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격동 종양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종격동 종양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30
문서 내 토픽
  • 1. 종격동 (mediastinum)
    종격동(세로칸, mediastinum)이란 해부학적으로 양측 폐를 나누는 조직과 기관을 칭하는 용어로 가슴 안쪽 공간의 폐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말한다. 종격동의 경계로 앞쪽 경계는 흉골, 뒤쪽은 척추, 위쪽은 목에서 흉강으로 넘어가는 흉곽입구, 그리고 아래쪽 경계는 횡격막까지이며, 오른쪽과 왼쪽은 양쪽 폐를 싸고 있는 흉막이 경계가 된다. 또한, 종격동은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심장의 앞쪽에 위치한 부위를 전(前)종격동, 심장의 뒷부분을 후(後)종격동, 전종격동과 후종격동 사이 부분을 중(中)종격동이라고 한다.
  • 2. 종격동 종양 (mediastinal tumor)
    종격동종양이란, 종격동 내에 발생하는 모든 종양을 가리키는데, 식도 · 기관지 · 심장 · 대혈관 등으로부터 발생한 종양은 일반적으로 제외한다. 종격동종양은 각각의 호발부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종격동에서는 갑상샘종(goiter)이 자주 호발된다. 또한 하종격동의 상종격동에서는 가슴샘종(흉선종, thymoma) · 기형종(teratoma)이, 중종격동에서는 악성 림프종(malignant lymphoma) · 기관지낭포(aneurysm)가, 후종격동에서는 신경성 종양(neurogenic tumor) 이 자주 호발된다.
  • 3. 종격동 종양의 원인
    발생 원인은 대부분 불명확하다. 발생하는 빈도로는 신경종이 가장 빈번하며, 흉선종, 일차성 낭종, 림프종, 배아세포종의 순으로 호발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종격동 (mediastinum)
    종격동은 흉강 내에서 심장과 주요 혈관, 기관, 식도 등 중요한 구조물들이 위치하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해부학적으로 전, 중, 후 종격동으로 나뉘며, 각각의 영역에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존재합니다. 종격동은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적 중요성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영역입니다. 종격동 질환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종격동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는 영상의학, 병리학, 내과학, 외과학 등 다양한 의학 분야의 협력이 요구됩니다.
  • 2. 종격동 종양 (mediastinal tumor)
    종격동 종양은 종격동 내에 발생하는 다양한 종양성 병변을 의미합니다. 종격동 종양은 발생 위치, 조직학적 특성, 악성도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양성 종양부터 악성 종양까지 다양한 종류의 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종양은 서로 다른 임상 양상과 치료 방법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종격동 종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의학적 검사, 조직 검사 등 다양한 진단 방법이 필요합니다. 종격동 종양의 치료는 종양의 특성, 크기, 위치 등에 따라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3. 종격동 종양의 원인
    종격동 종양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기형종, 신경성 종양, 림프종 등이 있습니다. 기형종은 태생기 발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형적 조직의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경성 종양은 신경 조직에서 기원하는 종양입니다. 림프종은 림프계 세포의 악성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이 외에도 갑상선 종양, 흉선 종양, 지방종 등 다양한 종류의 종양이 종격동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격동 종양의 발생 원인은 복잡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영상의학적 검사, 조직 검사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