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농흉 환자의 ICU 간호 사례 연구
본 내용은
"
농흉_CASE_성인간호학실습_ICU실습_비효과적호흡양상, 감염의위험, 욕창의위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3
문서 내 토픽
  • 1. 농흉(Pyothorax)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농흉은 흉막강 내에 농이 축적되고 흉막액에서 세균이 검출되는 질환이다. 급성기, 이행기, 만성기 3단계로 분류되며, 각 단계별로 치료 방법이 다르다. 임상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호흡곤란, 호흡음 감소, 흉통, 체중감소 등이 나타난다. 본 사례 환자는 COPD로 인해 농흉이 발생했으며 제3단계 만성기로 유착이 견고한 상태였다. 환자는 38.0℃의 고열과 호흡곤란을 호소했으며, 흉막피질박리술(decortication)을 시행받았다.
  • 2. 농흉의 치료 방법
    농흉 치료는 초기 배농이 중요하며, 급성기에는 항생제 치료와 흉관 삽입으로 배농을 시도한다. 만성기에는 항생제 치료나 흉관 삽입술로 배액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개흉술을 통해 흉막박피술을 시행한다. 본 환자는 2023년 5월 31일 흉막피질박리술(decortication)을 시행받았으며, 수술 중 유착이 너무 견고하여 개흉이 필요했다. 현재 ventilator 적용 중으로 SpO2 95~100% 유지 중이며, barovac을 통한 배액 관리가 진행 중이다.
  • 3.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
    객담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는 호흡양상을 2시간마다 사정하고, 기관절개관을 통한 주기적 흡인으로 객담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좌위 자세 유지로 폐의 최대 확장을 도모하고, ABGA 검사로 저산소혈증 여부를 확인하여 산소 투여를 결정한다. 본 환자는 호흡수 12~20회/분, SpO2 95% 이상 유지를 단기목표로 설정했으며, 노란색 끈적한 객담을 주기적으로 흡인했다.
  • 4.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예방 간호
    침습적 처치(foley catheter, arterial line, femoral catheter, T-cannula)로 인한 감염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체온을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사용기한이 지난 카테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한다. foley catheter는 월 1회, T-cannula는 10일에 1회 교체한다. 본 환자는 37.3~38.0℃의 고열을 보였으며, 정상체온 유지를 3일 이내 목표로 설정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농흉(Pyothorax)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농흉은 흉강 내 화농성 삼출액이 축적되는 심각한 상태로, 그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것이 임상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주로 폐렴, 폐농양, 흉부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세균 감염이 주요 원인입니다. 임상증상은 급성 호흡곤란, 흉통, 기침, 발열 등으로 나타나며, 환자의 호흡 상태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습니다. 흉부 X선과 CT 검사를 통해 진단되며, 흉강천자로 채취한 액체의 세포 분석과 배양이 중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예후를 크게 좌우하므로, 의심 증상 시 신속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농흉의 치료 방법
    농흉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침습적 치료를 병행하는 다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광범위 항생제 투여와 흉강천자를 통한 배액이 시행되며, 배양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조정합니다. 흉관 삽입술은 대량의 농성 삼출액 제거에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배액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흉강경 수술이나 개흉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적절한 영양 지원과 호흡 재활도 중요한 치료 요소입니다. 치료 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전신 상태, 농흉의 정도, 기저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 3.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
    농흉 환자의 비효과적 호흡양상은 흉강 내 액체 축적으로 인한 폐 압박과 호흡근의 기능 저하로 발생합니다. 간호 중재로는 반좌위 이상의 체위 유지로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산소 포화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산소 요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심호흡과 기침 운동을 격려하고, 흉관 관리 시 폐쇄성 드레싱을 유지하여 공기 누출을 방지합니다.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심리적 지지와 교육을 제공하고, 호흡 곤란 시 즉시 의료진에 보고하도록 지도합니다. 정기적인 폐음 청진과 호흡 상태 사정을 통해 변화를 조기에 감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예방 간호
    농흉 환자에게 시행되는 흉강천자, 흉관 삽입술 등의 침습적 처치는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철저한 감염 예방이 필수적입니다. 무균 기법을 엄격히 준수하여 시술 시 감염을 예방하고, 흉관 삽입 부위의 드레싱을 정기적으로 교환하며 감염 징후를 관찰합니다. 흉관 관리 시 폐쇄성 드레싱을 유지하고, 배액 튜브의 꺾임이나 폐쇄를 방지하여 적절한 배액을 보장합니다. 환자의 개인위생을 유지하고, 손 위생을 철저히 하며, 필요시 항생제 예방 투여를 시행합니다. 흉관 제거 후에도 삽입 부위의 감염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 예방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