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자동차 DPF장치의 구조와 기능
본 내용은
"
자동차엔진 ) 디젤자동차 DPF장치에 대해 작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4
문서 내 토픽
-
1.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장치의 정의 및 기능DPF는 디젤자동차에 장착되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로, 디젤엔진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 중 입자 물질들을 필터를 이용하여 포집하고 재생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방출되는 매연을 8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로 경유 자동차 중 중대형 크기의 자동차에 부착된다. 배출가스에 대한 보증기간이 지난 경유 자동차는 배출허용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DPF 부착이 필요하다.
-
2. DPF 장치의 기술 종류 및 열 공급 방식현재 주로 이용되는 DPF 기술은 네 가지로, Burner나 Heater를 이용한 입자상 물질 제거, 촉매를 부착한 연속재생식 디젤필터, 디젤산화촉매 방법, 그리고 엔진제어기술과 촉매 후처리기술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열 공급 방식은 자연재생방식(엔진 배기열 이용), 강제재생방식(전기히터 또는 보조연료 분사), 복합재생방식으로 나뉜다.
-
3.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종류 및 성능 기준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제1종, 제2종, 제3종으로 분류된다. 제1종은 저감 효율 80% 이상(보증기간 3년/16만km), 제2종은 50% 이상(보증기간 3년/8만km), 제3종은 25% 이상(보증기간 3년/8만km)이다. 제1종은 DPF, 제2종은 pDPF, 제3종은 DOC(산화촉매장치)로 구성되며, 각각 입자상 물질 또는 질소화합물을 저감시킨다.
-
4. DPF의 재생 작용 원리 및 가열 방법DPF의 재생 작용은 필터에 포집된 입자성 물질을 연소시키기 위해 추가 연료를 분사하여 DPF 온도를 높이는 과정이다. 주요 가열 방법은 추가 연료 분사, DPF 전용 첨가제 이용, 전기 가열 장치, 별도 가열 장치 설치 등이 있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온도 센서로 배기가스 온도를 확인하면서 재생온도까지 높여주는 추가 연료 분사 방식이다.
-
1.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장치의 정의 및 기능DPF는 디젤 엔진에서 배출되는 미세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필수적인 배출가스 저감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세라믹 또는 금속 필터를 통해 배기가스 중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여 대기오염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PF의 기능은 단순한 여과를 넘어 환경 규제 기준을 충족시키는 핵심 기술이며, 현대 디젤 차량의 필수 구성요소입니다. 효율적인 DPF 운영은 연료 소비와 배출가스 감소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하며, 정기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2. DPF 장치의 기술 종류 및 열 공급 방식DPF 기술은 크게 수동 재생과 능동 재생 방식으로 나뉘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열 공급 방식으로는 배기 후처리 촉매, 전기 가열, 연료 분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능동 재생 방식은 포집된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만 추가 에너지가 필요하고, 수동 재생은 에너지 효율적이지만 특정 운전 조건에 의존합니다. 최신 기술은 이러한 방식들을 결합하여 효율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정교한 제어 기술의 발전이 기대됩니다.
-
3.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종류 및 성능 기준배출가스 저감장치는 DPF, SCR, EGR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특정 오염물질 제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성능 기준은 국가별 환경 규제에 따라 결정되며, 유럽의 Euro 기준, 미국의 EPA 기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들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어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기술 혁신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배출가스 저감을 위해서는 여러 장치의 통합적 운영이 필수적이며, 이는 차량의 연비와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균형잡힌 설계가 중요합니다.
-
4. DPF의 재생 작용 원리 및 가열 방법DPF 재생은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고온에서 산화시켜 제거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600°C 이상의 온도가 필요합니다. 가열 방법으로는 배기가스의 자연적 열을 이용하는 수동 재생과 촉매나 전기 가열을 통한 능동 재생이 있습니다. 능동 재생은 도시 주행 등 저온 운전 조건에서도 효과적인 재생을 가능하게 하여 DPF 막힘을 방지합니다. 재생 과정의 최적화는 연료 소비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배출가스 저감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이며, 정교한 센서와 제어 시스템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
미세먼지 현황과 대책, 해결을 위한 방안 12페이지
1. 미세먼지란?미세먼지가 문제가 되는 이유 2세계의 현황 3우리나라 미세먼지 현황 4미세먼지 원인 42. 미세먼지 대책정부 정책 6시민단체 활동 9정책의 미흡점 10생각해본 해결방안 113. 참고문헌1. 미세먼지란?미세먼지가 문제가 되는 이유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92%가 대기 오염으로 인한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고했고, 이로 인해 해마다 600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고 있다고 경고했으며 유니세프(UNICEF)는 해마다 전 세계 어린이 60만 명 대기오염으로 사망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대기오염은 인체 및 생태계 건강에 직...2022.12.16· 12페이지 -
클린디젤과 하이브리드 자동차 8페이지
1. 클린디젤과 하이브리드 자동차11-1. 클린디젤 자동차 시장동향11) 클린디젤 자동차11-2. 현대와 기아의 클린디젤31-3. 하이브리드 자동차41) 구동원리5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PHEV)의 구조와 종류51-4. 하이브리드 기술61) 하이브리드차 연비와 CO2 배출량62) 한국 하이브리드차 기술 로드맵61. 클린디젤과 하이브리드 자동차1-1. 클린디젤 자동차 시장동향클린 디젤차란 가솔린에 비해 연비가 좋은 디젤 연료의 특성을 살리되 기존 디젤 엔진과 달리 소음과 배출가스를 대폭 줄인 차를 말한다. 최근에 의미하는 클린 ...2019.10.29· 8페이지 -
자동차 기말고사 족보 및 요점정리 3페이지
2003년1. 수동변속기에서 동력전달되는 순서: DRIVEN GEAR -> SYNCHRONIZER RING -> CONE SURFACE -> EXTERNAL TEETH-> HUB -> SHAFT------------------------------------------------------------------------------2. 자동변속기에서 수동변속기의 클러치와 같은 역할을 하는 (토크컨버터) 장치에서 동력전달은엔진 크랭크샤프트에서 (임펠러)->(스테이터)->(터빈)을 통하여 유성기어 측에 전달됨.이 가운데 (스테이터)에는...2013.12.21· 3페이지 -
디젤 시뮬레이션 실험 11페이지
디젤 엔진 시뮬레이션 실험제출 날짜 : 2011.09.21이름학번목차1. 실험 목적2. 시뮬레이터의 사용과 원인을 통한 문제 확인 방법3. 디젤 연료 분사 시스템의 종류a. 직렬형 분사 펌프b. 분배형 분사 펌프c. Common rail 분사 시스템d. 유닛 인젝터4. Rack Position 제어 방법5. 디젤 엔진에서의 부하 제어 방법6. Smoke Limiter란?7. 디젤 엔진의 매연 측정 방법8. 디젤엔진에서 Smoke의 색이 뜻하는 의미1. 실험 목적디젤 엔진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전반적인 디젤 엔진의 구동 과정을 익히고...2012.03.06· 11페이지 -
환경촉매 설계 24페이지
환경 촉매 설계 by T he Echo Innovators문제제기 1 배경지식 2 촉매제조실험 3 결과 및 분석 4 결론 및 향후 전망 5 Index by T he Echo Innovators문제 제기by T he Echo Innovators 유럽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기준 / 녹스가 강화된 이유는 ? Euro3 Euro4 Euro5 Euro6 2000.1 2005.1 2009.9 2014.1 1. 문제제기by T he Echo Innovators 1. 문제제기배경 지식EGR 배기가스재순환장치 FBC 공기와 연료를 ECU 에 의해 ...2011.10.21· 2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