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수천자 (Paracentesis)
본 내용은
"
복수천자 (Paracentesi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21
문서 내 토픽
-
1. 복수복수란 혈액 중의 액체성분의 일부가 혈관 벽으로부터 빠져나와 복강 내에 수분이 고여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적으로 복강 내에는 약 50mL정도의 유출액이라는 액체가 있는데, 복수는 이러한 정상적인 용량 이외에 복강 내에 과량의 체액이 축적되는 것이다.
-
2. 복수천자 목적복강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복강내압을 완화시키고, 검사를 위한 용액을 채취하기 위해 복수천자를 시행한다.
-
3. 복수천자 적응증새롭게 발생한 복수, 복수를 동반한 환자가 입원한 경우, 긴장성 복수나 이뇨제로 조절되지 않는 복수, 기존에 복수가 동반되었었던 환자가 열, 복통이나 압통, 간성혼수, 백혈구증가, 신장기능 악화, 대사성 산증 등의 임상반응을 보이는 경우에 복수천자를 시행한다.
-
4. 복수천자 방법 및 절차1. 검사 침상에 바로 누운 자세로 준비한다. 2. 천자할 부위를 소독하고 국소마취한다. 3. 복벽을 통하여 특수 바늘을 삽입하여 진단 목적인 경우 50cc 주사기로 복수액을 채취하고, 배액이 필요한 경우 보통 2L까지 배액한다. 4. 바늘을 제거하고 드레싱한다.
-
5. 복수천자 금기사항감염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한 범발성혈관내 응고장애, 섬유소과다용해, 장폐색으로 인한 심한 장내 가스, 수술을 요하는 급성 복통, 복벽에 수술 흉터가 있는 경우, 방광팽창, 복벽감염, 임신 등의 경우 복수천자를 금기로 한다.
-
6. 복수천자 전 간호활력징후 체크, 복부둘레 측정, 환자에게 과정 설명, 방광을 비움 등을 시행한다.
-
7. 복수천자 후 간호활력징후 체크, 천자 부위 관찰, 복부둘레 측정, 필요시 알부민 주사 등을 시행한다.
-
8. 복수천자 주의사항검사 전 금식은 필요하지 않으며, 시술 중 방광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검사 직전에 소변을 봐야 한다. 천자 후 갑작스러운 쇼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침상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
9. 복수천자 합병증복수 누출, 출혈, 장 천공과 감염, 저혈압, 저혈량성 쇼크, 체순환감소, 신부전, 조직관류의 저하로 간성 혼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10. 참고문헌성인간호학2 수문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석 배, 대한간학회,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1. 복수복수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 중 하나로, 상대방에게 해를 가하거나 보복하고자 하는 심리적 욕구를 의미합니다. 복수는 때로는 정의를 실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개인적인 감정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사회적 갈등과 폭력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수보다는 용서와 화해를 통해 상처를 치유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복수는 개인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고 평화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복수천자 목적복수천자는 체액 저류, 감염, 통증 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의료 시술입니다. 주요 목적은 체액을 배출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고, 감염 위험을 낮추며,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진단을 위해 체액을 채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복수천자는 환자의 상태를 개선하고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술 과정에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세심한 시술이 필요합니다.
-
3. 복수천자 적응증복수천자는 다양한 질환에서 적응증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적응증으로는 복수, 흉수, 관절액 저류, 뇌척수액 저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체액 저류는 암, 간경화, 심부전, 신부전, 감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수천자를 통해 체액을 배출함으로써 호흡곤란, 복부팽만감, 통증 등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액 분석을 통해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수천자는 환자의 증상 완화와 질병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복수천자 방법 및 절차복수천자는 의사가 시행하는 의료 시술로, 체액이 저류된 부위에 멸균된 주사기를 삽입하여 체액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시술 부위를 소독하고 국소마취를 합니다. 그 후 초음파 등의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체액이 저류된 부위를 정확히 확인한 뒤, 주사기를 삽입하여 체액을 천천히 배출합니다. 배출된 체액은 분석을 위해 채취됩니다. 시술 후에는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압박 드레싱을 하고 안정을 취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복수천자 과정은 숙련된 의사에 의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
5. 복수천자 금기사항복수천자는 대부분의 경우 안전한 시술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금기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금기사항으로는 혈액 응고 장애, 감염, 장기 부전, 암 말기 등이 있습니다.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출혈 위험이 높아지므로 시술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시술 부위에 감염이 있거나 전신 감염 상태라면 감염 위험이 증가하므로 금기입니다. 말기 암 환자나 장기 부전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아 시술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환자의 상태와 시술 부위에 따라 금기사항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의 면밀한 평가와 판단이 필요합니다.
-
6. 복수천자 전 간호복수천자를 받는 환자에게는 시술 전 간호가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환자의 상태와 시술 목적을 확인하고, 필요한 검사 결과를 확인합니다. 시술 부위를 소독하고 국소마취제를 적용하는 등 시술 준비를 합니다. 또한 환자에게 시술 과정과 주의사항을 충분히 설명하여 불안감을 해소하고 협조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술 전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출혈 및 감염 징후를 관찰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7. 복수천자 후 간호복수천자 시술 후에도 환자에 대한 간호가 중요합니다. 먼저 시술 부위의 출혈, 감염 등 합병증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필요에 따라 압박 드레싱을 하고 항생제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활력징후와 전신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시술 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통증, 불편감 등에 대해 적절한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환자에게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시술 후 주의사항을 교육하여 합병증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후 간호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8. 복수천자 주의사항복수천자 시술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시술 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여 금기사항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둘째, 시술 부위를 정확히 확인하고 무균 기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셋째, 시술 중 환자의 통증, 불편감, 활력징후 변화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넷째, 시술 후 출혈, 감염, 장기 손상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다섯째, 환자에게 시술 과정과 주의사항을 충분히 설명하여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주의사항을 준수함으로써 복수천자 시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9. 복수천자 합병증복수천자는 대부분 안전한 시술이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출혈, 감염, 장기 손상 등이 있습니다. 출혈은 시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응고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서 더 자주 나타납니다. 감염은 무균 기법 미준수, 기저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기 손상은 시술 중 장기를 찌르거나 천자 부위가 잘못 선택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통증, 저혈압, 기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시술 과정에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또한 환자 관찰을 통해 합병증 발생 여부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10. 참고문헌복수천자와 관련된 주요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Runyon BA. Management of adult patients with ascites due to cirrhosis: an update. Hepatology. 2009;49(6):2087-2107. 2. Patel A, Jain M, Sharma BC, Sarin SK. Paracentesis for cirrhotic ascites: a prospective study of its impact on the renin-angiotensin system. J Gastroenterol Hepatol. 2007;22(4):573-577. 3. Xiol X, Castellote J, Baliellas C, et al.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in cirrhotic patients with normal ascitic fluid neutrophil count.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7;5(5):624-629. 4. Pache I, Bilodeau M. Severe haemorrhage following abdominal paracentesis for ascites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2005;21(5):525-529. 5. Runyon BA, AASLD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Management of adult patients with ascites due to cirrhosis: an update. Hepatology. 2009;49(6):2087-2107. 이러한 문헌들은 복수천자의 적응증, 시술 방법, 합병증 예방 및 관리 등에 대한 최신 지견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의사는 이를 참고하여 환자 진료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복수천자 문헌고찰 주제 보고서1. 복수(Ascites) 복강 내에 액체성분이 고이는 현상으로, 복막과 장기들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윤활액 역할을 한다. 간경화증, 결핵성 복막염, 간암 등의 경우 복강 내에 복수가 고이게 된다. 2. 복수천자(Paracentesis) 초음파 유도하에 복벽을 통해 바늘을 복강 내로 찔러 복수를 채취하는 시술. 병리학적 진단을 위해 복수를 검사하거나 치료...2025.01.12 · 의학/약학
-
간호교육팀_각종배액관관리(헤모박,체스트튜브,PCD,Paracentesis,Ostomy)_교육간호사1. 이상적인 배액관 이상적인 배액관은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주위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감염 예방과 제거가 용이해야 한다. 2. 배액 양상 사정 배액 양상을 사정할 때는 배액관의 개수와 번호를 확인하고, 배액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제거 시점을 판단한다. 3. 배액관의 종류 배액관에는 개방형과 폐쇄형, 능동형과 수동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2025.05.06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2025.01.10 · 의학/약학
-
간호학과 학점4.35 정리본- 소화기내과 검사 전후 간호(A++)1. 상/하부 EMR(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위(대장) 용종, 선종 및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 조기 식도암을 내시경 장치를 이용해 제거하는 시술. 검사 전 준비로는 가기 전 반드시 틀니, 장신구 제거, full self voiding, 시술 전 출혈 유발할 수 있는 약물 중단해야 함. 검사 후 간호로는 진정 시술로 인한 의식상태 확인, 낙상 재평가...2025.01.14 · 의학/약학
-
복수천자 문헌고찰 주제 보고서 입니다 ! 6페이지
문헌고찰복수천자(Paracentesis)문헌고찰주제 : 복수천자 (Paracentesis)정의(1) 복수 (ascites)-복강 내 액체성분-복막과 장기들 간의 마찰 감소, 윤활액 역할-복막내의 림프관을 통해 흡수, 순환-간경화증, 결핵성 복막염, 간암의 경우 복강 내에 고이게 되는 현상(2) 복수천자 (paracentesis)-초음파 유도하에 복벽을 통해 바늘을 복강 내로 찔러 복수 채취?병리학적 진단 시행복수를 채취하여 암세포의 발견 및 복수의 원인발견을 위해 검사 시행?치료목적 시행복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고여 있는 복...2024.03.11· 6페이지 -
당뇨 약물, 복수천자 3페이지
■ 당뇨병 Diabetes1) 약물요법-제2형 당뇨병치료제(경구혈당강하제)경구용 혈당강하제는 제2형 당뇨병에 효과적.- 이자를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 말초에서 당 이용 증가- 혈당치 내려주고 간에서 당 생성 방지1-1) 설폰요소제 sulfonylurea : glimepiride(Aamaryl), glipizide(Digrin, Glyco), gliclazide(Diamicron),glibenclamice(Daonil, Euglucon), gliclazide(Diamicron MR)작용기전용법부작용고려사항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2024.02.28· 3페이지 -
복수 진단과 치료 PPT 32페이지
복수 ( ascites)목차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치료 진단 복수천자 - 목적 , 적응증 , 금기증 , 시술준비 , 시술 전〮중 〮 후 관리 - 합병증 - 복강액분석 2복수 (ascites) 정의 복수는 혈액 중 일부 액체 성분이 혈관으로부터 빠져나와 복강 내에 고이는 질환을 의미 한다 . 원인 복수의 85% 정도는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발생 . 나 머지 15% 정도는 악성 종양 , 결핵성 복막염 , 간매독 , 신장 질환 , 심장 질환 등 여러 가지질환에 의해 발생 . 증상 호흡곤란 , 탈수 , 소변량 감소 , 복압 상승으로 인...2022.08.30· 32페이지 -
간경변(Liver cirrhosis), 간성복수, 복수천자// 성인간호학 실습, A+,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2개 19페이지
성인 간호학실습학교00대학교학과간호학과학번00000000이름000과목성인 간호학 실습담당 교수님000 교수님Section 1. 일반사항일반사항대상자 이름황**성별/나이F/68세작성일 (사정일)2023. 12. 06종교무교입원일2023. 12. 05주 보호자-결혼여부기혼건강정보기본신체정보BP : 130/78mmHg / PR : 87회/분 / BT : 37.6℃ / RR : 24회/분신장 : 148cm / 체중 : 62kg(최근 Bwt 57kg였다고 함) / BMI : 28.31주호소abdomen pain, dyspnea의학적 진단명L...2024.07.22· 19페이지 -
[기본간호] 천자별 목적, 과정, 간호 등 정리본 40페이지
천자간호index Thoracentesis Paracentesis ArthrocentesisThoracentesis 흉곽천자란 ? 천자의 적응증 및 증상 천자의 목적 시술과정 및 체위 시술 중 간호흉곽thoracentesis 흉곽천자thoracentesis 흉곽천자 흉막강에는 정상적으로 가슴막을 매끄럽게 하기에 충분한 체액만 존재하는 것이 정상이다 .thoracentesis 감염이나 악성종양 , 외상 , 심부전 , 결핵 등 원인으로 두 막 사이에 공기가 다량으로 쌓이면 기흉 , 액체가 다량으로 쌓이면 흉막 삼출이 일어난다 . 이로 ...2021.10.18· 4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