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우신염 영아의 간호 사례 연구
본 내용은
"
아동_fever_케이스스터디_A+자료_간호진단 4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1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생후 6개월 남아가 대장균으로 인한 급성 신우신염으로 진단받았다. 환자는 9월 15일부터 발열이 시작되어 38.4°C에서 40.0°C까지 상승했으며, 요분석 결과 요로감염증이 의심되었다. 의학적 진단은 급성 신우신염이며, 항생제 cefotaxime을 6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 중이다. 초음파 검사 결과 양쪽 신장의 크기는 정상이며 수신증, 돌, 병변이 없었다. 요배양 검사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이상이 없다.
-
2. 영아의 발열 관리 및 체액 손실생후 6개월 영아는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어 고체온 시 성인보다 수분 소실량이 훨씬 많다. 환자는 38.6°C의 발열과 함께 상의가 촉촉해질 정도의 식은땀을 흘렸으며, 이마,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 땀이 있었다. 테피드 마사지를 시행하여 체온을 관리했으며, 정맥수액 5% D/W NaK-2 1,000ml/day를 투여하고 경구 섭취를 격려했다. 탈수 예방과 전해질 균형 유지가 중요하며, 혈액검사에서 나트륨 저하가 관찰되었다.
-
3. 생후 6개월 영아의 성장발달생후 6개월 영아는 신뢰감 대 불신감의 사회심리 발달 단계에 있으며, 주 양육자와의 정서적 유대감이 중요하다. 구강기 성심리 발달 단계로 수유와 젖꼭지 사용이 중요하며, 이차순환 반응기 인지 발달 단계로 까꿍 놀이와 대상영속성 이해가 시작된다. 정상 발달 범위 내에서 양손으로 장난감을 잡고 흔들며, 침대 옆 커튼으로 까꿍 놀이를 할 때 웃는 모습을 보인다. 6~8개월 중에 낯가림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
4. 항생제 cefotaxime의 투약 관리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인 cefotaxime은 대장균, 포도구균, 인플루엔자균 등에 효능이 있으며 신우신염, 방광염 등에 사용된다. 환자는 체중 9.1kg으로 하루 455~910mg까지 투여될 수 있으나 현재 6시간 간격으로 470mg을 정맥주사 중이다. 0.9% N/S에 녹여 50~60분에 걸쳐 투여되며, 신장애 환자의 경우 투여 간격을 두어야 한다. 부작용으로 아나필락시스, 발진, 발열, 빈혈, BUN 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내성 방지를 위해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한다.
-
1.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급성 신우신염은 상부요로감염으로 신장 실질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환입니다. 특히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는 비특이적 증상으로 나타나 진단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높은 임상적 의심이 필요합니다. 요배양을 통한 확진과 영상검사(초음파, DMSA)를 통한 신장 손상 평가가 중요합니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수액 관리로 대부분 완치되지만, 반복적인 감염이나 해부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 장기적 추적관찰이 필수적입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신장 반흔 형성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2. 영아의 발열 관리 및 체액 손실영아의 발열은 감염 질환의 중요한 신호이며, 특히 생후 3개월 이내의 영아에서는 심각한 세균감염의 위험이 높아 신중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발열 관리 시 해열제 사용보다는 원인 질환의 규명이 우선이며, 적절한 검사와 항생제 치료가 중요합니다. 발열로 인한 체액 손실은 탈수를 초래하므로 정맥수액 또는 경구수액 공급을 통한 적절한 수액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영아의 체액 요구량은 체중과 발열 정도에 따라 계산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탈수 상태를 평가하고 교정해야 합니다.
-
3. 생후 6개월 영아의 성장발달생후 6개월은 영아 발달의 중요한 시기로,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이 활발하게 진행됩니다. 이 시기 영아는 체중이 출생 시의 약 2배에 도달하고, 목 조절이 완성되며 앉기 시작하는 등 운동 발달이 현저합니다. 인지 발달 측면에서는 물체 영속성 개념이 발달하고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감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부터 이유식 시작이 권장되며, 정기적인 발달 선별검사를 통해 발달 지연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항생제 cefotaxime의 투약 관리Cefotaxime은 3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로 광범위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특히 그람음성균과 일부 그람양성균에 효과적입니다. 신생아와 영아에서의 투약 시 연령과 체중에 따른 용량 조정이 필수적이며, 신기능에 따른 투약 간격 조정도 중요합니다. 수막염 치료 시에는 일반 감염보다 높은 용량이 필요하며,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로 투여됩니다. 부작용으로는 알레르기 반응, 설사, 간 효소 상승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약 중 임상 반응과 검사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아동간호학] 간호사례연구 - 요로감염 (급성 신우신염) 8페이지
< 아동간호학 >급성 신우신염 환아의간호사례 연구Ⅰ. 서론연구의 필요성비뇨생식계는 상부 요로(신장과 요관)와 하부 요로(방광과 요도)로 이루어져 있다. 신장은 강낭콩 모양으로 척주의 양면에 위치해있으며, 얇은 섬유성 피막에 쌓여있다. 신장의 바깥쪽 영역은 피질(cortex), 안쪽은 수질(medulla)로 불리며 피질은 사구체와 세뇨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질은 신추체(renal pyramids)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신우(renal pelvis)는 신장의 움푹 들어간 굴곡 부위인 신문(hilum)에 위치해있으며, 요관의 위쪽 끝까지...2021.01.19· 8페이지 -
아동간호학 실습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연구의필요성, 문헌고찰, 간호기록지, 검사결과, 사용약물,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고체온, 전해질불균형, 혈관손상의 위험성) 26페이지
〈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2. 연구기간 및 방법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Ⅱ. 본론1. 문헌고찰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42. 간호정보 조사지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03. 간호과정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1Ⅲ. 결론1. 소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62. 참고문헌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6Ⅰ. 서론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급성 신우신염(Acu...2023.06.28· 26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급성신우신염)간호과정2개-고체온,체액불균형 12페이지
아동간호학(3)- 급성 신우신염 -과목명담당교수학년 / 반 / 몇 조학번이름제출일자E-mailmobile목차Ⅰ. 서론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Ⅱ. 본론1. 문헌고찰1) 정의(Definition)2)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3)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ation)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2. 사례 소개3.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과정Ⅲ. 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요로감염은 방광, 신장, 요도, 전립선 등 요로...2024.02.16· 12페이지 -
아동간호학 급성신우신염 간호 case study A+ 꼼꼼함 22페이지
? 아동간호실습Ⅰ《CONFERENCE》Acute Pyelonephritis(급성 신우신염)목차1) 간호사례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문헌고찰4) 간호사례 연구보고서-아동간호력-임상병리 검사 수치-투여 약물-간호과정5) 참고문헌1) 간호 사례(가)진단명APN(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아동간호실습 케이스 환자로 급성신우신염을 앓고 있는 환아를 케이스로 배정받았는데, 질병에 대한 이해도 부족했고 아동환자에 대한 간호지식도 미흡하였다. 실습 병동에는 급성신우신염으로 입원한 ...2024.04.19· 22페이지 -
소아병동 사례보고서 급성신우신염 5페이지
소아병동 사례연구 보고서 양식I.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급성 신우신염이란 신장의 세균감염으로 인해서 발병하는 요로감염은 인체 내에 감염 중에서 빈도가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방광염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못할 경우 세균이 콩팥까지 침범, 신우신염을 일으키게 된다. 신우신염은 재발률이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인 질병이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대상 신우신염 환아의 상태를 파악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는 방법을 알기 위해 ‘Acute pyelonephritis’에 대해 알아보고자...2021.02.03·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