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나라의 장례 문화 탐색하기(일본, 인도,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본 내용은
"
다른 나라의 장례 문화 탐색하기(일본, 인도,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30
문서 내 토픽
-
1. 일본의 장례문화일본의 장례식은 우리나라에 비해 다소 폐쇄적이다. 혈연관계가 없는 문상객들은 상주의 가족들이 정해주는 시간에 한해 문상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친족이 아닌 사람들은 장례를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보기 어렵다. 조문객들이 장례식에서 눈물을 보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 사람들은 고인의 임종이 확인되면 시신에게 '마지막 물(마쓰고노미즈)'를 먹입니다. 유족은 새붓이나 젓가락 끝에 탈지면을 말아서 흰 실을 묶은 것을 물에 적셔서 죽은 사람의 입술에 가져다 댑니다. 이 절차가 끝나면 우리나라의 염과 비슷하게 시체를 깨끗하게 합니다. 일본에서 사체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풍장과 매장, 화장 등이 있습니다.
-
2. 인도의 장례문화인도 사람들은 죽음을 '목샤(자유)'로 부르는데, 영원한 자유로 가는 관문이 죽음이며 이승에서 사용한 육신은 껍데기일 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0억 인도인의 80% 이상이 전통화장 방식으로 장례를 치릅니다. 장례절차는 첫째 임종에 이른 사람의 속죄 의식, 둘째 임종 후의 화장, 셋째 화장 후 3일째 수골제(화장 후 남은 뼈를 모으는 의식), 넷째 11일째의 '슈라다'라는 천도제장례방법입니다. 여자들은 집에서 고인을 애도하고, 화장지에서는 상주의 인도하에 남자들만 갑니다.
-
3. 미국의 장례문화미국의 장례식에서는 고인의 시신 방부처리와 화장을 해서 조문객들에게 보여주는 문화가 있습니다. 이것을 Viewing이라고 합니다. 장례식장 입구에는 고인의 살아생전의 모습과, 약력이 적혀있는 사진이 걸려있는 곳도 있습니다. 장례식 때 고인은 자신이 살아생전에 입었던 옷 중 가장 좋아했던 옷을 입습니다. 대부분의 미국 사람들이 아직까지는 화장보다는 매장의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4. 프랑스의 장례문화프랑스의 장례식은 고인의 지인들에게 고인의 가족이 검은 테를 두른 부고장을 보내면서 시작됩니다. 프랑스인 대부분이 카톨릭이기 때문에 장례식은 카톨릭 성당 안에서 진행됩니다. 신교도들은 입관할 때 특별한 예배와 기도를 하는데 관이 내려지면 참석자들은 꽃 한 송이나 흙 한줌을 던져 주면서 작별을 고합니다. 프랑스에는 자치구마다 하나씩의 공공묘지가 있으며,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묘지에 묻힙니다.
-
5. 이탈리아의 장례문화이탈리아는 종교적인 이유로 원래 인간의 몸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보아 화장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교황이 화장도 교리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공표한 이후 화장선호도가 서서히 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에서 시신을 매장할 경우 묻은 지 10년이 지나면 무조건 한 단계 아래로 내려 묻어 자연스럽게 가족 내 다른 사람이 사망했을 경우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
1. 일본의 장례문화일본의 장례문화는 매우 독특하고 정교한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불교와 신토 신앙이 깊이 뿌리박힌 일본 문화에서 장례는 매우 중요한 의식으로 여겨집니다. 유족들은 엄격한 절차와 규범을 따르며, 장례식 준비와 진행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합니다. 특히 시신 준비, 영정 제작, 제단 설치 등의 과정은 매우 정성스럽게 이루어집니다. 또한 장례식 후에도 49일간의 추도 기간을 거치며, 조상에 대한 존경과 추모의 마음을 표현합니다. 이처럼 일본의 장례문화는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과 함께 가족과 공동체의 유대감을 보여주는 중요한 전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인도의 장례문화인도의 장례문화는 힌두교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입니다. 인도에서 장례는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죽음과 영혼에 대한 깊은 철학적 사고를 반영합니다. 화장은 가장 일반적인 장례 방식이며, 시신을 강가에 띄워 보내는 관행도 있습니다. 또한 죽은 이의 영혼이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것을 믿기 때문에, 장례 의식에는 이를 위한 다양한 의례가 포함됩니다. 특히 죽은 이의 가족들은 장례 기간 동안 엄격한 금욕과 정화 의식을 거치며, 이를 통해 죽음과 삶의 순환에 대한 인도 문화의 깊이 있는 이해를 엿볼 수 있습니다.
-
3. 미국의 장례문화미국의 장례문화는 다양한 인종과 종교적 배경이 공존하는 만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장례식은 장례식장에서 이루어지며, 유족들은 고인에 대한 추모와 애도를 표현합니다. 화장과 매장이 모두 일반적인 방식이며, 유족들은 고인의 삶을 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장례를 치릅니다. 최근에는 개인화된 장례 의식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고인의 취향과 가치관을 반영한 장례 방식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또한 장례 후에도 유족들이 고인을 기리는 다양한 추모 활동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미국의 장례문화는 개인주의와 다양성이 반영된 독특한 양상을 보입니다.
-
4. 프랑스의 장례문화프랑스의 장례문화는 천주교 전통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장례식은 교회에서 치러지며, 유족들은 고인을 위한 미사와 기도를 올립니다. 또한 장례식 후에는 유족들이 고인의 무덤을 방문하여 꽃을 놓고 기도하는 등의 추모 의식을 행합니다. 프랑스에서는 화장보다는 매장이 더 일반적이며, 고인의 시신을 관에 넣어 매장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개인화된 장례 방식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프랑스의 장례문화는 천주교 신앙과 전통이 깊이 뿌리박힌 특징을 보입니다.
-
5. 이탈리아의 장례문화이탈리아의 장례문화 역시 가톨릭 전통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장례식은 교회에서 치러지며, 유족들은 고인을 위한 미사와 기도를 올립니다. 또한 장례식 후에는 유족들이 고인의 무덤을 방문하여 꽃을 놓고 기도하는 등의 추모 의식을 행합니다. 이탈리아에서는 화장보다는 매장이 더 일반적이며, 고인의 시신을 관에 넣어 매장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개인화된 장례 방식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이탈리아의 장례문화는 천주교 신앙과 전통이 깊이 뿌리박힌 특징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