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본 내용은
"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과정 (간호진단/간호계획 6개/간호중재/이론적근거/출처 포함)_이론적 근거에 논문 및 책 출처 포함_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CASE STUDY)_성인간호학_여성간호학_정신간호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0
문서 내 토픽
  • 1.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진단#n 카테터 자가 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NANDA정의: 병원체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상태)간호사정주관적 자료-"이거 빼줘"-"불편해"-"여기가 엄청 후끈거리잖아."객관적 자료-IV line 유지 중 (2024. 05. 24~)-2024. 06. 10 22:30 IV self remove-2024. 06. 11 11:50 HD catheter self remove-2024. 06. 11. 06:10 진단 검사 결과 높은 CRP, BUN, Creatinine 수치 관찰항목24.06.1106:10CRP5.9↑BUN32↑Creatinine1.29↑간호목표장기 목표-대상자는 카테터 재삽입 전까지 감염과 관련된 합병증을 보이지 않는다.단기 목표-대상자는 3일 이내에 카테터 제거 부위에 발적, 부종, 통증, 열감을 호소하지 않는다.-대상자는 3일 이내에 IV site에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간호계획간호중재이론적 근거1. 대상자의 V/S을 주기적으로 측정, 기록하여 모니터링한다.2. 카테터 제거부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감염의 징후를 확인한다.3. 상처관리, IV라인 관리 등 침습적 처치 시 무균술을 적용한다.4.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투여한다.5. 처방에 따라 투여한 약물의 부작용을 사정한다.6. 대상자에게 감염예방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간호평가장기 목표-대상자는 카테터 재삽입 전까지 감염과 관련된 합병증을 보이지 않는다. [달성함]단기 목표-대상자는 3일 이내에 카테터 제거 부위에 발적, 부종, 통증, 열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달성함]-대상자는 3일 이내에 IV site 부위에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달성함]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는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카테터 제거 시 상처가 생기면 세균이 쉽게 침투할 수 있어 감염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상처 부위의 발적, 부종, 통증, 농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도움 없이 카테터를 자가 제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하에 안전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상처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해야 합니다.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