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50개
-
파종성혈관내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총정리 A+자료2025.05.071. 파종성혈관내응고 파종성혈관내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는 질병이 아니라 어떤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자극된 정상적인 응고과정이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결과이다. 급성 DIC의 원인으로는 쇼크, 패혈증, 용혈 과정, 산과적 조건, 조직 손상, 열사병, 심한 뇌손상, 이식거부반응, 수술 후 외상 등이 있다. 아급성 DIC는 악성 질환, 급성 백혈병, 전이성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DIC는 간질환, 전신 홍반 루푸스, 국소화된 악성 질환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병태생...2025.05.07
-
성인간호학 혈우병 case study (간호진단 3가지-낙상, 출혈, 불안)2025.01.131. 혈우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혈우병은 응고인자의 결함이나 결핍으로 발생되는 유전적 출혈 장애로, 혈우병 A, 혈우병 B, 혈우병 C, 본빌레브란드병 질환 등이 포함된다. 혈우병 A와 B는 임상적으로 거의 구분할 수 없으나 검사치로 구별이 가능하다. 혈우병 A는 응고인자 VIII의 결핍, 혈우병 B는 응고인자 IX의 결핍으로 인한 출혈 장애이다. 2. 혈우병의 증상 혈우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관절 내 출혈, 연부 조직 출혈, 근육 내 출혈 등 심부 조직의 출혈이 있다. 출혈은 가벼운 상처를 입은 후에 나타날 수 있으며 저절로 발생하기...2025.01.13
-
진단검사와 간호_혈액계, 내분비계 진단검사 (검사별 목적, 방법, 간호, 판독법, 검사준비)2025.01.101. CBC (전혈구검사) CBC (전혈구검사)는 혈구의 생성, 구조, 기능, 수명을 알기 위한 검사입니다. 적혈구(RBC), 혈색소(Hb), 적혈구용적률(Hct), 백혈구(WBC), 혈소판(platelet) 등의 정상범위와 임상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가 또는 감소된 경우 빈혈, 감염, 출혈 등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LFT (간 기능 검사) LFT (간 기능 검사)는 간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생화학적 검사입니다. AST, ALT, LDH 등의 정상범위와 임상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세포 손상 ...2025.01.10
-
혈액형 판정 실험 연구 보고서2025.11.161. ABO 혈액형 판정법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의 혈액형물질에 따라 A형, B형, O형, AB형 4가지로 분류된다. 피검혈구와 항A, 항B혈청을 이용한 표면검사와 기지의 혈구를 사용한 이면검사를 통해 정확한 혈액형을 판정한다. 항원-항체 반응에서 응집원 A와 응집소 α, 응집원 B와 응집소 β가 만나면 응집반응이 일어나 혈액형을 판정할 수 있다. 2. 혈액응고 메커니즘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오면 혈액응고인자가 활성화되어 피브리노겐이 트롬빈 효소에 의해 불용성인 피브린으로 변환된다. 피브린이 중합하여 그물 구조를 형성한 후 혈구가...2025.11.16
-
항문암 Anal Cancer 케이스 교수님께 칭찬받은 A+ 자료! (간호진단2개)2025.01.041. 혈액계 구조와 기능 혈액계는 혈액과 혈액을 생성하는 조직으로 구성되며, 혈액, 골수, 비장, 간 등이 포함된다. 주요 기능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혈액 응고, 감염에 대한 저항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혈액장애가 발생하면 이들 기능이 방해를 받아 저산소증, 출혈, 감염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2. 임상진단검사 혈액검사, 골수검사, 유로빌리노겐 검사 등을 통해 혈액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혈액검사에는 전혈구 검사, 말초혈액도말검사, 철분검사, 적혈구 침강속도 측정, 응고기능 검사, 쿰검사, 적혈구취약성검사 등이 포함된다...2025.01.04
-
SCL 검체 용기 및 주요 검사 항목, 간호학과 자료2025.05.081. SCL 검체 용기 SCL 검체 용기에는 EDTA tube, SST tube, NaF tube, Transport medium, Sodium citrate tube, 결핵균 특이항원 자극 IFN-γ tube 등이 있습니다. 각 용기에는 첨가제와 주요 검사 항목이 다르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채취량, 보관 방법, 주의사항 등을 확인하여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EDTA tube EDTA tube는 K2 EDTA가 첨가되어 있으며, CBC, RBC morphology 등 혈구 계산, 혈구 형...2025.05.08
-
임신 후반기 출혈성 합병증2025.11.161. 전치태반 전치태반(placenta previa)은 임신 후반기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태반이 자궁경 내구를 덮는 정도에 따라 완전, 부분, 변연, 하위태반으로 분류된다. 빈도는 임신 150~200:1이며, 고령, 다임신부, 다태임신, 선행제왕절개술이 위험요인이다. 특징적 증상은 무통성 출혈이며, 초음파검사로 진단한다. 처치는 대기요법 또는 제왕절개술이며, 30% 이상의 전치태반이거나 출혈이 심하면 제왕절개술을 시행한다. 2. 태반조기박리 태반조기박리(abruptio placenta)는 임신 후반기에 정상 착상된 태반이 태...2025.11.16
-
총담관암 및 췌장암 진단검사 결과 분석2025.11.151. 종양표식자 검사 (CA19-9) CA19-9는 암세포막에 존재하는 종양관련항원으로, 간, 담, 췌, 장 등의 정상조직에도 극히 미량 나타난다. 암 특이성은 없으나 췌장암에서 이상 상승하여 양성률이 높다. 본 환자의 CA19-9 수치는 612U/ml로 정상범위(≤34U/ml)를 크게 초과하여 상승되어 있으며, 이는 췌장암 환자의 대부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소견이다. 경과관찰, 암의 재발진단 등 보조적 검사로 유용하다. 2. 혈청화학검사 이상소견 혈청화학검사에서 다양한 이상소견이 관찰되었다. 총빌리루빈 17.1mg/dL, 직접빌리...2025.11.15
-
피검사 채혈 순서2025.01.151. EDTA EDTA는 다른 tube에 혼합되면 Na,K, Pt.ptt 를 증가시키고, calcuim, iron을 감소시킵니다. 2. 채혈 순서 6번 tube는 Na,K을 증가시키고 세포막에 손상을 줘서 혈액세포를 변형시키므로 마지막에 담아야 합니다. 1. EDTA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는 혈액 검사 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응고제 중 하나입니다. EDTA는 혈액 내 칼슘 이온을 결합하여 응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혈액 검체의 안정성을 높이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2025.01.15
-
LAB 검사 결과 해석 및 정상수치 총정리2025.11.131. 완전혈구검사(CBC) 완전혈구검사는 백혈구(WBC), 적혈구(RBC), 헤모글로빈, 혈소판(PLT) 등을 측정하여 혈액 질환을 진단합니다. WBC는 염증 정도를 측정하며 정상범위 4,000-10,000/μL입니다. RBC는 빈혈 진단에 사용되고, 헤모글로빈은 산소 운반 능력을 평가합니다.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필수적이며 150-370×10³/μL가 정상입니다. ESR, MCV, MPV, MCH, MCHC, RDW, PDW, PCT 등의 지표들도 혈액 질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혈액화학검사(Chemistry) 혈액...202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