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총담관암 및 췌장암 진단검사 결과 분석
본 내용은
"
총담관암(CBD cancer), 췌장암(pancreas cancer), 주증상 황달 진단검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4
문서 내 토픽
  • 1. 종양표식자 검사 (CA19-9)
    CA19-9는 암세포막에 존재하는 종양관련항원으로, 간, 담, 췌, 장 등의 정상조직에도 극히 미량 나타난다. 암 특이성은 없으나 췌장암에서 이상 상승하여 양성률이 높다. 본 환자의 CA19-9 수치는 612U/ml로 정상범위(≤34U/ml)를 크게 초과하여 상승되어 있으며, 이는 췌장암 환자의 대부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소견이다. 경과관찰, 암의 재발진단 등 보조적 검사로 유용하다.
  • 2. 혈청화학검사 이상소견
    혈청화학검사에서 다양한 이상소견이 관찰되었다. 총빌리루빈 17.1mg/dL, 직접빌리루빈 13.0mg/dL로 현저히 상승하여 폐쇄성 황달을 시사한다. AST 219U/L, ALT 84U/L, ALP 929U/L로 간 세포 손상 및 담즙 장애를 나타낸다. Amylase 4.69U/L, Lipase 312U/L 상승은 췌장염을 시사한다. 총단백 6.4g/dL, 알부민 3.6g/dL 감소는 간 질환을 의심케 한다.
  • 3. 혈액응고검사 이상
    프로트롬빈 시간(PT sec) 15.2초로 정상범위(10.0~13.5초) 초과하여 혈액응고시간이 지연되었다. PT % 63.5%로 감소하여 프로트롬빈 농도가 낮아져 있으며, 간질환, 파종성 혈관 내 응고, 비타민 K 결핍 등을 의심할 수 있다. PT INR 1.27로 상승하여 혈액 응고에 정상보다 약 1.3배의 시간이 소요됨을 나타낸다.
  • 4. 영상검사 소견 (MRCP, 초음파내시경)
    MRCP에서 담관과 진행병변의 폐쇄가 동반된 췌장 두경부암, 팽창된 담낭이 관찰되었다. 초음파내시경에서 중간~원위부의 총담관에서 1.8cm 크기 종괴가 원위부 총담관암으로 의심되며, 췌장 두부의 저에코 2.3cm 크기 종괴가 확인되었다. 이는 총담관암과 췌장암의 동시 진단을 시사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종양표식자 검사 (CA19-9)
    CA19-9는 췌장암, 담도암, 위암 등 소화기계 악성종양의 진단과 추적관찰에 유용한 종양표식자입니다. 그러나 양성질환인 담석증, 만성췌장염, 간경변증에서도 상승할 수 있어 특이도가 완벽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A19-9 수치 단독으로는 진단을 내릴 수 없으며, 임상증상, 영상검사, 다른 검사결과와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특히 초기 암 진단에는 민감도가 낮아 선별검사로는 제한적이지만, 치료 후 재발 감시나 예후 판정에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정기적인 추적검사를 통해 수치의 추이를 관찰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
  • 2. 혈청화학검사 이상소견
    혈청화학검사 이상소견은 간, 담도, 췌장 질환의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특히 ALP, GGT, 빌리루빈의 상승은 담도폐쇄를 시사하며, AST/ALT의 상승 패턴은 간세포손상 정도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들은 비특이적이므로 임상증상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LP 상승은 담도폐쇄뿐만 아니라 골질환이나 임신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청화학검사 결과는 영상검사와 병행하여 해석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반복검사를 통한 추이 관찰도 질환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혈액응고검사 이상
    혈액응고검사 이상은 간기능 저하, 담도폐쇄, 비타민K 결핍 등 다양한 원인을 시사합니다. PT/INR 연장은 간합성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특히 급성 간부전이나 진행된 간경변증에서 두드러집니다. 담도폐쇄로 인한 비타민K 흡수 장애도 응고검사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혈액응고검사 이상은 시술 전 출혈 위험도 평가에 필수적이며, 내시경적 역행성 담관췌장조영술(ERCP) 같은 침습적 시술 시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따라서 응고검사 결과에 따라 신선동결혈장 수혈이나 비타민K 투여 등의 교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4. 영상검사 소견 (MRCP, 초음파내시경)
    MRCP와 초음파내시경은 담도 및 췌장 질환 진단에 매우 유용한 비침습적 또는 최소침습적 영상검사입니다. MRCP는 담도폐쇄의 위치와 원인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담석, 종양, 협착 등을 구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초음파내시경은 높은 해상도로 작은 병변도 감지할 수 있고, 필요시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두 검사는 상호보완적이며, 임상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시행됩니다. 특히 악성종양이 의심될 때는 정확한 진단과 병기결정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다만 MRCP는 담도 내 미세한 병변 감지에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초음파내시경은 시술자의 경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