해류의 음운·형태·통사 연구Ⅰ. 해제본고에서는 『박통사』의 언해본 중 특히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 중 상(上)권에서 나타나는 국어의 음운, 형태, 통사 등 ... 에 걸쳐 언해본이 간행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의 경우 거의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나 『번역노걸대』는 목판본이고 『번역박통사』는 활자본이라는 점에서 함께 발행 ... 된 내용보다는 중국의 문화와 더 밀접하기 때문 장숙영(2008).에서인지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고에서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번역박통사
    리포트 | 1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5.06.29
  • 국어사 기말고사 연습문제
    번역을 붙여 간행하였다.⑪ 번역노걸대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를 언해한 책. 원문에는 한글로 중국음의 정음과 속음을 표시했다. 상인들의 여행과 교역에 관한 회화집이다.⑫ 번역박통사 ... 문헌에서 효자·충신·열녀를 가려 뽑아 그림과 설명을 붙여 간행한 책이다.⑧ 두시언해당나라 두보의 시를 번역한 책. 원문에 구결이 없고, 언해문의 한자에도 한자음을 달지 않 ... 중국어 학습서인 박통사를 언해한 책. 중국인의 생활 풍습과 제도 등에 관한 문답을 모은 회화집이다.⑬ 시용향악보우리나라 악보로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으나, 26곡의 노래가 정간보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01.07 | 수정일 2025.08.11
  • 중세국어 특수조사,특수조사의 개념,특수조사의 쓰임
     니 ( 번역 ) 박통사 , 상 :1특수조사의 쓰임 다 조차 , 조초 , 조쳐 브터 셔 두고 , 라와 자히 장 ㄴ  려 게 , 그 , 거긔 , 손 자히 명사에서 기원한 듯 ... 나타냄 예문 (1) 게 가 몯 나시리라 월인석보 2.11 (2) 내 여긔 갈 일호니 남명집 上 36 (3) 거긔 가 도라오디 아니면 번역소학 8.26 (4) 紺 장 프른 거긔 블 ... 야 法 므더니 너기며 사 므더니 너길씨 增上慢이라 석보상절 9.14 (2) 후에 나 사미 조 셩이  두곤 더으니  저프디 아니고 번역 소학 8.37 (3) 엇디
    리포트 | 1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8.11.07
  • 역관 양성/고려시대, 조선시대 역관/ 역관은 어떻게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었는가
    다. 하지만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만큼 외교관이 되는 과정은 까다롭기 그지없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의 외교관, ‘역관’은 어떠한가? ‘역관’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통역, 번역 ... 하여야만 했고 그 과정에서 노걸대가 집필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고려시대 때부터 전해 내려온 노걸대는 조선왕조 4대 세종 당시 세종의 명으로 한 데 모아 책으로 엮어내었다. 박통사의 박(朴 ... 게 역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박통사’는 박씨 성의 역관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노걸대는 고려의 상인이 고려 특산품들을 가지고 중국 북경에 들어갔다 귀환하는 여정에서 발생할 수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6.01.04
  • 한국어어휘교육론-한국의 전통적 어휘교육 교수법에서 수정·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나 『몽어노걸대』가 지니고 있는 번역식 수업의 한계를 보충해주었을 것으로 짐작된다.『역어유해』의 경우는 조금 앞서 된 『노걸대언해』와 『박통사언해』의 예를 따라 발음을 정음과 속음 두 ... 었으며, 구어보다는 문어가 중심이 되는 교수법이었다.문법 번역식 교수법의 특징은 정확한 번역에 있었으며 이러한 사정은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의 교재는 문법 설명과 어휘 설명 ... , 번역 연습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따라서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 어휘교육이 차지하는 부분이 매우 컸다. 그러나 번역이 목표가 되었기 때문에 암기식으로 어휘 교육을 단순하게 취급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6.02.16
  • [독후감]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 조선시대의 외국어 학습서인 《노걸대》, 《박통사》, 《첩해신어》등이 있었다는 것에 매우 놀랐다. 책에 부분적으로 수록되어있는 본문과 내가 알고 있는 중국어 지식을 비교해보며, 이 ... 함이 지금의 규장각을 있게 하고,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것이 아닌가 싶다.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 - 《노걸대》, 《박통사》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관심이 간 부분 중에 하나가 조선 ... . 역관을 양성하는 기관이라고 하는데 생각보다 체계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했고, 지금의 영어마을과 같은 곳도 있었다. 회화, 강서, 사자, 번역 등의 분야로 나누어 전문분야만을 따로 전담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12.18
  • 경기대 언어와 문화 중간고사정리 빈칸채우기 A+ 성적인증포함
    었다. 부경취재5) 역관 최세진과 오경석(1)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역관인 ( )은 ( )어 역관이었다. 그는 ( ), ( )를 한글로 번역하는 일을 포함하여 10여 종의 저술을 남겼다. 최세진, 한, 노걸대, 박통사 ... 이는 구두시험과 필기시험으로 나뉨(2) 구두시험은 ( ), ( ), ( ) 등이 있었음. 회화시험, 배송, 배강(3) 필기시험은 ( ), ( ), ( ) 중에서 1구를 번역 경사
    시험자료 | 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7.01.20
  • 근대국어 자료 (a+발표자료)
    정조(正祖) 때 간행된 《노걸대(老乞大)》를 한글로 번역한 책.*박통사언해: 고려 말부터 사용되던 중국어 학습서 《박통사(朴通事)》를 언해한 책*첩해신어: 조선 중기의 사역원(司譯院 ... )② 현종: 남이성의 수정 주관 및 정양의 발문이 붙은 책(1669)③ 숙종㉠ 노걸대 언해(2권,1670), 박통사언해(3권, 1677) : 개역본. 역사서.㉡ 첩해신어(10권 ... ,1776): 경상도 예천 해인사 개간. 방언 반영ⓒ 명의록언해(3권,1777): 궁중의 특수어 반영㉡ 역학서㉢ 사역원(번역통역 및 외국어 교육기관) 간행물㉮ 한역서: 역어위해보(1775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3.03.29
  • 15세기부터 19세기 분철 연철 중철 변화양상
    는 산발적 수준이었다. 분철 표기를 시도할 때에 가장 먼저 적용되는 ‘사람’과 ‘마음’ 명사를 번역노걸대와 번역박통사에서 연철로 표기했기 때문이다.* 16세기 전반의 분철 표기 ... 한다.>전반에서는 16세기 말엽에 이룩되었던 분철의 전통이 크게 흔들리다 박통사언해에 와서 제자리를 다시 찾는 경향을 보였다.>중철도 비록 다른 표기 방식에 대체될 만한 세력은 한 번 ... 비록 부분적이지만 여기서는 다시 등장한 것이다.다음은 역시 ‘ㄷ’말음에 관계되는 것이나 이번에는 그 ‘ ㄷ’을 ‘ ㅅ ’으로 바꾸어 분철한 경우다. ‘맛’(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01.10 | 수정일 2016.08.02
  • 근대국어 요약본
    ), 박통사언해(1677), 청해신어(1676), 역여유해(1690), 신전진초방언해(1698)3) 18세기 문헌 자료(1) 영정조① 언해㉠ 중간본 및 개찬본 : 삼강행실도(1729 ... ), 자휼전칙(1783), 무예도보통지언해(1730), 중수무원록언해(1792), 동몽선습언해(1797), 염불보권문(1776), 명의록언해(1777)② 역학서③ 사역원(번역 통역 및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7.05.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사 후기 중세국어 정리
    이 있고, 번역박통사는 일상 회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 이채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제1절 자료1.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자료① 조선관역어- 중국인에 의해 편찬 ... 은 기관에서 편찬한 것들이 많다. 이들 문헌은 전반적으로 당시의 중앙어, 그것도 상류계급의 언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문헌은 대부분 언해로서 한문의 번역문이 가지는 독특 ... - 능엄경언해 : 간경도감에서 최초로 간행된 불경 언해로 활자본과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번역양식은 철저한 직역인데, 원문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이어서 번역을 쌍행으로 싣는 방식
    시험자료 | 1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6.08.27
  • [국어교육] 외국어 학습 제재로서의 문학 - 중세 동아시아 삼국의 경우 및 근대 전환기 서양 국가들의 한국어 학습의 경우
    외국어 학습 제재로서의 문학목차1. 중세 동아시아 삼국의 경우2. 근대 전환기 서양 국가들의 한국어 학습의 경우1. 중세 동아시아 삼국의 경우노걸대 와 박통사 에 와서 외국어 ... 으로 개칭)을 두었고, 한어통사(漢語通事), 몽고어통사(蒙古語通事), 여진어통사(女眞語通事)를 양성했다. 고려 말에 노걸대 와 박통사 가 등장한 것이 이러한 제도적 바탕 위에서 가능 ... ) 가 참고 교재로 등장했다. 훈세평화 는 한국과 중국의 여러 서적에서 충(忠), 효(孝), 열(烈), 신(信)에 관계되는 글들을 뽑아 한문 원문과 함께 중국어 번역문을 함께 실
    리포트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9.18
  • 조선조(朝鮮朝) 역학서(譯學書)에 관한 제고찰(諸考察)
    다. 현전에 인하대학교부설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영인본을 냈다.(5)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이미지 출처: 디지털한글박물관 외국어 학습서 특별전한학서(漢學書)로 ‘박통사(朴通事)’라는 이름 ... 있는 중국어와는 거리가 멀다. 『노걸대』와 『박통사』는 몽고어가 많이 들어가 있어 순수한 중국어가 아니라 장사치들의 천박한 이야기라고 하면서 중국어를 배우는 후학들에게 도움을 주 ... 기 위하여 권선음즐서(勸善陰?書))가운데서 권계(勸誡)할 만한 이야기 65개를 골라 구어체 한어(漢語)로 번역하여 그 이름을『훈세평화(訓世評話)』라고 하였다. 『성종실록(成宗實錄
    리포트 | 49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6.28
  • 국어 종성 표기의 변천사 정리 (중세-근대-현대)
    는 산발적 수준이었다. 분철 표기를 시도할 때에 가장 먼저 적용되는 ‘사람’과 ‘마음’ 명사를 『번역노걸대』와 『번역박통사』에서 연철로 표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16세기 전반에는 분철
    리포트 | 1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6.29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