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카트 구성 및 물품 관리 지침
본 내용은
"
응급카트 정리 (간호학과 실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6
문서 내 토픽
-
1. 응급카트 기도 관리 물품응급카트의 기도 관리 물품은 환자의 호흡 유지와 산소 공급을 위한 필수 장비들로 구성됩니다. Air-way는 인공적으로 기도를 만들어 호흡을 도우며, Laryngoscope와 Videoscope는 기도가 막힌 질식 환자의 관찰과 진단에 사용됩니다. Ambu bag과 Ambu mask는 환자의 호흡수가 감소할 때 직접 숨을 불어 넣어주고, Endo-tube는 기도유지가 필요한 환자에게 기관 내 튜브를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합니다. 또한 nasal prong, mask, R.mask 등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며, Suction catheter로 구강과 기관 내 분비물을 흡입합니다.
-
2. 응급카트 약물 구성응급카트의 약물은 생명 위험 상황에서 즉각적인 치료를 위해 구성됩니다. Atropine은 항콜린제로 서맥 증상 개선에 사용되고, Epinephrine은 CPR 중 3~5분마다 투여하여 혈압과 심박수를 증가시킵니다. Cordarone은 심방세동과 심실세동 등 이상 리듬 치료에, Calcium gluconate는 저칼슘혈증과 근육 약화 치료에 사용됩니다. Sodium bicarbonate는 대사성산증과 심근경색 상황에서, Norpin은 급성 저혈압과 쇼크 치료에 투여되며, Magnesium은 저칼슘혈증과 간경변 치료에 사용됩니다.
-
3. 응급카트 주입액 및 보조 물품응급카트의 주입액은 환자의 수분 보충과 약물 희석을 위해 구성됩니다. 0.9% N/S는 주사용액 희석제 및 수분 보충에 사용되고, 20% D/W는 경구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의 열량 및 수분 공급에, 5% D/W는 수분결핍 시 수분 보급과 주사제 희석에 사용됩니다. IV set는 IV catheter와 수액을 연결하고, 3-way는 다른 수액 주입 기구의 안전 연결을 위한 커넥터 역할을 합니다. Angio needle은 정맥 line 확보에 사용되며, Glove는 의료진의 감염 예방과 무균 처치를 위해 필수입니다.
-
4. 응급카트 진단 및 보조 장비응급카트의 진단 및 보조 장비는 환자 상태 파악과 응급 처치를 위한 도구들입니다. Pen-light는 동공 반사 확인과 기관내삽관 시 시야 확보에 사용되고, Stylet는 E-tube에 넣어 삽관을 도움으로써 기도 확보를 용이하게 합니다. Gauze는 혈액, 조직액 및 분비물 제거 시 사용되며, 술리딘과 글리세린은 윤활제로 기도 삽관 시 사용됩니다. 건전지는 pen-light 등 물품 사용 시 필요한 전원 공급 물품으로,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진단과 처치를 가능하게 합니다.
-
1. 응급카트 기도 관리 물품응급카트의 기도 관리 물품은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도 확보는 응급 처치의 첫 번째 단계이며, 적절한 기도 관리 물품의 구비는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크기의 기관내관, 후두경, 기낭마스크, 흡인 카테터 등이 즉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되어야 합니다. 특히 소아 환자를 위한 다양한 크기의 물품 구비가 중요하며,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기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의료진의 숙련도 향상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
2. 응급카트 약물 구성응급카트의 약물 구성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약물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심정지, 아나필락시스, 고혈압 위기 등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약물들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에피네프린, 아미오다론, 아트로핀 등 생명 구조 약물부터 진정제, 진통제까지 필요한 약물이 적절한 용량으로 준비되어야 합니다. 약물의 유효기간 관리, 정기적인 재고 확인, 의료진의 약물 지식 교육이 중요하며, 약물 투여 프로토콜의 명확한 수립으로 응급 상황에서의 혼란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3. 응급카트 주입액 및 보조 물품응급카트의 주입액 및 보조 물품은 응급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수액, 혈액 제제, 수액 세트, 주사 바늘 등이 충분한 양으로 준비되어야 합니다. 특히 대량 출혈이나 쇼크 상황에서 신속한 수액 공급이 생명을 좌우할 수 있으므로, 신속 주입 장치와 가온 장치 등의 보조 물품도 함께 구비되어야 합니다. 정맥 접근 장비의 다양한 크기 준비, 수액의 적절한 온도 유지, 정기적인 재고 관리를 통해 응급 상황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
4. 응급카트 진단 및 보조 장비응급카트의 진단 및 보조 장비는 응급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심전도 모니터, 제세동기, 혈압계, 맥박 산소 측정기, 혈당계 등의 진단 장비가 항상 작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또한 흡인 기구, 산소 공급 장치, 척추 보호 장비 등의 보조 장비도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장비들의 정기적인 점검, 배터리 관리, 의료진의 사용 교육이 중요하며, 장비의 신뢰성과 가용성이 응급 처치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간호관리학 간호과정 _ 간호진단 개수 4개, 간호과정 3개1. 감염관리 표준 불이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 간호 병원 환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균이 존재하며 환자들은 감염의 감수성이 높아져 있는 상태이다. 의료인이 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감염관리 지침을 구두로 읽음으로써 내용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고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메뉴얼을 통해 간호수행 중 감염관리에 대한 행동지침...2025.01.14 · 의학/약학
-
드레싱 카트 물품 및 병동 시술·수술 간호활동1.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약품 드레싱 카트에는 Poly-Glove, 라텍스 장갑, 포비돈스틱, 헥스틱스왑액, 과산화수소수, 포비돈탈지면볼, 멸균거즈, Dressing KIT, 메디폼, 바셀린거즈, 메딕스, Hypafix, 폼가드, MultiFix, Border Flex, 루브-겔, 탄력붕대, 메스, 나일론 봉합사, Steri-Strip, 옷핀, 리도카...2025.11.17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계획1.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신규간호사 교육은 2주 동안 진행되며, 모든 신규간호사들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해야 합니다. 오리엔테이션 내용에는 병원 소개, 간호부 소개, 병동 관리, 물품 및 약품 관리, 전산 업무, 감염 관리, 간호업무, 특수검사 업무, Duty별 업무 등이 포함됩니다. 2. 병원 소개 병원 직원 소개, 병원의 철학과 목적, 병원 구조 및 ...2025.04.29 · 의학/약학
-
병동 수납장 라벨링 개선을 통한 업무 효율성 증진1. QI 활동 및 품질 개선 QI(Quality Improvement) 활동은 조직의 업무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한 체계적인 개선 활동입니다. 본 계획서는 병동 수납장의 라벨링 개선을 통해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QI 활동입니다. PDCA 사이클(Plan-Do-Check-Act)을 기반으로 주제 선정, 현황 파악, 원인 분석, 대책 수립, 개...2025.11.16 · 보건
-
성인간호학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1. 응급실 실습 준비 응급실 실습을 위해 응급 카트의 구성과 약품 위치, 응급 환자 분류 체계인 KTAS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응급 카트에는 응급 약물, 기도 관리 기구, 주사 및 채혈 물품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KTAS는 응급실 내원 환자를 신속하게 분류하여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입니다. 2. 출혈 및 쇼크 관리 외출혈과 내출혈의 특징과 처치 ...2025.05.05 · 의학/약학
-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1. 응급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검사 전·후 간호 응급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검사인 Spinal Tap, Angiography, MRI의 검사 전후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검사 전에는 대상자의 이해와 동의를 구하고, 검사 후에는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응급환자 사정 및 분류 응급환자 사정 및 분류 체계인 KTA...2025.01.15 · 의학/약학
-
물품관리(의료장비, 비품, 소모품), 소독물품 조사, 린넨류, 응급카트(응급의료물품, 응급카트 관리대장), 투약지침, 투약업무평가도구 11페이지
의료장비와 비품, 일반비품물품명수량보관위치기능 및 상태비고의료비품침대50병실양호-체중계1개스테이션 앞-pressing cart4개복도-Wall Suction50개병실-O2 flowmeter50개병실-Warmer10개복도-Nebulizer system10개처치실-스트럭쳐 카5개복도-산소 텐트5개물품실-링겔대55개복도-효율적인 물품관리 방안? 매 duty마다 물품 인수인계를 하여 물품의 수량 및 기능을 확인한다.? 이동성인 물품은 반드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곳에 물품의 위치를 기재하고, 다음 duty에 인계받을 때는 물품이 그 위...2020.12.29· 11페이지 -
간호관리학 간호과정 _ 간호진단 개수 4개, 간호과정 3개 (감염관리 표준 불이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간호, 처치실 공간 부족과 관련된 업무 효율성 저하, 부적절한 의사소통 기술과 관련된 대상자와의 비효과적 관계) 10페이지
가능한 간호진단 1 감염관리 표준 불이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 간호 2 처치실 공간 부족과 관련된 업무 효율성 저하 3 미흡한 물품관리와 관련된 비효과적 자원관리 4 부적절한 의사소통 기술과 관련된 대상자와의 비효과적 관계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1. 감염관리 표준 불이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 간호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체온계의 탐침을 교환하는 모습 관찰된 적 없음 - 매 환자마다 체온계의 탐침 소독을 하지 않음 - IV line side로 투약하기 ...2024.04.25· 10페이지 -
QI 활동 계획서 - 업무 효율성 증진을 위한 수납장 라벨링 개선 9페이지
QI 활동 계획서OOO병원 O병동[업무 효율성 증진을 위한 수납장 라벨링 개선]과목명간호관리학 실습실습지실습 기간담당 교수학번이름목 차1. 주제 선정이유(필요성)2. 현황 파악3. 용어의 정의4. 핵심 지표5. 개선 활동 팀 구성6. 추진 일정7. 원인분석8. 활동 계획9. 기대효과10. 실행방법11. 부서업무화/지침화12. 피드백1. 주제 선정이유(필요성)OOO병원 O병동에는 총 4개의 스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스테이션은 최소 3개의 간호 카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션 주변으로 병동 물품이 수납된 수납장들이 위...2023.11.19· 9페이지 -
간호관리학 - [수문사]간호단위관리 요약정리 18페이지
목 차[제 1장 . 간호단위관리]1절. 환자간호관리······························································································································· 32절. 물품 및 약품관리······················································································································ 73절. 환자안전관리...2024.08.07· 18페이지 -
A+++ 간호관리학실습 간호단위분석 보고서 6페이지
REPORT제목 : 간호단위 현황 분석 보고서교과목명담당교수담당현장지도자실습지/병동실습기간학번/이름구분현황병원 및 간호부의 비전과 미션실습 부서32병동주 진료과간호간병통합(OS, GS, NEP 등)환자 현황남: 9 여: 14 총:23병상가동률: 51.1% (23/45)환자 중증도 분류 현황: 1군: 6명, 2군: 16명, 3군: 1명병상 수총: 451인실: 2 2인실: 4 5인실: 7주 진단명1. 폐쇄성 골절2. 담낭 결석3. 협심증주 시술및 검사1. 골절 부위 고정술2.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 (ERCP)3. 경피적 튜브 배액...2022.12.09·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