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조동(Atrial flutter), 부정맥 case study
본 내용은
"
심방조동(Atrial flutter), 부정맥 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9
문서 내 토픽
  •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있는 근육기관으로 신체 중심선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크기는 12cm 정도로 자기 주먹만 하며 무게는 약 300g이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 전체는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우심방은 상·하대정맥과 관상정맥동을 통하여 전신순환으로부터 돌아온 정맥혈을 받아서 심실 확장기에 열린 삼첨판을 통하여 혈액을 우심실로 내보낸다. 체순환은 좌심실 펌프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 2. 부정맥
    부정맥이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부정맥의 원인은 대부분 심장질환이나 그 외의 병적 상태에서 발생되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생된다. 부정맥의 발생기전은 전기자극 형성장애와, 전도장애, 그리고 이 두 가지가 복합된 혼합장애 형태로 나눌 수 있다.
  • 3. 심방조동
    심방조동(atrial flutter)은 분당 250-400회의 아주 빠르고 규칙적인 심방빈맥을 말한다. 대부분 우심방에 비정상적인 회귀 회로가 있어서 전기가 지속적으로 심방 내를 돌게 되어 심방이 빨리 뛰는 부정맥에 해당한다. 심전도 상에서 기저선은 연속적 동요를 보이고, PR간격은 측정할 수 없고 동성 P파를 볼 수 없으며 그 대신 모양이 거의 일정한 톱니모양의 조동파(flutter wave, F파)를 유도 II, III, aVF에서 볼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켜 우리 몸 전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크게 4개의 방(심방 2개, 심실 2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방들은 판막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 건강을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다양한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심장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것을 말합니다. 부정맥은 심장이 너무 빨리 뛰거나, 너무 느리게 뛰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은 심장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부정맥의 원인을 파악하고, 약물 치료나 시술 등을 통해 정상적인 심장 리듬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생활습관 개선,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부정맥 발생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3. 심방조동
    심방조동은 심장의 상부 방실(심방)이 불규칙하게 빨리 수축하는 부정맥의 한 종류입니다. 심방조동은 심장의 전기적 활성이 정상적인 리듬을 잃고 빨라지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심장이 효율적으로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하게 되어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방조동의 주요 증상으로는 가슴 두근거림, 호흡 곤란,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심방조동은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을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습관 개선,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심방조동 발생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심방조동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