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TT assay를 통한 세포 viability 측정
본 내용은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6. MTT assay를 통한 세포 viability 측정 (엑셀 계산과정 포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9
문서 내 토픽
-
1. MTT assay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MTT에 의한 세포 대사 활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항암제를 투여하지 않은 배지와 농도별로 항암제를 처리한 배지의 UV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세포의 생존 비율(cell viability)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DOX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2. 항암제 독성 평가항암제를 세포 배양배지에 투여한 후 배양한 암세포는 약제의 농도에 따라서 생존 세포의 비율이 줄어듭니다. MTT assay를 통해서 항암제를 투여하지 않고 순수한 배지에서 배양한 암세포에 비해 생존세포의 비율이 얼마나 감소하였는지 UV 흡광도 값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3. HeLa 세포HeLa 세포는 1951년 2월 8일 Henrietta Lacks라는 환자의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얻어낸 세포계입니다. 연구에서 쓰이는 다른 세포주에 비하여 내성이 있고 증식력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바이러스학, 암연구, 분자생물학 등의 연구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1. MTT assayMTT assay는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효소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TT assay는 빠르고 간단하며 재현성이 높아 세포 독성 평가, 세포 증식 분석, 약물 스크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MTT assay는 세포 종류, 배양 조건, 처리 시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실험 설계와 데이터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MTT 시약이 세포 내에서 환원되어 생성되는 포르마잔 결정의 용해도와 흡광도 측정 방법에 따라 정량적인 결과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TT assay를 활용할 때는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결과를 해석해야 합니다.
-
2. 항암제 독성 평가항암제 독성 평가는 신약 개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항암제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이는 것이 목적이지만, 정상 세포에도 일정 수준의 독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암제 후보물질의 독성을 정확히 평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항암제 독성 평가에는 다양한 in vitro 및 in vivo 실험 방법이 사용됩니다. 대표적으로 MTT assay, LDH assay, apoptosis 분석 등의 in vitro 실험과 동물 실험이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세포 생존율, 세포 독성, 세포 사멸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 동태학적 특성, 장기 독성, 면역 독성 등도 평가해야 합니다. 항암제 독성 평가 결과는 신약 개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 기준이 됩니다. 독성이 높은 물질은 후보군에서 제외되고, 안전성이 확보된 물질만이 임상 시험 단계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독성 평가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3. HeLa 세포HeLa 세포는 1951년 Henrietta Lacks로부터 채취된 자궁경부암 세포주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간 세포주 중 하나입니다. HeLa 세
-
PLGA-doxorubicin 나노 입자를 이용한 세포 독성 평가1. PLGA-doxorubicin 나노 입자 이번 실험에서는 PLGA-doxorubicin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암세포 치료 효과를 다양한(0.04 ug, 0.16 ug, 0.3 ug) DOX 농도별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나노 입자를 통한 약물 전달과 free DOX를 통한 세포 치료 효과를 각각 비교해 보았다. 2. 세포 독성 평가 MTT assay를 ...2025.01.06 · 의학/약학
-
Crystal Violet Assay 세포생존력검사, 세포독성검사 결과 레포트1. Crystal Violet Assay 이번 실험에서는 in vitro 상에서 세포의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농도에 따라 처리해 세포의 생존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Crystal Violet Assay 방법을 통해 농도별 cisplatin 투여시 B16F10 cells의 control 대비 세포 생존력을 확인할 수 있다. 2. 세포독성검사 세포독성 ...2025.05.11 · 의학/약학
-
MTT assay A+ report 10페이지
세포 증식능 분석 – MTT assay이화여자대학교1. Introduction-Objective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측정하고 계산한다.MTT assay 실험 원리를 바탕으로 세포 생존 및 증식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한다.-Principle 및 TheoryCell counting 시 사용되는 Trypan blue의 입자는 세포막을 확산의 방법으로 통과하여 세포 내부로 유입된다. 살아있는 세포는 ATP 에너지를 이용한 exocytosis로 trypan blue 입자를 다시 세포 외부로 방출하지만, 에너지를 ...2024.07.02· 10페이지 -
세포 독성 측정시 사용되는 시약들의 성분 및 원리 조사 3페이지
제목 : 세포 독성 측정시 사용되는 시약들의 성분 및 원리 조사제출일 년 월 일? EZ-CYTOXEZ-CYTOX는 WST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양을 측정하는 제품으로써 CellViability,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등에 사용 할 수 있다. 본 제품의 기질인 WST는 물에 잘 녹는 High Sensitive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로써 살아있는 세포의 Dehydrogenase와 반응 하여 오랜지 색의 수용성 formazan을 생성한다.Tetrazolium s...2022.07.27· 3페이지 -
일반생물학실험2_세포 생존율 분석(Trypan_blue, WST) 7페이지
두 가지 분석 방법을 이용한세포 생존율 분석Cell Viability Analysis Using Two Assays-세포막 보전도의 차이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분석(Cell Viability Analysis Using Trypan Blue Exclusion Assay)-미토콘드리아대사율을 이용한 세포 생존율 분석(Cell Viability Analysis Using WST Assay)Objectives:세포에 약물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확인하는 분석 방법은 원리에 따라 여러 개 존재한다. 그 중 T...2022.09.18· 7페이지 -
MTT Assay를 통한 세포 viability 측정 5페이지
MTT Assay를 통한 세포 viability 측정실험 목표: 항암제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평가를 위하여 대표적인 세포 생존성 측정 방법인 MTT assay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험 방법을 배운다.실험 이론:① MTT assay(1) MTT 시약을 이용하는 Tetrazolium assay는 노란색의 수용성 MTT tetrazolium을 세포에 처리하면, 살아있는(metabolism이 온전한) 세포의 미토콘드라이에 있는 탈수소효소에 의해 tetrazolium의 ring structure 끊어지면서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 MTT form...2020.05.15· 5페이지 -
[세포생물학및실험] Determination of cell viability (A+) 8페이지
Determination of cell viability서론 (Introduction)이번 실험의 목적은 WST-1 기반의 세포 생존율 분석을 통해 미지의 시약(Chemical A)이 HEK293FT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시약의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관찰하고, 세포 독성 평가에 활용되는 WST-1 assay의 원리를 이해하며, 궁극적으로 IC50을 추론하는 것이 목표이다.Cell viability는 세포 집단 내에서 살아있는 건강한 세포의 비율을 측정하는 것으로, 특정 chemical을 세...2025.06.17·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