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분과 전해질, 산염기 간호 PTT(H+양지병원)
본 내용은
"
수분과 전해질, 산염기 간호 PTT(H+양지병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6
문서 내 토픽
-
1. 체액 불균형 - 세포외액량 결핍세포외액량 결핍은 혈관 내의 체액과 간질액이 감소된 상태로, 흔히 탈수라고 한다. 혈관 내 체액량의 감소(저혈량증)를 일으키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수분 불균형이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피부의 탄력, 구강 점막의 건조 정도 사정, 소변배설량 측정, 체중 측정, 구강 수분 공급, 설사 환자 식이 관리, 피부통합성 장애 예방 등이 있다.
-
2. 체액 불균형 - 세포외액량 과다세포외액량 과다는 혈관과 간질강에 체액정체가 증가한 상태이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강한 맥박과 혈압 상승, 호흡음 청진, 요흔성 부종 사정, Head up 자세 유지, 수분과 나트륨 제한, IV 수액 주입 시 수액 펌프 사용, 피부간호 및 체위변경 등이 있다.
-
3. 전해질 불균형 - 저칼륨혈증저칼륨혈증은 혈청 칼륨농도가 3.5mEq/L 이하인 상태를 말한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경구 또는 정맥 내 칼륨 투여, 칼륨이 많은 음식 섭취 권장 등이 있다. 원인으로는 칼륨 섭취 부족, 이뇨제나 설사약 복용, 회장루 등이 있다.
-
4. 전해질 불균형 - 고칼륨혈증고칼륨혈증은 혈청 내 칼륨이 5.0mEq/L 이상 상승한 상태이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활력징후, 장기능, 소변 배설량, 폐음 사정, 식이 내 칼륨 섭취 제한 등이 있다. 원인으로는 소변 배설량 감소, 조직 손상, 화상, 세포 용해, 산증, 칼륨 IV 용액 과다 투여, 신장 기능 감소 등이 있다.
-
5. 전해질 불균형 - 저나트륨혈증저나트륨혈증은 혈청 내 나트륨이 135mEq/L 이하인 상태이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체중 측정, I/O 체크, 나트륨 구강 섭취 또는 수액 요법, 갈증 해소를 위한 얼음 조각이나 찬물 공급 등이 있다. 원인으로는 이뇨제 사용, 구토, 설사, 화상, 출혈, 과도한 발한, 갑상선기능 저하증 등이 있다.
-
6. 전해질 불균형 - 고나트륨혈증고나트륨혈증은 혈청 내 나트륨이 145mEq/L 이상인 상태이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고나트륨 혈증의 종류 규명, IV로 저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5% DW 투여, 이뇨제 투여, desmopressin acetate(DDAVP) 사용, 저나트륨식이 및 수분 제한 등이 있다. 원인으로는 체내 총 수분량 부족, 요붕증, 갈증 감각 저하, 발열, 구토, 설사, 당뇨병, 신장질환 등이 있다.
-
7. 산 · 염기 불균형 - 호흡성 산증호흡성 산증은 pH 7.3, PaCO2 45mmHg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호흡중추 억제, 호흡신경 및 근육 결합 장애, 흉곽질환, 기도폐쇄, 폐질환 등이 있다. 증상은 호흡 저하, 호흡 곤란이며, 치료는 원인 요인 치료, 환기 지지, 전해질 불균형 교정, NaHCO3 투여 등이다.
-
8. 산 · 염기 불균형 - 호흡성 알칼리증호흡성 알칼리증은 pH 7.45, PaCO2 35mmHg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폐포의 과다 환기, 저산소혈증, 발열, 폐확장 부전 등이 있다. 증상은 과다 호흡이며, 치료는 원인 요인 치료, 기계호흡기 호흡수 조절, CO2 재흡입 등이다.
-
9. 산 · 염기 불균형 - 대사성 산증대사성 산증은 pH 7.35, HCO3- 22mEq/L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비휘발성 산의 축적, 염기의 상실, CO2 이외의 산 축적, 산성물질 섭취 증가, 심한 설사 등이 있다. 증상은 호흡과다(Kussmaul 호흡), 고칼륨혈증, 기면이며, 치료는 원인 요인 치료, NaHCO3 투여 등이다.
-
10. 산 · 염기 불균형 - 대사성 알칼리증대사성 알칼리증은 pH 7.45, HCO3- 26mEq/L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비휘발성 산 손실, 과다한 HCO3- 섭취, 과다한 HCO3- 재흡수 등이 있다. 증상은 호흡 저하, 저칼륨혈증이며, 치료는 원인 요인 치료, 이뇨제 투여, KCl 투여, 산성화 염 투여 등이다.
-
1. 체액 불균형 - 세포외액량 결핍체액 불균형 중 세포외액량 결핍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는 탈수, 출혈, 화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수액 공급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기저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2. 체액 불균형 - 세포외액량 과다세포외액량 과다는 심부전, 신부전, 간부전 등의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부종, 호흡곤란, 고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수분 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기저 질환 치료 등의 방법으로 체액 균형을 회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전신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전해질 불균형 - 저칼륨혈증저칼륨혈증은 근육 약화, 부정맥, 신경계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전해질 불균형입니다. 이는 설사, 구토, 이뇨제 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칼륨 보충과 함께 기저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칼륨 수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
4. 전해질 불균형 - 고칼륨혈증고칼륨혈증은 심각한 부정맥과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입니다. 이는 신부전, 약물 부작용, 조직 손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이뇨제 투여, 인슐린 투여, 투석 등의 방법으로 칼륨 수치를 낮추어야 합니다. 또한 기저 질환을 치료하고 칼륨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전해질 불균형 - 저나트륨혈증저나트륨혈증은 두통, 구토, 경련, 혼돈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분 섭취 과다, 신부전,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나트륨 수치를 서서히 교정해야 하며, 과도한 교정은 삼투압 변화로 인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저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전해질 불균형 - 고나트륨혈증고나트륨혈증은 탈수, 과도한 나트륨 섭취, 부신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신경계 증상, 혼돈,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수분 공급, 이뇨제 투여, 기저 질환 치료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나트륨 수치를 서서히 교정하여 삼투압 변화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
7. 산 · 염기 불균형 - 호흡성 산증호흡성 산증은 폐 질환, 신경계 질환,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기저 질환 치료, 산소 공급, 인공호흡기 사용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산-염기 균형을 모니터링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산 · 염기 불균형 - 호흡성 알칼리증호흡성 알칼리증은 과도한 호흡, 신경계 질환,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어지러움, 근육 경련, 혼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기저 질환 치료, 호흡 억제, 이산화탄소 공급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산-염기 균형을 모니터링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산 · 염기 불균형 - 대사성 산증대사성 산증은 당뇨병성 케톤산증, 유산산증, 신부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구토, 복통,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기저 질환 치료, 중탄산염 투여, 수액 공급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산-염기 균형을 모니터링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0. 산 · 염기 불균형 - 대사성 알칼리증대사성 알칼리증은 구토, 이뇨제 사용, 부신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근육 경련, 졸음, 혼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기저 질환 치료, 염산 투여, 칼륨 보충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산-염기 균형을 모니터링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