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췌장염 급성악화 환자의 질환보고서 및 간호진단
본 내용은
"
[A+자료] 만성췌장염 질환보고서, 간호진단 (체액과다, 급성통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5
문서 내 토픽
-
1. 만성췌장염의 병태생리만성췌장염은 췌장의 점진적 변성으로 인해 급성 췌장염이 재발하면서 조직의 섬유화와 반흔이 남게 되어 내분비와 외분비 기능에 영향을 준다. 원인의 70~80%는 알코올 관련이며, 10년 이상 지속적 알코올 섭취 시 증상이 발현된다. 알코올 남용으로 발병된 환자의 장액에서는 중탄산염 감소, 단백질 증가, 트립신 활성억제물질 감소 등의 특징을 보인다. 만성 염증으로 관 내에 단백질이 과다 분비되어 단백질 마개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내부조직의 염증반응, 섬유화, 협착으로 장의 기능이 상실된다.
-
2. 급성통증 간호진단 및 중재급성통증은 췌장관, 담관 폐쇄, 췌장 삼출액에 의한 복막 오염, 복막 염증과 관련된다. 간호중재로는 통증 척도를 사용하여 강도 및 위치를 사정하고, 금식과 편안한 체위(무릎 구부린 측위, 앉아 앞으로 기울인 자세, 태아 체위)를 취해준다. 처방에 따라 마약성 진통제(demerol)와 항콜린성 약물을 투여하며, 본 환자는 NRS 8점의 상복부 통증으로 Pethidine, Tridol, Keromin 등 다양한 진통제를 투여받고 있다.
-
3. 체액과다 간호진단 및 관리체액과다는 과량의 수액 요법, 소변 감소와 관련되며 부종(얼굴, 배, 다리, 팔), 중심정맥압 상승, 호흡곤란으로 나타난다. 간호중재로는 심박동수, 심장 리듬, 혈압, 중심정맥압을 사정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본 환자는 입원 전 71~72kg에서 75.3kg으로 증가했으며, CVP 93mmHg, 부종(+), 호흡곤란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뇨제(Lasix) 투여로 관리 중이다.
-
4. 진단적 검사 결과 해석Liver CT에서 pancreas 주변 fluid collection과 inflammation 소견이 보인다. 혈액검사에서 Amylase ▲4586 U/L(정상 28-100), Lipase ▲17253 U/L(정상 13-60)로 급성 췌장염 재발을 시사한다. HS-CRP ▲15.410(정상 0.5-1.0)으로 염증 수치 상승을 보이고, WBC ▲15.1(정상 4.0-10.6), RBC ▼3.58(정상 4.20-5.51), Hemoglobin ▼12.7(정상 14.2-16.6)로 빈혈 소견을 보인다.
-
1. 만성췌장염의 병태생리만성췌장염은 장기간의 염증으로 인해 췌장 조직이 점진적으로 파괴되고 섬유화되는 질환입니다. 알코올 남용이 주요 원인이며, 반복적인 급성 염증 에피소드가 누적되면서 발생합니다. 췌장 효소의 분비 감소로 인한 소화 장애와 인슐린 분비 부족으로 인한 당뇨병이 주요 합병증입니다. 병태생리 이해는 환자 교육과 예방 전략 수립에 필수적이며, 특히 알코올 중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질병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정확한 이해가 환자 예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급성통증 간호진단 및 중재급성통증은 조직 손상에 대한 신체의 정상적인 반응으로, 적절한 사정과 중재가 필수적입니다. 간호진단 수립 시 통증의 위치, 강도, 성질, 지속시간 등을 체계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약물적 중재와 비약물적 중재를 병행하여 최적의 통증 관리를 제공해야 하며, 환자의 개별적 특성과 선호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통증 재평가를 통해 중재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효과적인 통증 관리는 환자의 회복 촉진, 합병증 예방,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
3. 체액과다 간호진단 및 관리체액과다는 신체의 총 체액량이 증가하여 세포외액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상태로, 심부전, 신부전, 간경변 등 다양한 질환에서 발생합니다. 간호진단 시 체중 증가, 부종, 호흡곤란, 혈압 상승 등의 임상 증상을 종합적으로 사정해야 합니다. 관리는 수분 제한, 나트륨 제한, 이뇨제 투여, 기저 질환 치료 등을 포함합니다.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 일일 체중 측정, 전해질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
4. 진단적 검사 결과 해석진단적 검사 결과의 정확한 해석은 올바른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의 기초입니다. 검사 결과를 임상 증상, 환자의 병력, 다른 검사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단일 검사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정상 범위,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 검사 전 준비 상태 등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합니다. 의료진은 검사 결과의 임상적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환자에게 명확하게 설명할 책임이 있습니다. 지속적인 학습과 최신 지침 업데이트를 통해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성인간호학 급성췌장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13페이지
간호사례연구보고서질환명: 급성췌장염 (Acute Pancreatitis)목 차1). 서론31. 연구의 필요성2. 연구의 의의3. 연구의 목적2). 문헌고찰41. 정의2. 원인3. 증상과 징후4. 진단검사5. 치료6. 합병증7. 예방법8. 간호3). 간호과정74). 참고문헌151) 서론① 연구의 필요성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 효소가 췌장안에서 활성화되어 췌장 세포의 자가소화를 유발하는 급성 염증 상태입니다. 급성췌장염은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키는 치명적인...2025.02.18· 13페이지 -
A+자료 성인간호학 case study 급성췌장염 (Acute pancreatitis)(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 21페이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췌장염은 알콜이나 담석 등의 원인에 의해 췌장에 염증이 생긴 질환이다. 우상복부의 통증이 왼쪽으로 방사되면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수치 상승과 CT상 부종과 삼출물 확인 시 췌장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에 췌장염 원인과 증상, 치료 및 합병증 등에 대해 알아보고 사례연구 보고서 대상자로 잡은 해당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진단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2. 연구기간 및 방법 이 사례는 2021년 3월 13일부터 3월 24일 사이 급성췌장염으로 대구 파티마병원 62병동 내과병실에 입원...2023.05.01· 21페이지 -
[성인 케이스] 급성 십이지장 궤양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1개 - 위장관계 상태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A+ 21페이지
급성 십이지장 궤양(Acute duodenal ulcer )케이스 스터디[목차]Ⅰ. 서 론 …………………………………………………………………… 3Ⅱ. 문 헌 고 찰 ………………………………………………………………… 31. 정의 ………………………………………………………………………… 32. 원인 ………………………………………………………………………… 33. 병태생리 …………………………………………………………………… 44. 증상 ………………………………………………………………………… 45. 진단검사 …………………………………………………………………… 56. ...2024.04.20· 21페이지 -
성인간호학 만성췌장염 케이스 간호진단 3개중 2개 과정 내림 16페이지
성인 간호학 실습 사례환자 보고서목차1. 일반적 사항(1p)2. 문헌고찰(1p~2p)3. 간호과정(2p~12p)3-1. 간호 사정(2p~4p)3-2. 검사 결과(4p~6p)3-3. X-선 검사(6p)3-4. 약물요법(6p~8p)3-5. 간호 진단(8p~14p)4. 결론 및 제언(14p)5. 참고문헌(14p)1. 일반적 사항입원 전 환자 Summary : 2022년 11월 24일 오전 9시경 집에서부터 복통, 오심, 설사 증상 있으신 분으로 2022년 11월 25일 본원 응급실 통해 간호·간병통합병동으로 입원하심.이름임OO나이39세성...2024.03.02· 16페이지 -
[급성췌장염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1개 15페이지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간호 케이스 스터디[목차]Ⅰ. 서 론 …………………………………………………………………… 3Ⅱ. 문 헌 고 찰 ………………………………………………………………… 31. 정의 ………………………………………………………………………… 32. 원인 ………………………………………………………………………… 33. 병태생리 …………………………………………………………………… 44. 증상 ………………………………………………………………………… 45. 진단검사 …………………………………………………………………… 56. 치료 ……...2024.03.16·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