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而可以終身行之者好,유 일 언 이 가 이 종 신 행 지 자 호.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자 왈 기 서 호, 기 소 불 욕, 물 시 어 인.자공이란 사람이 물었다. 한마디 ... .인간의 감화는 시에서 일어나고 사회질서 규법 예의도덕은예에서 쓰고 인간의 완성은음악에서 이루어지는것이다能而禮讓爲國乎, 何有.능 이 례 양 위 국 호, 하 유.不能以禮讓爲國, 如禮 ... , 미 족 여 의 야.선비가 도에 뜻을 두고, 옷이 좋지 못하고, 음식이 좋지 못한 것을 부끄러이 여기는 자와는 의논할 대상자가 못된다.賢哉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食->1
七稜石上松下 若能得此者 乃吾子也 類利聞之 乃往山谷 索之不得 倦而還 一旦在堂上 聞柱礎間若有聲 就而見之 礎石有七稜 乃搜於柱下 得斷劍一段遂持之與屋智-句鄒-都祖等三人 行至卒本 見父王 以斷 ... 에 있어서도 또한 하늘에 제사를 지냈는데 소를 죽여(殺) 발굽(蹄)을 보고 길흉을 점쳤다.濊常用十月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상용십월제천 주야음주가무 명지위무천)해마다 10월이 ... 는 사람이 없었다. 여옥은 이 노래를 이웃에 사는 여용에게 전했다. 이름하여 [공후인]이라 하였다按 朝鮮則漢詩 樂浪郡朝鮮縣也 麗玉所製 引古詩記載 其詞亦曰 公無渡河 又琴操九引有 引 皆本於
차위지지유자무명무譜無籍傷也其死可得以詳而其生則闕也 中歲獨身流寓與汝化爲主客三十年樸 無他能보무적상야기사가득이상이기생칙궐야수중세독신유우여여화위주객삼십연박눌무타능日惟業織 然不自 以 汝化汝 ... 의 비가 기능이 다름.원래 궁실의 비는 해그림자를 표지하여 시각을 알리는 것이고, 종묘의 비는 제사때 희생동물을 묶어 두기 위한 것 - 주목왕때 공덕을 기록하는 기능으로 발전 ... 낭야대각석문 - 전반부에 진시화의 공덕을 칭송한 뒤 후반부에 각석의 이유를 새기고 각석을 의논한 대신들 명단도 새김, 후반부는 후서와 유사② 한대에는 보통 서(序)를 두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