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담관암 및 췌장암 진단검사 결과 분석
본 내용은
"
총담관암(CBD cancer), 췌장암(pancreas cancer), 주증상 황달 진단검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4
문서 내 토픽
-
1. 종양표식자 검사 (CA19-9)CA19-9는 암세포막에 존재하는 종양관련항원으로, 간, 담, 췌, 장 등의 정상조직에도 극히 미량 나타난다. 암 특이성은 없으나 췌장암에서 이상 상승하여 양성률이 높다. 본 환자의 CA19-9 수치는 612U/ml로 정상범위(≤34U/ml)를 크게 초과하여 상승되어 있으며, 이는 췌장암 환자의 대부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소견이다. 경과관찰, 암의 재발진단 등 보조적 검사로 유용하다.
-
2. 혈청화학검사 이상소견혈청화학검사에서 다양한 이상소견이 관찰되었다. 총빌리루빈 17.1mg/dL, 직접빌리루빈 13.0mg/dL로 현저히 상승하여 폐쇄성 황달을 시사한다. AST 219U/L, ALT 84U/L, ALP 929U/L로 간 세포 손상 및 담즙 장애를 나타낸다. Amylase 4.69U/L, Lipase 312U/L 상승은 췌장염을 시사한다. 총단백 6.4g/dL, 알부민 3.6g/dL 감소는 간 질환을 의심케 한다.
-
3. 혈액응고검사 이상프로트롬빈 시간(PT sec) 15.2초로 정상범위(10.0~13.5초) 초과하여 혈액응고시간이 지연되었다. PT % 63.5%로 감소하여 프로트롬빈 농도가 낮아져 있으며, 간질환, 파종성 혈관 내 응고, 비타민 K 결핍 등을 의심할 수 있다. PT INR 1.27로 상승하여 혈액 응고에 정상보다 약 1.3배의 시간이 소요됨을 나타낸다.
-
4. 영상검사 소견 (MRCP, 초음파내시경)MRCP에서 담관과 진행병변의 폐쇄가 동반된 췌장 두경부암, 팽창된 담낭이 관찰되었다. 초음파내시경에서 중간~원위부의 총담관에서 1.8cm 크기 종괴가 원위부 총담관암으로 의심되며, 췌장 두부의 저에코 2.3cm 크기 종괴가 확인되었다. 이는 총담관암과 췌장암의 동시 진단을 시사한다.
-
1. 종양표식자 검사 (CA19-9)CA19-9는 췌장암, 담도암, 위암 등 소화기계 악성종양의 진단과 추적관찰에 유용한 종양표식자입니다. 그러나 양성질환인 담석증, 만성췌장염, 간경변증에서도 상승할 수 있어 특이도가 완벽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A19-9 수치 단독으로는 진단을 내릴 수 없으며, 임상증상, 영상검사, 다른 검사결과와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특히 초기 암 진단에는 민감도가 낮아 선별검사로는 제한적이지만, 치료 후 재발 감시나 예후 판정에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정기적인 추적검사를 통해 수치의 추이를 관찰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
-
2. 혈청화학검사 이상소견혈청화학검사 이상소견은 간, 담도, 췌장 질환의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특히 ALP, GGT, 빌리루빈의 상승은 담도폐쇄를 시사하며, AST/ALT의 상승 패턴은 간세포손상 정도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들은 비특이적이므로 임상증상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LP 상승은 담도폐쇄뿐만 아니라 골질환이나 임신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청화학검사 결과는 영상검사와 병행하여 해석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반복검사를 통한 추이 관찰도 질환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혈액응고검사 이상혈액응고검사 이상은 간기능 저하, 담도폐쇄, 비타민K 결핍 등 다양한 원인을 시사합니다. PT/INR 연장은 간합성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특히 급성 간부전이나 진행된 간경변증에서 두드러집니다. 담도폐쇄로 인한 비타민K 흡수 장애도 응고검사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혈액응고검사 이상은 시술 전 출혈 위험도 평가에 필수적이며, 내시경적 역행성 담관췌장조영술(ERCP) 같은 침습적 시술 시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따라서 응고검사 결과에 따라 신선동결혈장 수혈이나 비타민K 투여 등의 교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4. 영상검사 소견 (MRCP, 초음파내시경)MRCP와 초음파내시경은 담도 및 췌장 질환 진단에 매우 유용한 비침습적 또는 최소침습적 영상검사입니다. MRCP는 담도폐쇄의 위치와 원인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담석, 종양, 협착 등을 구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초음파내시경은 높은 해상도로 작은 병변도 감지할 수 있고, 필요시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두 검사는 상호보완적이며, 임상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시행됩니다. 특히 악성종양이 의심될 때는 정확한 진단과 병기결정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다만 MRCP는 담도 내 미세한 병변 감지에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초음파내시경은 시술자의 경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췌장암 A+ 케이스 간호진단1. 췌장암의 병태생리 췌장암은 췌장에 생겨난 암세포의 덩어리로 이것을 종괴(종양 덩어리)라고 한다. 췌장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90% 이상은 췌관의 외분비 세포에서 발생하기에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하며 췌장 암종들은 다소 분화가 좋은 선암종으로 비정형적이고 불규칙하며 작다. 췌장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증상에 차이가 있으며 머리(두부), 몸통(체부),...2025.05.02 · 의학/약학
-
[간호]성인간호실습 총담관결석증(CBD stone) 케이스1. 총담관결석증 총담관결석증은 담관 내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상복부 통증, 발열, 전신 무력감, 오한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와 영상검사(ERCP)가 필요하며, 치료로는 항생제, 해열제, 이담제 등의 약물 치료와 ERCP를 통한 결석 제거 등이 이루어집니다. 간호 중재로는 통증 관리, 체온 관리, 혈당 관리, 합병증 ...2025.01.17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요점정리(간, 담낭, 췌장질환) 현문사 A+받은자료 중간,기말,국시대비1. 간의 구조와 기능 간은 신체에서 가장 큰 샘(1.36kg)으로 횡격막 바로 아래, 우상복부(RUQ)에 위치하며 암적갈색의 무르고 유연한 고체로 혈관분포가 많아 외상에 찢어지기 쉽고 출혈도 많이 일어날 수 있다. 간의 기능적 단위는 간소엽으로 구성되며, 간세포는 담즙을 분비한다. 간의 주요 기능은 담즙 생산, 빌리루빈 대사, 탄수화물/지방/단백질 대사,...2025.01.16 · 의학/약학
-
소화기계 관련 검사 및 시술 간호1. 위식도 내시경 위식도 내시경은 유아에서 고령자까지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상부 소화관 질환의 증상이 있는 경우 특별한 금기가 없는 한 모두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위암이 많은 나라에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위암 조기 발견을 위하여 40세 이후의 모든 성인에게 검사를 권장한다.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2025.05.16 · 의학/약학
-
간호학과 진단검사 정리본1. 혈액검사(Hematology) 혈액검사는 CBC, 혈액응고검사, 적혈구 관련 지표를 포함합니다. WBC는 세균감염, 염증, 백혈병 등을 진단하며 정상범주는 4.8-10.8×103/μL입니다. RBC, Hemoglobin, Hematocrit은 빈혈, 적혈구 증가증 등을 평가합니다. MCV, MCH, MCHC는 빈혈의 형태를 분류하고, Platelet은...2025.11.16 · 의학/약학
-
간호사 국가고시대비 성인간호학 정리1. 항암제 부작용 항암제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맥염, 혈관 외 유출 등에 대한 간호중재를 정리하였습니다. 정맥염 시 온습포 적용, 혈관 외 유출 시 정맥 주사바늘을 그대로 두고 얼음 적용 후 스테로이드제 or 소염제 투여, 피하터널 카테터로 항응고제 or 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세척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정상 검사수치 WBC, PL...2025.01.09 · 의학/약학
-
급성담관염 간호과정 보고서 케이스스터디 19페이지
급성담관염Acute Cholangitis목 차Ⅰ. 서론 3- 문헌고찰31. 정의 및 원인32. 병태생리33. 증상34. 진단 및 치료45. 예방5Ⅱ. 본론3- 대상자 사정6Ⅲ. 결론16- 간호과정16Ⅳ. 참고문헌19Ⅰ. 서론- 문헌고찰1. 정의 및 원인담관염은 간의 담관 및 간외담관·담낭관·총담관 등에 일어나는 염증이다. 담석 중 총담관 담석은 70대의 장년층이 가장 많고, 간내 담관 담석은 40~50대에서 가장 많이 확인된다. 급성담관염에 동반된 패혈증 쇼크는 주로 노인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상훈 교수는 “...2024.11.21· 19페이지 -
성인간호학 췌장암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A+ 18페이지
목 차1. PBL을 통한 간호사례2. 문헌고찰3. 진단검사 ???????? 1) 일반혈액검사???????? 2) 혈청화학검사???????? 3) 전해질검사 등 6개 검사4. 약물5. 간호과정 ???????? 1) 간호과정 #1 외과적인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2) 간호과정 #2 카테터 삽입과 같은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6. 결론7. Reference이00씨는 77세 남환으로 2010년 진단받은 고혈압과 2018년 진단받은 DM으로 약물을 복용하며 지내던 중, 2020년 00대학병원을 방문하여 건강검진 상 I...2024.04.16· 18페이지 -
췌장암 사례보고서 Case Study (진단+과정 3개) 30페이지
췌장암사례보고서(Case Study)간호 과정 3개- 목 차 -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3II. 문헌고찰3III. 간호사례71. 간호사정72. 진단적 검사153. 임상병리검사154. Medication175. 간호사정 결과206. 간호과정22IV. 참고문헌29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췌장암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암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들어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생활방식이 서구화되면서 췌장암 환자 또한 꾸준히 증가 중이다. 발생 현황을 보면 인구 10만 명당 남성은 9.8명, 여성은 8명으로 선진국 수준인 10명 이상에 ...2023.11.26· 30페이지 -
성인 담관암 간호과정 케이스 18페이지
문헌고찰: Malignant neoplasm of common bile duct. (악성 담관 신생물)1. 담낭(gallbladder)의 구조와 기능1) 구조- 7~10cm 정도의 서양배 모양 기관- 간의 오른쪽 아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 담낭에서 나온 담낭관-간의 간담관과 만나 총담관이 됨2) 기능- 담즙 농축: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5~10배로 농축- 담즙 저장: 담낭에 50~75ml 담즙 저장- 담즙 경로: 간에서 만들어짐→담낭 저장→오디 괄약근 수축, 이완될 때 십이지장 배출2. 담도 장애 간호사정1) 건강력 사정- 체중...2024.09.12· 18페이지 -
성인간호학 췌장암 8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사례연구제목 : 췌장암1.문헌고찰문헌고찰사례(대상자) 분석1. 원인췌장암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위험요인에는 45세 이상의 연령, 흡연, 두경부나 폐 및 방광암의 과거력 당뇨병, 지방이 많은 음식 섭취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만성 췌장염 및 일부 유전질환에서 췌장암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췌장암 환자 중 약 5~10%는 유전 소인을 가지고 있는데, 췌장암 환자에서 췌장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약 7.8% 정도로 일반인에서의 췌장암 발생률 0.6%에 비해 빈도가 높습니다.-대상자는 ...2023.01.22·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