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본 내용은
"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과정 (간호진단/간호계획 6개/간호중재/이론적근거/출처 포함)_이론적 근거에 논문 및 책 출처 포함_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CASE STUDY)_성인간호학_여성간호학_정신간호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간호진단#n 카테터 자가 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NANDA정의: 병원체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상태)간호사정주관적 자료-"이거 빼줘"-"불편해"-"여기가 엄청 후끈거리잖아."객관적 자료-IV line 유지 중 (2024. 05. 24~)-2024. 06. 10 22:30 IV self remove-2024. 06. 11 11:50 HD catheter self remove-2024. 06. 11. 06:10 진단 검사 결과 높은 CRP, BUN, Creatinine 수치 관찰항목24.06.1106:10CRP5.9↑BUN32↑Creatinine1.29↑간호목표장기 목표-대상자는 카테터 재삽입 전까지 감염과 관련된 합병증을 보이지 않는다.단기 목표-대상자는 3일 이내에 카테터 제거 부위에 발적, 부종, 통증, 열감을 호소하지 않는다.-대상자는 3일 이내에 IV site에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간호계획간호중재이론적 근거1. 대상자의 V/S을 주기적으로 측정, 기록하여 모니터링한다.2. 카테터 제거부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감염의 징후를 확인한다.3. 상처관리, IV라인 관리 등 침습적 처치 시 무균술을 적용한다.4.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투여한다.5. 처방에 따라 투여한 약물의 부작용을 사정한다.6. 대상자에게 감염예방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간호평가장기 목표-대상자는 카테터 재삽입 전까지 감염과 관련된 합병증을 보이지 않는다. [달성함]단기 목표-대상자는 3일 이내에 카테터 제거 부위에 발적, 부종, 통증, 열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달성함]-대상자는 3일 이내에 IV site 부위에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달성함]
-
1.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는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카테터 제거 시 상처가 생기면 세균이 쉽게 침투할 수 있어 감염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상처 부위의 발적, 부종, 통증, 농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도움 없이 카테터를 자가 제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하에 안전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상처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해야 합니다.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
성인간호학 골절 간호진단1. 스스로 착탈의 할 수 없는 골절부 고정장치 착용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대상자는 자전거 낙상으로 입원하였으며, 오른쪽 쇄골과 견봉, 갈비뼈의 다중 골절로 velpeau sling과 복대를 착용하고 있어 일상적인 움직임에 많은 제한이 있다. 또한, 낙상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60점으로 낙상 고위험군에 속한다. 이렇듯 낙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들과 사정 ...2025.01.20 · 의학/약학
-
기흉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3개1. 기흉 기흉은 폐조직의 파열로 흉강에 공기가 축척되면서 흉강 내 압력이 증가되어 폐 허탈이 초래된 상태로 2007년 국내 전체 일반 흉부수술 중 23.5%의 비중을 차지하는 흔한 질환이다. 기흉의 주요한 두 가지 증상은 흉통과 호흡곤란으로, 후유증을 남기는 심각한 질환은 아니지만 재발률이 높아 환자와 보호자들에게는 큰 스트레스이다. 기흉의 치료는 우선 ...2025.01.23 · 의학/약학
-
여성간호학 A+자료, 산욕기 합병증, 8개의 간호진단과 1개의 간호과정 10페이지
보고서 제목 과목 여성건강간호학2 담당교수님 성명/학번 목차 1. 대상자 건강사정 결과 요약 2. 간호진단목록 3. 간호사정과 간호계획 4. 참고문헌 1. 대상자 건강사정 결과 요약 마르고 창백한 26세 초산부인 K씨는 임신 37주(G1-T0-P0-A0-L0)에 태아질식 때문에 제왕절개 분만 후 산부인과 병동에 입원해있다. 대상자는 진통 14시간 전에 양수가 터졌고, 16시간 동안 진통 후 응급으로 제왕절개수술이 진행되었다. 병동 입원 시 수술부위는 약간의 oozing(진물, 삼출물)(감염위험)있으며 유치도뇨관 통해 노란색 소변 배...2022.10.24· 10페이지 -
종합실습 환자안전 사건 분석 및 개선활동 17페이지
1. Dressing cart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 및 소독약품실습병원양지병원실습병동51병동물품명Image사용 목적 및 용도소독약품명사용 목적 및 용도윤활제배액관 등이 부드럽게 삽입되고 관련 도구가 원활하게 작동됨헥시탄올 0.5%피부 및 점막 소독제포비돈요오드찢긴 상처, 화상, 궤양, 피부의 염증 부위 살균소독헥시딘 2%피부 소독나일론수술 봉합드레싱용품블레이드suture 부위 stitch out하이퍼포아상처부위, 환부 등의 보호베타폼세균감염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고 카테터, 관 등을 고정설압자입안에 넣어 혀를 눌러 편두, 인두 등 확...2024.02.01· 17페이지 -
[2023년 간호사 국가고시 대비] 기본간호학 1회 무료 모의고사 3페이지
간호행쇼기본간호학? 미리 국시3/32022년1회차간호행쇼기본간호학- 미리 국시3/32022년2회차(계속)※ 각 문제의 보기 중에서 물음에 가장 합당한 답을 고르시오.1.다음은 폐렴으로 입원한 75세 환자의 사정자료이다. 저산소증을 의심할 수 있는 지표는?① SPO2 96%② PaO22 90mmHg③ 맥박수 87회/분④ 호흡수 18회/분⑤ 불안해하는 증상2. 환기(Ventilation)와 관류의 불균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환기는 정상이지만 관류가 부족한 상황은?① 무기폐② 폐색전증③ 얕은 호흡④ 폐포허탈⑤ 기관지 폐쇄[풀이]...2022.10.15· 3페이지 -
Hemicolectomy./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과정/감염위험성 5페이지
간호 진단외과적 수술 및 침습적 처치과 관련된 감염위험성사정주관적 자료①“수술부위 소독은 언제 하는건가요 ?”②“오른쪽 팔목에 꼽아놓은 쪽이 간질거려”③“소변줄은 도대체 언제 뺄수있는거야?”객관적 자료①8/20) 83세 대상자 Asending right Hemicolectomy 시행함.②J-P Drain x 2ea, Colostomy 55mm x 1ea 유지하고 있음.③V/S : BP : 110/70mmHg T : 38.1℃ PR 121회/분 RR : 24회/분④Rt.radial A ? line Monitoring 하고 있음.⑤Rt...2022.09.01· 5페이지 -
MICU 내과계 중환자실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교수님께 칭찬받음, 수정없이 제출하면 됨] 22페이지
목 차1. 혈역학적 모니터링 (Arterial BP, CVP, PAP) 12. 인공호흡기의 적응증, 형태, 사용방법, 간호 (VAP 예방전략 포함)43. 중환자실에서의 중심정맥관 관리, 요로감염 예방관리 84.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다제내성균별 관리방법 105. 흉관과 폐쇄배액체계를 지닌 환자의 간호 126. 자주 시행되는 검사 및 시술 147. 급성심근경색증의 치료와 간호 171. 혈역학적 모니터링(Hemodynamic monitoring: Arterial BP, CVP, PAP)에 대해 학습하시오.1) Arterial BP(1) ...2025.03.25· 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