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뇌출혈 환자 시뮬레이션 간호과정
본 내용은
"
성인 시뮬레이션 실습 뇌출혈 간호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6
문서 내 토픽
-
1. 뇌출혈(ICH)과 두개내압 상승뇌출혈은 뇌혈관 파열로 인한 출혈로 두개내압 상승을 초래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수준 저하, Cushing triad(수축기혈압 상승, 서맥, 체인스톡 호흡), 두통, 구토 등이 나타납니다. Glasgow Coma Scale(GCS)을 통해 의식수준을 평가하며, 동공반사와 생활징후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치료로는 Dexamethasone 투여, 침상높이 20-30도 유지, 산소요법, 기관내관 흡인 시 과다환기 등이 시행됩니다.
-
2.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의식저하로 인한 부적절한 분비물 배출은 기도폐쇄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간호중재로는 반좌위 유지, 산소공급(3L/min), 정기적 흡인, 흉부물리요법, 체위배액법 시행이 포함됩니다. 흡인 전후 과다환기와 10초 이내의 흡인시간 준수가 필수입니다. 객담의 색깔, 점도, 양을 사정하여 폐렴 등 합병증을 조기 발견합니다.
-
3. 욕창 예방 및 피부통합성 유지장기 부동 환자는 욕창 고위험군입니다. Braden Scale을 사용하여 위험도를 사정하고, 에어메트리스, 베개 등 지지표면 장치를 적용합니다. 1-2시간마다 체위변경, 수동관절운동, 피부 건조 유지, 정기적 마사지와 연고 도포가 필요합니다. 보호자 교육을 통해 환의와 침구류 관리, 습기 제거를 강조합니다.
-
4. Glasgow Coma Scale(GCS) 평가GCS는 눈뜨는 반응(E), 언어반응(V), 운동반응(M)의 세 항목으로 구성되며 총 15점입니다. 점수에 따라 alert(11-15점), stupor(8-10점), semi coma(4-7점), coma(1-3점)로 분류됩니다. 정기적 평가를 통해 의식수준 변화를 감지하고 신경학적 악화를 조기에 발견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
1. 뇌출혈(ICH)과 두개내압 상승뇌출혈로 인한 두개내압 상승은 신경계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초기 혈종 크기, 위치, 확장 여부가 임상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신속한 진단과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두개내압 상승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머리 30도 상향, 목 중립 위치 유지, 적절한 산소포화도 유지 등의 기본적인 간호중재가 중요합니다. 또한 고혈압 관리, 저체온증 예방, 혈당 조절 등 전반적인 신경계 중환자 관리가 필요하며, 의료진의 정기적인 신경학적 사정과 영상 검사를 통한 추적 관찰이 환자의 회복과 합병증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비효과적 기도청결은 중환자실 환자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흡인성 폐렴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기도 흡인, 체위 변경, 호흡 운동 등의 간호중재가 기도 개존성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의식 저하 환자나 기계호흡 중인 환자의 경우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기도 사정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분비물 특성, 기침 능력, 호흡음 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개별화된 중재를 제공해야 하며, 필요시 기도 내 압력 관리와 습도 조절을 통해 기도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욕창 예방 및 피부통합성 유지욕창은 장기 입원 환자에게 발생하기 쉬운 합병증으로, 예방이 치료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경제적입니다. 정기적인 체위 변경, 피부 사정, 영양 상태 관리가 욕창 예방의 기본입니다. 특히 신경계 손상 환자나 의식 저하 환자는 감각 저하로 인해 욕창 위험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지지면 사용, 피부 청결 유지, 습기 관리 등의 환경적 요소도 중요하며, 위험도 사정 도구를 활용한 체계적인 접근이 욕창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
4. Glasgow Coma Scale(GCS) 평가Glasgow Coma Scale은 신경계 손상 환자의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표준화된 도구로, 임상 의사결정과 예후 판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의 세 가지 항목을 통해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GCS 점수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치료 방향 결정, 예후 예측에 활용되므로 정확한 사정이 필수적입니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GCS를 평가하여 환자의 변화를 감지하고, 점수 변화에 따른 신속한 보고와 중재가 환자의 안전과 예후 개선에 직결되므로 신뢰할 수 있는 사정 능력 개발이 매우 중요합니다.
-
성인간호학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1. 응급실 실습 준비 응급실 실습을 위해 응급 카트의 구성과 약품 위치, 응급 환자 분류 체계인 KTAS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응급 카트에는 응급 약물, 기도 관리 기구, 주사 및 채혈 물품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KTAS는 응급실 내원 환자를 신속하게 분류하여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입니다. 2. 출혈 및 쇼크 관리 외출혈과 내출혈의 특징과 처치 ...2025.05.05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A+]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약물의 적응증, 용법, 부작용 등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ambu bag, airway, laryngoscope, endotracheal tub...2025.05.10 · 의학/약학
-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PBL 보고서 흉통을 호소하는 대상자 간호 15페이지
2023학년도 4학년 1학기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PBL 보고서Module 1: 흉통을 호소하는 대상자 간호팀 이 름제 출 일팀원이름 (학번)번호조원 이름업무분담1이수정처방 확인(경구,IV)정확한 대상자(Right Client)정확한 약(Right Drug)정확한 양(Right Dose)정확한 투여경로(Right Route)정확한 시간(Right Route)+ 정확한 교육: 약물 작용 및 부작용 설명, 니트로글리세린의 경우 투약교육2. 검사결과 확인 및 처치검사결과 확인혈액검사EKG 확인심장동맥 조영술을 한 경우: 촬영한 혈관 관찰,...2024.10.18· 15페이지 -
성인간호학_VSIM Carl Shapiro 보고서 7페이지
성인간호학_VSIM Carl Shapiro 보고서(간호진단 3개, ISBAR O)목 차1. Documentation Assignments2. Guideline Reflection Questions1. Documentation Assignments1. Document Carl Shapiro’s cardiac rhythms that occurred in the scenario.답) 초기 심장 박동은 82회/분로 나타났으며, ECG결과 전방 심근 경색이 있는 동 리듬이었다. 심장 박동 80회/분 ~ 82회/분으로 유지되다가 약 9분 후 ...2024.09.11· 7페이지 -
[A+성인시뮬레이션실습] 위암 사전학습 7페이지
성인 시뮬레이션사전학습 (위수술)과목명 : 성인시뮬레이션실습교수님 : OOO교수님제출일 : 2021. .조 :조 원 :1. 통증의 정의, 발생과정, 전달이론, 통증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 통증의 정의: 실제 또는 잠재적인 신체 손상과 관련된, 불쾌한 감각이나 감정적 경험을 말함2) 발생과정 및 전달이론: 유해자극을 받았을 때 말초에 있는 유수신경, 무수신경에 의해 통각신호가 전달됨3) 통증의 종류① 기간에 따른 분류급성통증만성통증정의통증 지속기간이 3~6개월 이내로,보통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강도와 지속기간이 다양하며 시간이...2022.08.27· 7페이지 -
아동간호학) 탈수 case study A+ 21페이지
CASE STUDY탈수(dehydration)대상자 간호목 차?. 서론A. 연구 필요성 및 목적B. 연구대상 및 방법Ⅱ. 문헌고찰1. 정의 및 원인2. 병태 생리3. 진단방법4. 임상증상5. 치료6. 간호(교과서/간호사/간호학생)Ⅲ. 간호과정1. 자료수집- 간호력- 기본욕구별 건강사정- 신체사정- 투약-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특수치료- 인계식 정리2. 간호과정Ⅳ. 참고문헌서론?. 서론A. 연구 필요성 및 목적아동에게 있어서 탈수는 가장 흔하게 접하는 문제 중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소아에서 빈도가 비교적 높은 위장관염(흔히 장염...2025.03.16· 21페이지 -
지역사회간호학 고혈압관리 및 대사증후군 교육자료 11페이지
Report핵심시뮬레이션 Ⅲ과제: 지역사회 방문간호교수명학년/반학번이름제출일목차1. 고혈압대상자 관리를 위한 보건교육안2.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육자료● 참고자료교육제목고혈압 관리 교실교육대상oo시 60세 이상 고혈압 고위험군 및 대상자(30명)교육장소oo시 보건소 보건교육실교육일시2021년 3월 19일 금요일 10:30~12:30학습목표일반적 목표- 고혈압에 대한 정확한 지식습득과 고혈압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함으로써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한다.구체적 목표- 고혈압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고혈압의 증상 3가지를 말할 수 있다.- ...2023.01.11· 1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