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레싱 카트 물품 및 병동 시술·수술 간호활동
본 내용은
"
종합실습. 드레싱 카트 물품, 주요 시술,수술 관련 간호활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6
문서 내 토픽
-
1.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약품드레싱 카트에는 Poly-Glove, 라텍스 장갑, 포비돈스틱, 헥스틱스왑액, 과산화수소수, 포비돈탈지면볼, 멸균거즈, Dressing KIT, 메디폼, 바셀린거즈, 메딕스, Hypafix, 폼가드, MultiFix, Border Flex, 루브-겔, 탄력붕대, 메스, 나일론 봉합사, Steri-Strip, 옷핀, 리도카인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상처 소독, 드레싱, 고정, 봉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감염 예방과 상처 치료를 위한 필수 물품들이다.
-
2. 개방정복 및 내고정술(ORIF)넙다리뼈경부 골절, 무릎뼈 횡선골절, 복합골절 등을 치료하는 수술이다. 적응증은 불유합 경향, 뼈엉성증, 악성종양에 의한 병리적 골절 등이며, 합병증으로는 감염, 출혈, 신경손상, 혈전형성, 지방색전증 등이 있다. 수술 전 X선, CT, MRI로 골절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 직후 X-ray로 뼈의 위치를 재확인한다.
-
3. 척추성형술(VP)골다공증, 악성 종양에 의한 척추 압박골절, 외상 후 척추 골절 등을 치료하는 시술이다.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통증을 완화한다. 합병증으로는 인접 부위 골절, 출혈, 감염, 신경손상, 뇌혈관계 합병증 등이 있다. 시술 전 6시간 금식하고, 시술 후 4시간 이상 침상안정을 유지해야 한다.
-
4. 관상동맥 조영술(CAG)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의 동맥경화 병변 부위를 확인하고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검사이다. 혈종, 말초혈관 폐쇄, 감염, 피부발진, 저혈압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시술 전 금식, 동의서 작성, 과거 조영제 알러지 확인이 필요하며, 시술 후 도관 삽입 부위를 12시간 이상 구부리지 않도록 교육한다.
-
1.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약품드레싱 카트는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적절한 물품 구성과 소독약품 관리는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카트 내 물품은 체계적으로 정렬되어야 하며, 자주 사용되는 항목들이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야 합니다. 소독약품의 경우 유효기간 관리가 필수적이며, 정기적인 재고 점검을 통해 응급 상황에 대비해야 합니다. 또한 의료진의 손 위생과 개인보호장비 사용을 강화하면 감염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표준화된 드레싱 프로토콜 준수와 함께 카트 관리 담당자의 교육이 중요하며, 이는 환자 안전과 의료 질 향상에 직결됩니다.
-
2. 개방정복 및 내고정술(ORIF)개방정복 및 내고정술은 복잡한 골절 치료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수술 기법입니다. 직접 시각화를 통해 정확한 정복이 가능하며, 내고정물을 이용한 안정화로 조기 재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술 침습성이 크고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철저한 무균 조작과 항생제 예방이 필수입니다. 수술 후 물리치료와 재활 프로그램이 중요하며, 환자의 순응도가 회복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신 수술 기법과 생체역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개별화된 치료 계획 수립이 최적의 임상 결과를 도출합니다.
-
3. 척추성형술(VP)척추성형술은 척추 압박 골절로 인한 통증 완화에 매우 효과적인 최소침습 시술입니다. 빠른 통증 감소로 환자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며, 회복 기간이 짧아 조기 활동 복귀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시술 중 시멘트 누출로 인한 신경 손상이나 폐색전증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으므로 정확한 영상 유도와 숙련된 술자의 기술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환자 선별과 사전 평가를 통해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장기 추적 관찰 데이터 축적과 함께 시술 표준화가 필요하며, 이는 척추 질환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
4. 관상동맥 조영술(CAG)관상동맥 조영술은 허혈성 심질환 진단의 표준 검사로서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시술입니다. 진단적 가치가 높으며, 필요시 즉시 중재술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방사선 노출, 조영제 신독성, 혈관 천공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환자 선별과 사전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최근 비침습적 검사 기법의 발전으로 불필요한 시술을 줄일 수 있으며, 임상 지침에 따른 합리적 사용이 중요합니다. 숙련된 시술자와 적절한 장비, 그리고 응급 상황 대응 능력이 환자 안전을 보장합니다.
-
[종합실습 A+] 병동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 약품 (실제 사진) + 병동 주요 시술 및 수술 검사 9페이지
종합실습- 병동 내 드레싱 카트 및 주요 시술과 수술 검사 -실습 기관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실습 부서실습 기간이 름학 번제출일자담당교수Ⅴ. 종합실습 관련 학습1. 양지병원 Dressing cart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 및 소독약품실습병원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실습병동물품명Image사용목적 및 용도소독약품명사용목적 및 용도포셉 forcep포셉 자forcep jar?드레싱 및 기본 처치 시 사용?무균적으로 포셉을 보관하며 포셉을 세워둠?클레시스 핸드 새니타이저 겔 500ml (손소독제)1. 손, 피부 등의 살균 소독시져scissor?재사용 ...2023.02.04· 9페이지 -
[A+] 간호 종합실습 Dressing cart, 주요시술 및 수술 등, IPSG 6페이지
[종합실습] 병원 학번: 이름 :1. Dressing cart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 및 소독약품실습병원단원병원실습병동8병동물품명Image사용목적 및 용도아쿠아셀 (Aquacel)- 습윤 드레싱- 상처의 삼출물을 흡수하여 상처 치유를 촉진메필렉스(Mepilex)- 폼 드레싱- 압력궤양 및 상처 보호에 사용됩니다. 삼출물을 흡수하면서상처를 보호베스트웨이 폼가드(Bestway Foam Guard)- 폼드레싱- 압력에 민감한 부위나 상처 부위의 충격을 완화하고 보호하이드로필름(Hydrofilm)- 투명 필름 드레싱- 상처 보호와 외부로부터...2025.05.07· 6페이지 -
[간호관리학실습] A++ 개인과제_Day, evening, night 업무 5페이지
Ⅱ-5. 간호사의 DAY, EVENING, NIGHT 업무 간호사의 Day, Evening, Night 업무를 확인하여 봅시다. (원광대 산본병원의 근무지침) DAY 업무 시간 간호범주업무 기본간호활동 6:20 업무 준비 병동 비품 및 물품 인수인계 환자 요구도 사정 - N근무자와 함께 환자상태 파악 - 각종 Line 정리 - 간호배뇨 라운딩 - 배변확인 6:30 ~ 7:00 인수인계 - 환자의 상태, 투약처치, 기록 - 인수인계증 - 환자요구에 대한 응대 7:00 ~ 8:00 병실 순회 - 식전 경구투약 - 인슐린 주사 식사관리 ...2025.02.13· 5페이지 -
A+ 간호단위관리 분석 레포트 7페이지
■ 간호단위관리 : 울산대학교병원 61병동▶ 환경관리심미적 환경① 벽, 바닥 모두 채도는 낮고 명도는 높은 상아색② 천장은 약간의 회색이 가미된 상아색조명① 전체 등 + 침상별로 천장 등과 머리맡 국소 조명 설치되어 있음② 창가에는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있음? 전체 등을 끄더라도 환자 침상별로 천장 조명을 조절할 수 있고, 국소 조명의 경우 밝기 조절이 가능함청결과 환기① 간호사는 약물 등을 준비 후 바로바로 정리하였고, 교대 전 담당 카트 의료폐기물 정리 및 소독 관찰할 수 있었음② 세탁된 린넨은 매일 아침 병동으로 전달됨③ 근무 ...2023.06.24· 7페이지 -
간호관리학 실습 근무별(D, E, N) 병동 간호사의 업무 4페이지
2022학년도간호관리학실습1일차 과제학년/반/학번성 명실 습 기 간실 습 기 관담 당 교 수2022년 1학기 간호관리학실습 실습활동4학년 학번: 이름:제출일: 1일차 (02월 28일)실습기간: 2022년 02월 28일 ∼ 03월 11일담당 교수:주제 : 근무별(D, E, N) 병동 간호사의 업무1)낮번(D) 간호사의 업무시간주요업무기본간호활동6:30am- 물품 카운트- 액팅 준비- 드레싱 재료 채우기- 환자에게 필요한 수액이나 항생제 등을 준비한다.7:00am- 환자 파악- 전체/팀 인수인계- 전동&신규환자 확인- 나이트 시간 동안...2022.05.01· 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