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8개
-
MRSA & VRE2025.01.281.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는 황색포도구균의 일종으로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며 높은 보균율로 인해 인체에 흔한 감염증을 일으킨다. MRSA는 치료할 수 있는 항균제가 제한적이고, 내성이 전이되며 전파력이 강해 토착화되기 쉽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남성, 장기입원, 중환자실 입원, 만성기저질환, 항균제 사용, 보균자와의 접촉 등이 있다. 감염관리를 위해 표준격리와 접촉격리를 준수하며, 손씻기, 장갑착용, 환자격리, 청소 및 소독, 개별물품...2025.01.28
-
VRE 간호2025.01.151.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 VRE)에 의한 감염을 의미합니다. 장알균(Enterococcus)은 주로 위장관과 비뇨생식기계에 존재하는 균으로, 노인이나 면역 저하 환자, 만성 기저질환자 또는 병원 입원 환자에게 감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 항생제 사용 증가로 인해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병원 내 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감염 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균 배양...2025.01.15
-
슈퍼박테리아 조사 보고서 (MRSA, VRSA, VRE, MDR-TB)2025.01.171. MR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MRSA는 메티실린을 포함한 모든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으로, 주로 병원 내에서 발생하며 피부 및 연조직 감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등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한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원감염의 원인 병원체이며, 국내에서도 임상 분리 균주 중 MRSA 비율이 70% 전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초기 방역과 의료 환경 내 손 씻기, 장갑 착용 등이 예방에 중요하다. 2. VRSA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VRSA는 황색포도알균이 반코마이신...2025.01.17
-
슈퍼박테리아 보고서(VRSA,CRE,MRPA,VRE,MRAB,MRSA)2025.04.271. 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반코마이신에 내성이 있는 노란색을 띠는 공 모양의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감염증이다. 대부분 환경에 존재하며, 건강한 사람의 약 20%는 비강, 피부, 털에 이 균을 가지고 있다. 주로 VRSA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와의 접촉, 오염된 의료기구 접촉, 환경을 통해 전파된다. 이는 균혈증, 피부 및 연조직 감염, 수술 부위 감염 등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한다. 2. CRE (Carbapenem-Resistant...2025.04.27
-
감염성 질환 발생과정 및 관리현황 (VRE) 반코마이신내성균2025.01.031.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VRE) 반코마이신을 포함한 Glycopeptide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 주로 노인, 면역저하환자, 만성기저질환환자, 입원환자에게 감염증을 유발한다. 장기간 입원으로 여러 항생제 및 반코마이신을 장기 투여 받은 환자에게 주로 발생하며, 악성종양, 혈액질환 등을 치료할 목적으로 항암제나 면역 억제제를 투여한 경우 감염 빈도가 더 높다. 일반적 증상으로는 열, 오한 등이 있으며 매우 심한 경우 폐혈증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은 배양검사 결과 반코마이신 최소억제농도 32㎍/㎖ 이상 혹은 ...2025.01.03
-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 정의2025.05.01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역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이 직접 또는 간접 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주 시뮬레이션 주제인 '다제내성균 감염 대상자의 간호'에 맞춰 다제내성균 중심으로 정리를 하고자 했다. 2. 다제내성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질환을 의미하며, 특히 다제내성은 여러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종류에는 MRSA, VRSA, MRAB, VRE, CRE, ESBL 등 다양하다. 다제내성...2025.05.01
-
호흡기계 병동 사전학습2025.01.271. 호흡기계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와 전∙후 간호 단순흉부 방사선 검사, 동맥혈 가스 검사, 폐기능 검사, 객담검사, 흉곽천자 등 호흡기계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와 각 검사의 목적, 절차, 간호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기관 흡인 시 간호 기관 흡인 시 주의사항, 절차, 간호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기관절개 환자 간호 기관절개 환자의 피부 간호, 커프 관리, 응급 시 대처 등 기관절개 환자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4. 인공호흡기 적용환자 간호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간호, 적응 과정, 종류, 합병증...2025.01.27
-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종류2025.05.091. 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MRSA, VRE, ESBL, CRPA, CRAB, CRE 등이 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었으며, 환자의 사망률, 재원일수, 비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감염관리의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예방지침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 MRSA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메티실린 ...2025.05.09
-
[간호관리학]감염관리 미수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간호 간호과정2025.04.301. 감염관리 감염관리는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며, 특히 손위생은 병원체 전파 위험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의료기관은 적절한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직원들의 손위생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직원과 환자 모두가 손위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올바르게 수행해야 한다. 2. VRE 환자 관리 VRE 환자 간호 시 가운과 장갑 착용이 필요하며, 별도의 V/S 측정 도구 사용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VRE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감염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3. 요양병원 환자 관리 요양병원에서 온 지 30일...2025.04.30
-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 조사 레포트2025.05.051.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은 메티실린(Oxacilline) 및 그 밖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포도알균으로 인한 감염증이다. 포도알균은 사람의 피부나 구강인 후 점막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나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2.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반코마이...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