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인수인계보고서(대상자 사정, 발표대본포함)_진단명(aortic dissection)
본 내용은
"
중환자실 인수인계보고서(대상자 사정, 발표대본포함)_진단명(aortic dissec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1
문서 내 토픽
  • 1. 대동맥 박리
    이 환자는 3일 전부터 가슴 답답함과 당김 증상이 있다가 18일 오전 8시경 극심한 복통과 옆구리 통증이 발생하여 119를 이용해 본원 ER에 내원했습니다. CBC 검사 결과 CK, D-dimer, WBC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CT 검사 결과 상행 대동맥은 침범되지 않았지만 하행 대동맥 내막이 파열된 type b 대동맥 박리로 진단되었습니다. 수술적 치료 없이 내과적 치료를 받고 있으며 MCCU에 입원하여 상태를 모니터링 중입니다.
  • 2. 고혈압
    이 환자는 2014년부터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진단받고 약물 치료를 받고 있었습니다. 대동맥 박리 발생 당시 혈압이 높게 나타나 혈압 조절을 위해 약물 투여량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 3. 욕창
    환자의 coccyx 부위에 10cm x 10cm 크기의 욕창이 확인되었습니다. 기저귀 갈 때마다 욕창 방지 크림을 발라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대동맥 박리
    대동맥 박리는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동맥 박리는 대동맥 벽이 갑자기 찢어지면서 혈액이 벽 사이로 흘러들어가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대동맥이 팽창하거나 파열될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 등 통증, 혈압 변화 등이 나타납니다. 신속한 진단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대동맥 박리는 응급 상황이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2. 고혈압
    고혈압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만성 질환입니다.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은 심장, 뇌,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필요 시 약물 치료도 고려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혈압을 모니터링하고,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은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질환이므로, 개인의 노력과 의료진의 도움을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 3. 욕창
    욕창은 피부와 조직이 장기간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심각한 피부 손상입니다. 주로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나 노인에게 발생하며, 통증, 감염, 패혈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욕창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체위 변경, 압박 완화, 영양 섭취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발생한 욕창은 단계에 따라 적절한 드레싱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심각한 경우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야 합니다. 욕창 관리를 위해서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의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합니다. 욕창 예방과 관리에 대한 교육과 관심이 필요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