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신생아간호 PBL
본 내용은
"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신생아간호 PBL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1
문서 내 토픽
-
1. 저산소증신생아가 저산소증인 경우, bulb syringe나 rubber catheter를 이용하여 비인두강으로부터 분비물들을 흡인시켜 제거한다. 흡인 압력은 100 mmHg 이하로 유지한다. 흡인 후에도 4시간 정도는 기도 내 분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침대머리를 15~30° 정도 낮추고 측위로 눕힌다. 그 이후로는 침대를 수평으로 하고 목이 약간 신전된 자세로 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기계흡인 시 미주신경 자극(vagal stimulation)으로부터 발생하는 반사성 서맥, 후두경련, 심부정맥을 방지하기 위해 부드럽게 흡인한다. 흡인 사이에 충분한 시간을 주고 5초 동안 시행한다. 호흡곤란을 사정한다. 또한 복사온열기 아래 뉘어놓고, 플라스틱으로 된 airway를 입에 넣어 혀가 기도를 막지 않게 하며, 산소마스크나 카테터를 이용하여 산소 1L/min을 공급한다.
-
2. B형간염신생아에게 B형간염 예방을 위해 Vit K 예방접종(0.1ml 외측광근 IM)과 B형 간염백신과 면역글로불린을 각각 다른 부위(대퇴부 외측광근)에 접종한다. 모체가 B형간염에 양성일 경우 출생 후 12시간 이내에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해야 한다. B형간염에 양성인 모체로부터 신생아에게 생후 7일 이전에 백신을 투여하면 65~90%에서 HBV 보유자가 되는 것을 막아주고, 추가로 글로불린을 출생직후 주사할 경우 5~20%를 더 방지할 수 있다.
-
3. 당뇨산모의 임신 중 혈당 조절 상태에 따라 태아의 기형 정도가 결정되는데, 임신 초기에 혈당의 조절이 불량한 경우 기형 발생률이 증가한다. 태아는 모체의 고혈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태아의 췌장세포가 인슐린을 분비할 수 있는 시기부터 태아의 혈당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많은 양의 인슐린을 분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태아 췌장 도세포의 과형성이 일어나 거대아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신생아가 태어나면 신생아는 인슐린 과다 상태에 처하게 되고, 따라서 저혈당의 위험도가 높아진다. 저혈당은 생후 30분에서 4시간 내에 나타나며, 갑작스러운 혈당 저하는 심각한 신경손상이나 사망에 이르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신생아의 혈당을 2시간마다 체크하고, 저혈당 증상을 확인하며, 필요시 위관영양을 통해 혈당을 관리한다.
-
1. 저산소증저산소증은 신체 조직에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폐 질환, 심장 질환, 고지대 등에서 나타납니다. 저산소증은 피로감, 두통,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심각한 경우 장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산소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산소 공급 보조, 폐 기능 개선, 심장 기능 강화 등의 치료법이 활용되며, 근본적인 원인 질환에 대한 관리도 중요합니다. 저산소증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이므로,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B형간염B형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간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급성 및 만성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간경화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B형간염은 주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 예방을 위해 백신 접종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법으로는 항바이러스제 투여, 간 이식 등이 있습니다. B형간염은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B형간염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체계적인 관리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당뇨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작용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대사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다뇨, 다음, 체중 감소 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신장 손상, 신경 손상, 심혈관 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식단 관리, 약물 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과 혈당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당뇨병은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질환이지만,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체계적인 관리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통합시뮬레이션]A++_신생아간호(모듈4) PBL 보고서 7페이지
통합시뮬레이션-PBL 보고서과 목전 공학 번이 름담당교수제 출 일2024.04.18[모듈 4]◆ 조별 신생아 간호계획(문제해결 포함) 보고서조이름이 름조원별 간호수행 역할통실찢었조간호사1-(차지간호사) 간호사 간 업무조율, 의사에게 환자상태 보고, 의사처방분배간호사2-신체사정간호사3-제대간호, Vit K 주사 및 B형 간염 예방접종간호사4-개인위생, 신분확인, 호흡유지, 체온안정 및 유지,활력징후 측정, 눈 간호 신체계측항목수행 계획준비물근거개인위생근무자는 기본적으로 손씻기를 철저히 실시함.아기의 침대 사이 간격 90cm 유지함. ...2025.04.09· 7페이지 -
통합모듈 시뮬레이션 아동 - 신생아 입원간호 PBL 보고서 (시나리오 활용가능) 9페이지
Module 4 : 신생아 간호PBL 보고서제출일자지도교수학년/분반조 원 명[모듈 4]◆ 조별 신생아 간호계획(문제해결 포함) 보고서조이름이 름조원별 간호수행 역할H반돌바조차지간호기록 및 의사 노티 및 지시간호사1신생아 저산소증 간호, 신분확인, 호흡유지, 체온안정 및 유지간호사2HbsAg(+) 산모의 신생아 간호, 제대간호, Vit K 주사 및 B형 간염 예방접종간호사3신생아 저혈당증 간호, 활력징후 측정, 눈간호, 신체계측간호사4신체사정 (아프가)1) 신생아실 신생아 분만직후 간호 수행 계획(일반간호)항목수행 계획준비물근거개인위...2024.04.18·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