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0세 2학기 관찰기록일지 (9-2월)
본 내용은
"
만0세 2학기 관찰기록일지 9-2월 5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3
문서 내 토픽
-
1. 기본생활영아가 낮잠 시간에 자장가를 들으며 토끼 인형을 안고 이불을 찾아 눕는다. 처음에는 눈을 감지 않고 인형의 귀를 만지다가 교사의 상호작용 '인형이랑 코 자자'라는 말을 듣고 눈을 감으며 인형의 귀를 만지다 잠이 든다. 이는 영아가 교사의 언어적 지시에 반응하고 안정적인 수면 습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
2. 신체운동영아가 큰 공을 관찰하고 상호작용한다. 처음에는 공을 10초 정도 관찰하다가 공이 굴러오자 물러난다. 교사의 언어적 자극 후 공에 다가가 두 손으로 밀어보고 오른손으로 쳐본 후 양손으로 공을 치며 웃는다. 이는 영아의 대근육 발달과 물체에 대한 탐색 능력 발달을 나타낸다.
-
3. 의사소통영아가 소리 나는 책을 탐색한다. 책의 소리에 깜짝 놀란 후 웃으며 여러 곳을 눌러본다. 친구가 책을 누르려 하자 책을 숨겼다가 친구가 울자 다시 내놓는다. 친구가 누르자 함께 웃는다. 이는 영아의 반응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을 보여준다.
-
4. 사회관계영아가 색깔 종이 접시로 까꿍 놀이를 한다. 파란색 접시를 들고 앞뒤를 살핀 후 교사의 까꿍 모습을 보고 접시로 얼굴을 가렸다 내려놓으며 '까꿍'이라 말한다. 친구들이 같은 행동을 하자 친구를 쳐다보며 함께 놀이한다. 이는 영아의 모방 능력과 또래 상호작용 발달을 나타낸다.
-
5. 예술경험영아가 스티커 붙이기 활동에 참여한다. 교사가 스티커 붙이는 모습을 보고 선생님 무릎에 앉아 휴지심과 스티커를 가져간다. 교사의 질문에 오리 그림 스티커를 손가락으로 가리킨 후 스스로 스티커를 떼어 붙이고 싶은 곳에 붙인다. 이는 영아의 선택 능력과 미세근육 발달을 보여준다.
-
6. 자연탐구영아가 거울을 탐색한다. 거울 속 자기 모습에 웃음을 멈추었다 다시 웃기를 반복한다. 까꿍 놀이를 하며 친구가 거울에 보이자 손바닥을 친구 모습에 대보인다. 교사의 모습도 보이자 거울 속 교사를 보며 웃어보인다. 이는 영아의 자기 인식과 거울상 인식 발달을 나타낸다.
-
1. 기본생활기본생활은 인간이 건강하고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영역입니다. 식사, 수면, 위생 관리 등의 기본생활 습관은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과 사회적 적응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규칙적인 기본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평생의 건강한 생활 기초를 마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바쁜 일상 속에서 기본생활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쉬운데, 이를 다시 인식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2. 신체운동신체운동은 단순한 체력 증진을 넘어 전인적 발달을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자신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운동을 통한 신체 활동은 뇌 기능 향상과 인지 능력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자신의 체력과 관심에 맞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건강한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3. 의사소통의사소통은 인간관계의 기초이며 사회생활의 핵심입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은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며, 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과정입니다. 디지털 시대에 다양한 의사소통 수단이 등장했지만, 면대면 대화의 중요성은 여전히 변하지 않습니다. 특히 감정 표현, 갈등 해결, 협력 관계 형성 등에서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며, 이를 개발하고 향상시키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에 필수적입니다.
-
4. 사회관계사회관계는 인간이 사회 속에서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가족, 친구, 동료 등 다양한 관계 속에서 우리는 정서적 지지를 받고, 소속감을 느끼며,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건강한 사회관계는 심리적 안정감과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강화합니다. 현대 사회의 개인화 추세 속에서도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이 개인의 웰빙과 사회 통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5. 예술경험예술경험은 인간의 창의성과 감정 표현을 풍요롭게 하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음악, 미술, 무용, 연극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며,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술경험은 스트레스 해소, 자아 실현, 문화적 소양 발달에 기여합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예술을 감상하고 참여하는 경험은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공감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합니다.
-
6. 자연탐구자연탐구는 인간이 자연 세계를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을 발달시키는 기초입니다.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호기심을 자극받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며,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형성합니다. 특히 어린 시절의 자연탐구 경험은 과학적 소양과 창의적 사고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환경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자연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관찰일지] 만 3세 22명 2학기 유아 관찰일지 14페이지
2학기 유아 관찰기록 일지관찰기간: 9-2월담임원장이름000성별생년월일년 월 일 (만 3세 )표준보육과정관련영역관찰일관찰내용신체운동건강0/0배가 아프다며 화장실에 간다고 한다. 다녀오라고 하고 화장실에 들어간다. 한참뒤에 00이가 나온다. 00이에게“ 응가했니?”하고 묻자 했다고 한다. 스스로 닦았냐고 물어보자 스스로 잘 닦았다고 한다. 손을 씻었냐고 물어보자 “아 깜빡했다”하며 다시 화장실로 들어가서 손을 비누로 깨끗하게 씻는다.의사소통0/0물감을 이용하여 두 가지 색깔을 섞어 새로운 색깔을 만들어보는 활동을 하고 있다. 00이는...2024.10.07· 14페이지 -
[관찰일지]만 3세 23명 2학기 유아관찰일지 -평가제 23페이지
2학기 유아 관찰기록 일지관찰기간: 9-2월담임원장이름000성별생년월일년 월 일 (만 3세 )표준보육과정관련영역관찰일관찰내용신체운동건강0/0친구와 함께 밥을 먹다가 친구가 밥을 먹는 모습을 보더니 00가 친구의 머리를 쓰다듬으면서 “아이고 잘먹네”라고 말한다. 친구가 고개를 못 올릴 정도로 머리를 누르고 있어서 친구가 하지마라고 하자 00가 손을 내리더니 “잘먹어서 그러지”라고 말한다. 옆에 다른 친구한테도 볼을 잡아 당기면서 “맛있게 먹어”라고 말한다.의사소통0/0친구들과 동그랗게 모여 앉는다. 커서 어떤 사람이 될지 이야기 할 ...2024.12.10· 23페이지 -
9-2월 2학기 관찰일지 만 3세 유아 21명의 관찰일지입니다 21페이지
2학기 유아 관찰기록 일지(만3세)관찰기간: 9-2월담임원장이름000성별0생년월일년 월 일표준보육과정관련영역관찰일관찰내용신체운동건강0/0강당에서 풍선을 건네주자 귀를 꽉 막으며 “풍선 싫어요” 라고 말한다. 교사가 “괜찮아 선생님이 던질게”하며 풍선을 날리자 손을 뻗어 풍선을 친다. 교사가 “oo야 선생님한테 던져줘”라고 말하자 웃음을 터트리며 교사에게 풍선을 날린다. 교사를 향해 공을 날리기도 하고 교사가 던진 공을 받아치기도 한다.의사소통0/0언어 영역 소파에 편안하게 앉아 있다가 책꽂이에 있는 책을 꺼내와 글자를 소리내어 읽는...2023.12.25· 21페이지 -
9-2월 2학기 만 3세 19명 관찰일지 19페이지
2학기 유아 관찰기록 일지(만3세)관찰기간: 9-2월담임원장이름000성별0생년월일년 월 일표준보육과정관련영역관찰일관찰내용신체운동건강0/0신체활동으로 공놀이를 하고 있다. 공이 00이에게 데굴데굴 굴러오자 공을 발로 차는데 헛발을 찬다. 친구들이 웃자 “웃지마”하며 공을 다시 발로 찬다. 다시 시원이에게 공이 돌아오자 공을 한번더 찬다. 다른 유아가 공을 좀 더 세 개 차자 시원이가 힘껏 공을 차서 공이 벽으로 날아가서 맞는다. “오와 엄청 쎄다”하며 웃는다. 벽으로 날아간 공을 가지고 와서 교사에게 전달한다.의사소통0/000이가 등...2023.12.21· 19페이지 -
2학기 관찰일지 만 4세 24명 24페이지
2학기 유아 관찰기록 일지관찰기간: 9-2월담임원장이름000성별생년월일년 월 일 (만 4세 )표준보육과정관련영역관찰일관찰내용신체운동건강0/0식사시간에 00가 의자 앞쪽에 엉덩이를 걸터앉아서 밥을 먹는다. 교사가 “00야 의자에 바르게 앉아서 먹어야지”라고 말하자 “네”라고 대답하여 00가 앉은 상태로 의자를 앞으로 당긴다. 잠시 뒤 00의 엉덩이가 점점 앞으로 온다. 교사가 “00야 의자~”라고 말하자 00가 이번엔 일어나서 의자를 당긴 뒤 다시 앉는다.의사소통0/0뚜껑을 뒤집어서 글자와 그림이 일치하면 뚜껑을 찾아가는 게임(내이름...2024.09.19· 2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