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조직학 괴사의 종류와 형태
본 내용은
"
병리조직학 괴사의 종류와 형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2
문서 내 토픽
  • 1. 괴사의 종류와 형태
    괴사는 이미 앞에서 다뤘던 변성의 원인과 발생기전을 같이하는 세포의 한 상해형태이다. 다만 그 상해 정도가 심하여 비가역성 손상일 뿐이다. 괴사는 에너지생산의 심각한 결손으로 반영된다. 세포의 생명 유지에는 에너지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에너지의 원천은 3인산 아데노신(adenosine triphosphate, ATP)이다. 즉, ATP의 고에너지 인산염 결합이 세포의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 원천이 된다. 괴사는 형태학적으로 매우 특징적인 몇 가지의 변화로 관찰된다. 이 변화로 괴사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을만큼 특수한 경우도 있다.
  • 2. 응고괴사
    응고괴사(coagulation necrosis)는 혈액공급의 급격한 차단(허혈)으로 인하여 세포질 내 단백질이 응고(변질)하여 발생한다. 심장, 신장, 비장, 부신 등의 경색증(infarction) 때에 관찰되는 변화이다. 현미경적으로 세포의 윤곽은 유지되면서 세포질은 균질적으로 둔탁하게되고, 진한 붉은색으로 염색되며 산성반응을 보인다. 핵용해 또는 핵농축 변화가 나타난다.
  • 3. 액화괴사
    액화괴사(liquefaction necrosis)는 촉매효소(용해소체의 효소)의 소화 작용이 강할 때 발생한다. 이 형태의 괴사는 뇌조직의 허혈성 파괴(뇌 경색증, brain infarction)의 특징적인 소견이다. 자가용해가 심하게 된다. 또한, 이 괴사는 화농성 세균의 감염으로 생긴 농양(abscess)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호중성 백혈구에서 방출된 단백 분해효소의 작용으로 이질용해가 심 하게 일어나는 괴사이다.
  • 4. 지방괴사
    지방괴사(fat necrosis)는 발생기전에 따라 효소성과 비효소성(외상성) 지방괴사로 나눈다. 비효소성 괴사는 주로 외상 후에 유방, 피하조직 등에 나타난다. 국소에 염증반응을 유발하고, 섬유증식으로 대치되어 단단한 덩어리로 남는다. 효소성 지방 괴사는 지방분해효소(lipase)의 작용으로 발생한다. 이 괴사의 전형은 급성 췌장염에서 가장 뚜렷하게 관찰된다.
  • 5. 건락성괴사
    건락성 괴사(caseous necrosis)는 앞에 기술한 응고괴사와 액화괴사를 합친 모양이다. 전형적인 것은 결핵 결절의 중앙부에서 관찰된다. 육안적으로 괴사 부위는 크림 또는 치즈와 같은 회백색이고, 부서지기 쉽고, 연한 조각으로 나타난다. 현미경적으로 세포들은 완전히 액화되지도 않고, 윤곽이 잘 보존되지도 않은 특이한 괴사이다.
  • 6. 섬유소모양 괴사
    섬유소모양 괴사(fibrinoid necrosis)는 균질적이고, 선홍색으로 염색되며 아무런 구조도 없는 괴사 물질로 대치되어 정상 구조를 잃게 되는 괴사이다. 현미경적으로 마치 섬유소처럼 보인다. 섬유소모양 괴사는 결합조직을 침범하는 괴사로 특히, 자가 면역성 질병(autoimmune disease)에 잘 나타난다.
  • 7. 괴저
    괴저(gangrene)는 괴사의 한 특이한 형태가 아니고, 괴사의 한 합병증이다. 괴저는 본질적으로 응고 괴사의 한 유형인데, 혈액 공급의 차단으로 허혈성 응고 괴사가 먼저 발생하고, 여기에 이차적으로 세균의 감염(합병증)을 받아 액화괴사가 겹친 상태가 괴저이다. 응고 괴사의 소견이 우세할 때 건성 괴저(dry ganagrene)라 하고, 액화 괴사가 더 심하면 습성 괴저(wet gangrene)라고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괴사의 종류와 형태
    괴사는 세포 또는 조직의 비정상적인 죽음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와 원인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됩니다. 괴사의 주요 유형에는 응고괴사, 액화괴사, 지방괴사, 건락성괴사, 섬유소모양 괴사, 괴저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괴사 유형은 고유한 특징과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해하는 것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괴사의 발생 기전과 형태적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병리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응고괴사
    응고괴사는 세포 내 단백질이 응고되어 세포가 경화되는 형태의 괴사입니다. 이는 주로 허혈성 손상, 열 손상, 화학적 손상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응고괴사된 조직은 단단하고 건조한 특징을 보이며, 세포 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응고괴사는 심근경색, 뇌경색 등 다양한 질병에서 관찰되며, 조직 손상의 정도와 진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응고괴사의 기전과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병리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액화괴사
    액화괴사는 세포 내 효소의 작용으로 인해 세포 구조가 용해되어 액체 상태로 변하는 형태의 괴사입니다. 이는 주로 염증 반응, 감염, 종양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액화괴사된 조직은 연soft하고 액체 상태를 보이며, 세포 구조가 완전히 파괴됩니다. 액화괴사는 농양, 괴저 등 다양한 질병에서 관찰되며, 조직 손상의 정도와 진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액화괴사의 기전과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병리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지방괴사
    지방괴사는 지방 조직의 비정상적인 죽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외상, 허혈,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방괴사된 조직은 황색을 띠며, 연soft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징을 보입니다. 지방괴사는 지방 조직이 풍부한 부위, 예를 들어 피하 지방 조직, 췌장 등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지방괴사는 다양한 질병의 병리학적 소견으로 나타나며, 조직 손상의 정도와 진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방괴사의 기전과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병리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건락성괴사
    건락성괴사는 세포 내 단백질이 응고되고 동시에 세포 내 효소에 의해 용해되어 분해되는 형태의 괴사입니다. 이는 주로 결핵, 진균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건락성괴사된 조직은 치즈 모양의 연soft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징을 보입니다. 건락성괴사는 결핵성 병변, 진균 감염 등 다양한 질병에서 관찰되며, 조직 손상의 정도와 진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건락성괴사의 기전과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병리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섬유소모양 괴사
    섬유소모양 괴사는 섬유소 침착으로 인해 조직이 괴사되는 형태입니다. 이는 주로 면역 복합체 침착, 보체 활성화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섬유소모양 괴사된 조직은 유리질 모양의 균질한 구조를 보이며, 세포 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섬유소모양 괴사는 사구체신염, 혈관염 등 다양한 질병에서 관찰되며, 조직 손상의 정도와 진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섬유소모양 괴사의 기전과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병리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괴저
    괴저는 조직의 심각한 괴사와 괴사 조직의 분해를 특징으로 하는 형태의 괴사입니다. 이는 주로 감염, 허혈,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괴저된 조직은 부패하고 악취를 풍기며, 연soft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징을 보입니다. 괴저는 괴저성 근막염, 괴저성 수포진 등 다양한 질병에서 관찰되며, 조직 손상의 정도와 진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괴저의 기전과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병리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