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성혈관내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총정리 A+자료
본 내용은
"
파종성혈관내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총정리 A+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30
문서 내 토픽
  • 1. 파종성혈관내응고
    파종성혈관내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는 질병이 아니라 어떤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자극된 정상적인 응고과정이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결과이다. 급성 DIC의 원인으로는 쇼크, 패혈증, 용혈 과정, 산과적 조건, 조직 손상, 열사병, 심한 뇌손상, 이식거부반응, 수술 후 외상 등이 있다. 아급성 DIC는 악성 질환, 급성 백혈병, 전이성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DIC는 간질환, 전신 홍반 루푸스, 국소화된 악성 질환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병태생리적으로는 응고와 출혈이 상호 대립되는 출혈장애가 나타나며, 섬유소 침착과 섬유소분해산물 축적으로 인해 혈액 응고능력이 상실되어 출혈이 유발된다.
  • 2. 증상과 징후
    파종성혈관내응고의 증상으로는 출혈증상과 혈전증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출혈증상으로는 피부의 창백, 점상출혈, 혈액누출, 정맥천자 부위의 출혈, 혈종, 빈맥, 객혈, 기좌호흡, 상부 및 하부위장관 출혈, 혈뇨, 시력 변화, 어지럼증, 두통, 의식 변화, 뼈 통증 및 관절통 등이 있다. 혈전증상으로는 청색증, 허혈조직의 괴사, 폐색전, 성인호흡곤란증후군, 심전도 변화, 정맥 울혈, 복통, 마비성 장폐색, 핍뇨, 급성 콩팥기능상실 등이 나타난다.
  • 3. 진단
    파종성혈관내응고의 진단은 혈액의 응고불능 상태를 보여주는 소견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검사에서 prothrombin time,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ctivated PTT, thrombin time의 지연, fibrinogen과 platelet의 감소 등이 관찰된다. 특수검사로는 fibrin split products, D-dimer, antithrombin III의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4. 치료
    파종성혈관내응고의 치료는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첫째, 근본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둘째, 혈액제제 및 약물 투여가 필요하다. 출혈에 의한 실혈량을 측정하여 수혈을 시행하고, 혈전 증상에는 정맥 내 헤파린을 투여한다. 주사는 피하고 출혈부위에는 압박을 가해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파종성혈관내응고
    파종성혈관내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는 혈액 응고 체계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의학적 상태입니다. 이 질환은 다양한 기저 질환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혈관 내 광범위한 혈전 형성과 동시에 출혈성 경향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파종성혈관내응고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임상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기저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혈액 응고 및 섬유소 용해 체계를 조절하는 다각도의 치료 접근이 필요합니다.
  • 2. 증상과 징후
    파종성혈관내응고의 주요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부 및 점막의 출혈성 경향이 나타납니다. 반점, 반상출혈, 점상출혈, 자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장기 부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장, 간, 폐, 심장 등의 장기 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셋째, 의식 저하, 혼돈, 경련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넷째, 혈압 저하, 빈맥, 호흡 곤란 등의 순환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기저 질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3. 진단
    파종성혈관내응고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첫째, 혈액 검사를 통해 혈소판 감소, 프로트롬빈 시간 및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의 연장, 섬유소원 감소, D-dimer 증가 등의 소견을 확인합니다. 둘째, 혈액 도말 검사를 통해 파편화된 적혈구(schistocyte)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셋째, 기저 질환에 대한 검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합니다. 넷째, 필요에 따라 영상 검사, 조직 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파종성혈관내응고의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 4. 치료
    파종성혈관내응고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접근이 필요합니다. 첫째, 기저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감염, 암, 외상 등의 기저 질환을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둘째, 혈액 응고 및 섬유소 용해 체계를 조절하는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헤파린, 항트롬빈 III, 활성화 단백질 C 등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셋째, 출혈 및 혈전 예방을 위한 보조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혈소판 수혈, 신선 동결 혈장 투여 등이 포함됩니다. 넷째, 장기 부전에 대한 보존적 치료도 병행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다각도의 치료 접근이 필요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치료 계획이 수립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