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2개
-
식품미생물학실험 배지2024.09.261. 서론 1.1.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세균의 증식, 보존, 수송 등을 위해 사용되는 액체 또는 고형의 재료인 배지를 무균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다. 배지는 세균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생장인자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므로, 실험을 통해 미생물의 배양에 적합한 배지를 습열멸균하여 제조하는 법을 학습하고자 하는 것이다." 1.2. 실험의 중요성 생장은 그 생물의 종에 따라 영양분의 적정 농도 외에도 산소 농도, 습도, pH, 온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미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주요 영양분은 단백질,...2024.09.26
-
중앙공급실2024.10.221. 중앙공급실 업무 1.1. 개요 중앙공급실은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예방을 위해 병원 내 모든 부서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처리, 공급을 담당하는 부서이다.""중앙공급실의 기본 구역은 가능한 개별 구역으로 분리 되어야 하며, 오염구역, 청결 구역, 멸균 구역으로 나눠진다. 멸균 방법은 스팀 멸균, EO gas 멸균, 건열 멸균 등을 주로 이용한다.""중앙공급실에서는 사용되었던 각종 의료기구와 재처리 소모품 및 수술용 방포 등을 세척, 조립, 포장하여 멸균 후 공급하...2024.10.22
-
중앙공급실2024.10.201. 중앙공급실의 역할과 감염관리 1.1. 중앙공급실의 기능과 업무 중앙공급실은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예방을 위해 병원 내 모든 부서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처리, 공급을 담당하는 부서이다. 중앙공급실의 기능과 업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평가 및 인증기준을 준수하는 세척과 멸균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환자에게 안전한 환경이 되도록 계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직원들의 지속적인 교육과 질 관리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2024.10.20
-
바이러스학 라이프사이언스2024.09.271. 미생물 제어 방법 1.1. 멸균(sterilization) 멸균(sterilization)은 살아있는 세포와 포자 그리고 비세포성 입자(예: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프리온) 모두를 물건이나 서식지에서 완전히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이다. 멸균은 미생물학에서 사용되는 가장 엄격한 미생물 제어 방법 중 하나로, 오염된 물체나 장소에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멸균은 습열(Moist Heat), 증기 멸균(Steam Sterilization), 파스퇴르 살균법(Pasteurization), 틴들법(Ty...2024.09.27
-
병원 미생물학 정리2024.09.281. 미생물학 개요 1.1. 병원미생물학의 이해 미생물학은 '미생물(micro=small;bios=living;-logy=study)'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에는 세균(bacteri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및 바이러스(virus) 등이 포함된다. 이들 미생물들은 단순한 구조와 신속한 증식력, 유전자 조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놀라운 적응력...2024.09.28
-
감염2024.09.161. 감염성 질환의 개요 1.1. 법정 전염병 종류 법정 전염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제1군 전염병에는 콜레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이 포함된다. 제1군 전염병은 발견 즉시 신고해야 하는 질병들이다. 제2군 전염병에는 디프테리아, 파상풍, 홍역, 일본뇌염, 폴리오,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B형간염, 풍진이 포함되며 예방접종 대상 질병들이다. 제3군 전염병에는 성홍열, 쯔쯔가무시병, 렙토스피라증, 말라리아, 결핵, 성병, 한센병, 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브루셀라증, 발진티푸스, 유행성...2024.09.16
-
소독(살균) 기전 및 소독법을 분류하고, 소독 시 고려할 사항과 주의사항에 대해 서술하시오2024.10.051. 소독 및 멸균의 원리와 방법 1.1. 소독(disinfection)의 개념과 원리 소독(disinfection)은 병원균의 감염력을 제거하거나 상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이다. 소독은 병원체의 생활력을 파괴하여 감염력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보통 소독은 높은 수준의 살균작용을 통해 달성되지만, 병원균의 아포에 대한 살균효과는 제한적이다. 소독의 기전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응고시켜 병원균체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든다. 둘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세포막이나 세포벽...2024.10.05
-
멸균배지 결과2024.09.231. 생물학실험의 기본 1.1. 멸균 및 배지 제작 멸균(sterilization)이란 대상으로 하는 물체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분포하는 모든 세균을 완전히 죽이는 무균의 상태로 만드는 조작을 말한다. 즉, 살아있는 세포뿐만 아니라 포자, 바이러스 등을 모두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배지는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해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한 것이다. 배지는 생존·발육에 필수적인 물을 비롯하여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2024.09.23
-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배액관의 종류와 사용법2024.09.191. 수술실 기본 구조와 기능 1.1. 구역관리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이는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이다. 수술실은 크게 제한구역, 준 제한 구역, 허용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에 따라 착용해야 할 복장이 다르다" 제한구역은 수술실, 수술준비실, 마취준비실, 회복실, 수술실 복도 등이며, 이 구역에 들어가는 모든 사람은 수술복장과 마스크, 모자, 깨끗한 신발 등을 착용해야 한다. 준 제한 구역은 소독준비실, 외래환자 준비실, 갱의실 등이고 수술복장, 모자, 깨끗한 신발 ...2024.09.19
-
미생물 배지 제조2024.09.191. 미생물 배양 및 배지 제조 1.1. 실험 목적 미생물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생물을 배양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배지(medium)를 사용한다. 미생물의 종류와 배양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영양 성분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배지의 종류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이번 실험의 목적은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영양요구조건을 파악한 뒤, 적합한 배지를 선택하여 제조하는 데 있다. 즉, 미생물의 종류와 배양 목적에 맞는 적절한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배지(Medium)의 ...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