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 크기 분석
본 내용은
"
8주차_SDS-PAG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5
문서 내 토픽
-
1. SDS-PAGE 원리SDS-PAGE는 단백질에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Sodium Dodecyl Sulfate)를 처리하여 단백질을 1차 구조로 변성시키고 음전하를 띠게 한 후, 전기장을 가해 polyacrylamide gel 내에서 단백질을 이동시켜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SDS는 단백질의 비공유 상호작용을 끊고 단백질의 원래 전하보다 훨씬 강한 음전하를 부여하여 단백질의 질량에 비례하는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
2. 실험 결과 및 해석본 실험에서 Protein A는 46kDa, Protein B는 56kDa로 측정되었다. 단백질의 크기가 작을수록 gel을 빠르게 통과하고, 클수록 시작점에 머무르는 특성을 보인다. 단백질의 질량과 이동속도는 선형으로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Sample buffer의 β-mercapto-ethanol은 cysteine 사이의 disulfide bond를 환원시켜 3, 4차 구조를 제거한다.
-
3. Native PAGE와의 비교Native PAGE는 SDS PAGE와 달리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으며 non-denatured gel을 사용한다. Native PAGE에서는 단백질의 구조(folding, amino acid chain)에 따라 분리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단백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반면 SDS PAGE는 단백질이 불안정하지만 크기에 따른 명확한 분리가 가능하다.
-
4. 오차 분석 및 개선 방법Protein band가 예상 크기보다 크게 나타난 경우, 단백질 정제 과정의 불완전성이나 pH에 따른 단백질의 전하 변화가 원인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soelectric focusing으로 단백질을 전하에 따라 먼저 분리한 후 SDS PAGE를 수행하는 2차원 전기영동을 사용할 수 있다. Gel의 농도와 pore size도 단백질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
1. SDS-PAGE 원리SDS-PAGE는 단백질 분석의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기법입니다. SDS(소듐 도데실 설페이트)가 단백질에 음전하를 균일하게 부여함으로써 단백질을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는 원리는 매우 우아합니다. 이 방법은 단백질의 3차 구조를 파괴하여 1차 구조 기반의 순수한 분자량 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환원제 사용 여부에 따라 이황화 결합의 처리를 조절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다만 막단백질이나 극도로 소수성인 단백질의 경우 완전한 용해가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전기영동 과정에서 전기장의 강도, 완충액의 pH, 겔의 농도 등 여러 변수가 분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조건 설정이 중요합니다.
-
2. 실험 결과 및 해석SDS-PAGE 실험 결과의 해석은 단순한 밴드 위치 확인을 넘어 정량적 분석까지 포함해야 합니다. 마커 단백질과의 비교를 통해 미지 단백질의 분자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밴드의 강도는 단백질의 상대적 양을 반영합니다. 결과 해석 시 주의할 점은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이동입니다. 예를 들어 고도로 당화된 단백질이나 인산화된 단백질은 예상보다 느리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완전한 환원이나 단백질 응집은 예상과 다른 밴드 패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양성 및 음성 대조군의 포함이 필수적이며, 반복 실험을 통한 재현성 확인도 중요합니다.
-
3. Native PAGE와의 비교Native PAGE와 SDS-PAGE는 상보적인 기법으로서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SDS-PAGE는 단백질을 완전히 변성시켜 순수한 분자량 분석에 우수하지만, 단백질의 천연 구조와 기능 정보는 손실됩니다. 반면 Native PAGE는 단백질의 3차 구조와 사량체 같은 복합체를 유지하므로 생리적 상태에 더 가깝습니다. 따라서 단백질 복합체의 조성 분석이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연구에는 Native PAGE가 더 적합합니다. 그러나 Native PAGE는 단백질의 전하 차이에 의존하므로 분자량 추정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포괄적인 단백질 분석을 위해서는 두 기법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4. 오차 분석 및 개선 방법SDS-PAGE 실험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여러 출처에서 비롯됩니다. 샘플 준비 단계에서의 부정확한 정량화, 불완전한 변성, 불균일한 로딩은 주요 오차 원인입니다. 전기영동 과정에서는 온도 변화, 완충액 이온 강도 변화, 불균일한 전기장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개선 방법으로는 정확한 단백질 정량(Bradford 또는 BCA 방법), 충분한 가열 시간 확보, 자동 로딩 장비 사용, 일정한 온도 유지, 고품질 마커 단백질 사용 등이 있습니다. 또한 겔 이미징 시 적절한 노출 시간 설정과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의 정확한 보정도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장비 유지보수와 표준화된 프로토콜 준수는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
SDS-PAGE를 이용한 AP 단백질 분석 및 Coomassie Blue Staining1. 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 SDS-PAGE 실험을 통해 AP 단백질의 크기와 순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DS-PAGE 과정에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제거하고 크기에 따라 분리되도록 하여, 목표 단백질인 AP 단백질을 선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Coomassie Blue 염색을 통해 단백질 밴드를 시각화하여 분석할 수 있었습...2025.01.17 · 자연과학
-
[만점자료] DNA전기영동과 SDS-PAGE 실험 보고서1. DNA 전기영동 DNA 전기영동은 PCR을 통해 유전자를 증폭시킨 후, 전기를 이용해 DNA를 크기별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PCR은 DNA 변성, Primer 부착, 신장 과정을 거치며 유전자를 지수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은 한천을 이용해 만든 겔을 통해 DNA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서는 원래 플라스미드, 제...2025.01.23 · 자연과학
-
SDS-PAGE 이론1. SDS-PAGE SDS-PAGE는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자이다. SDS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의 가용화제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단백질의 전기영동에서 SDS-PAGE법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용된다. SDS-PAGE의 원리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2025.05.07 · 자연과학
-
SDS PAGE 실험보고서1. SDS PAGE SDS PAGE란 Sodium Dodecyl 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줄임말로써, PAGE는 전기영동법을 지칭하는 말로서 사용되기도 하고, 때로는 겔 자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이를 사용한 전기 영동법 역시 기본적 원리는 한천을 이용한 것과 같다. 허나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은 한천...2025.05.04 · 자연과학
-
이화여대 생명과학실험 A+ 리포트(SDS-PAGE, Coomassie Blue Staining)1. SDS의 역할 및 원리 SDS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이나 핵산의 구조를 깨뜨려 선형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아미노산 두 개에 SDS 한 개가 결합하고 SDS분자의 긴 소수성 꼬리가 단백질의 골격을 감싸면서 음전하를 띈 꼬리의 끝부분이 밖으로 향하게 되므로 단백질은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던 전하와 관계없이 -전하를 띄게 된다. 2. PAGE...2025.01.23 · 자연과학
-
생화학 실험/실습 보고서 (전기영동을 이용한 단백질의 관찰)1. SDS-PAGE SDS-PAGE는 도데실황화 나트륨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이 전기장에 가해진 gel에서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가 다름을 이용해 이들을 분리 및 분석하는 기법이다. SDS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풀어주고 단백질이 같은 전하/분자량을 가지도록 만들어준다. 단백질이 running gel에서 크기에 따라 이동성을 다르게 나...2025.01.23 · 자연과학
-
[생명과학실험 레포트]_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A+레포트 입니다. 6페이지
1. 제목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2. 요약1) Poly arcylamide gel 만들기2) gel을 이용하여 SDS-PAGE와 Coomassie blue staining을 통해 원하는 AP단백질을 분석하기3. Introduction SDS의 역할 및 SDS-PAGAE 실험 원리-SDS (Sodium dodecyl sulfate)의 역할: CH3-(CH2)11-OSO3NaSDS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이나 핵산의 구조를 깨뜨려 선형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아미노산 두 개에 SDS 한 개가 결합하고 SDS분...2022.12.27· 6페이지 -
SDS-PAGE & Western Blot 결과 레포트 18페이지
SDS-PAGE & Western Blot실험목적이번 실험에서는 SDS-PAGE부터 Western blot의 단계별 실험원리를 이해하고 실험 데이터를 보고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실험원리단백질 전기 영동의 typesGel types에 따라 2D-electrophoresis using Rod gel와 Slab gel로 나뉜다. Rod gel은 2D-electrophoresis를 할 때 사용되는데, 단백질을 pI와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는 방식이다. 1차원 전기 영동에서 단백질은 rod gel에서 pI에 따라 분리된 후 SDS polya...2023.07.11· 18페이지 -
A+ 생화학실험 <14주차. 단백질 분석 (SDS-PAGE)> 레포트 14페이지
1. Title14주차. 단백질 분석 (SDS-PAGE)2. Purpose지난 실험에서 정제한 단백질을 SDS-PAGE로 분석한다.3. Theory3.1 SDS-PAGE Electrophoresis 및 원리SDS-PAGE는 Sodium Dodecyl Sulfate (SDS)를 이용해 단백질에 음전하를 부여함으로써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를 수행하여 단백질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전기영동방법이다. SDS-PAGE는 일반적으로 5~250 kDa 범위의 단백질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며, 이...2024.08.14· 14페이지 -
생명과학실험1 Western Blot 9페이지
0. 실험목표Western Blot을 통해 여러 단백질들이 혼합되어 있는 단백질 sample에서 원하는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SDS-PAGE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크기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단백질을 membrane으로 옮긴 후에 항원-항체 상보적 결합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시각화하여 결과를 확인한다.1. IntroductionWestern Blot은 gel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을 분리하고,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이다.(1) Electrophoretic Separ...2024.06.21· 9페이지 -
[생화학실험] A+, SDS-PAGE를 통한 단백질 분리 실험 13페이지
실험목적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및 검출을 진행하고 이해한다.SDS-PAGE에 사용되는 시약의 특성을 알압보고 SDS-PAGE의 원리를 이해한다.이론SDS-PAGE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의 약호이다.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으로서 단백질이 전기장이 가해진겔(gel)에서 그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가 다름을 이용해 이들을 분리 및 분석하는 기법이다.전기장에서 단백...2024.01.16· 1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