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서 두부 외상은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그 중에서도 경막하출혈은 중요한 문제이다. 경막하출혈은 뇌를 둘러싼 막 사이에서 발생하는 출혈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경막하출혈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예후와 합병증 등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burr hole trephination이라는 천두술의 개념과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경막하출혈 환자에 대한 이해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2. burr hole 천두술
2.1. 정의
두개를 둘러싸고 있는 세 가지 막 중 경막의 안쪽, 즉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경막하 공간)에서 출혈이 나타난 것을 말한다.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발생하고 뇌와 경막 사이의 경막하 공간에 피가 고여 뇌를 압박하는 상태로 흔히 뇌 실질의 좌상과 파열, 뇌내출혈을 동반한다. 외상에 의해 급성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지만 노인이나 알코올 중독, 혈액응고를 막는 약물치료나 혈전 형성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 등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만성 경막하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 경막하출혈은 출혈 발생 시기부터 3주 이상이 지난 출혈을 의미하며 급성 출혈은 출혈 시점이 48시간 이내인 출혈을 의미한다. 두 기간 사이의 출혈은 아급성 출혈이라고 할 수 있다.
2.2. 적응증
경막하출혈(SDH)의 주된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막외출혈(EDH)이다. 둘째, 경막하출혈(SDH)이다. 셋째, 뇌내출혈(ICH)이다. 넷째, 수두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개골에 burr hole을 만들어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
경막하출혈은 두개 내 압력이 상승하여 뇌를 압박하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경막하출혈 환자는 종종 뇌좌상, 뇌열상, 뇌내출혈 등 다른 뇌손상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두개골에 burr hole을 만들어 혈종을 제거하는 수술이 주요 치료 방법이 된다. [
2.3. 수술 자세
환자는 반측와위 자세를 취한다. 도넛 배개를 이용하여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고, 수술할 부위가 위로 향하도록 한다. 팔다리는 린넨이나 수술용 패드를 받쳐 반측와위 자세를 유지한다. 이는 수술부위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뇌척수액의 원활한 배액을 돕기 위함이다.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도모하면서도 최적의 수술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2.4. 마취
국소마취하에 필요한 물품은 10cc syringe, 25G needle, 1% lidocaine이다. 수술 전 준비를 위해 대상자의 수술 부위를 marking하고 사각포로 덮은 뒤 towel clip으로 고정한다. 팔과 다리 부분은 중포로 덮어주며, 수술 부위가 덮일 정도로 Ioban을 잘라 붙인다. 국소마취를 위해 1% lidocaine을 10cc syringe와 25G needle을 사용하여 투여한다.
2.5. 준비물
OS set, Spine set 1, Puspan, baby spoid, Suction line, Suciton tip, Handle, Bovie, Boots, Bipolar / line, Burr, Ioban, Cottonoid, Jelform, Surgicel, Bonewax, 50cc syringe * 2, 30cc syringe * 2, 10cc syringe * 1 + 25G needle, marking pen, blade #10, #11, #15, Stapler, Vicryl 1 or 2-0, White silk(#7)이다. 이 도구들은 burr hole 천두술 수술 준비와 진행을 위해 사용된다.
OS set와 Spine set 1은 수술 도구 세트이며, Puspan, baby spoid, Suction line, Suciton tip, Handle은 배액과 흡인을 위한 도구들이다. Bovie, Bipolar / line은 전기소작기이고, Burr는 두개골을 드릴링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Ioban, Cottonoid, Jelform, Surgicel, Bonewax는 창상 관리와 지혈을 위한 재료들이다. 주사기와 주사액은 마취와 투약을 위해 필요하며, Stapler, Vicryl, White silk는 봉합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의료기구와 재료들은 burr hole 천두술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2.6. 수술 절차
4*4 gauze를 반틈 접고 incision부위 양쪽으로 눌러준 후 blade #10을 이용해 marking된 부위에 incision한다. Bipolar를 이용해 bleeding control한다. Freer를 이용해 periosteum을 재낀다. burr를 이용해 skull에 hole을 만든다. dura mater위의 bone side를 punch 2~3mm를 이용해 뜯어낸다. dura mater를 hook을 이용해 들어올리고 blade #11을 이용해 funture한다. (air가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 Surgicel 과 Jelform을 hole 크기에 맞게 준비한다. baby spoid를 이용해 irrigation한다. EVD cath를 삽입한다. (cath.의 내관은 saline을 미리 통과시켜 둔다.) Traca를 이용해 통과시키고 EVD bag을 연결한다. (EVD bag은 연결 시 모두 clamping한다.) Cath.와 Bag 연결부위는 Ioban으로 감싸고 3-way부분은 gauze 대고 고무줄을 감아 고정시킨다. Jelform을 hole 크기만큼 자르고 cath. 길을 만들어 준다. Vicyrl을 이용해 suture하고 skin은 stapler를 이용해 박아준다.
2.7. 소독
수술 부위를 4*4 gauze로 반틈 접고 incision부위 양쪽으로 눌러준 후 blade #10을 이용해 marking된 부위에 incision한다. Bipolar를 이용해 bleeding control한다. Freer를 이용해 periosteum을 재낀다. burr를 이용해 skull에 hole을 만든다. dura mater위의 bone side를 punch 2~3mm를 이용해 뜯어낸다. dura mater를 hook을 이용해 들어올리고 blade #11을 이용해 funture한다. Surgicel 과 Jelform을 hole 크기에 맞게 준비한다. baby spoid를 이용해 irrigation한다. EVD cath를 삽입한다. Traca를 이용해 통과시키고 EVD bag을 연결한다. Cath.와 Bag 연결부위는 Ioban으로 감싸고 3-way부분은 gauze 대고 고무줄을 감아 고정시킨다. Jelform을 hole 크기만큼 자르고 cath. 길을 만들어 준다. Vicyrl을 이용해 suture하고 skin은 stapler를 이용해 박아준다. 수술부위를 H₂O₂ ball로 닦고 10% betadine ball로 닦는다. Y gauze를 덮고 4*4 gauze를 얇게 덮고 fix roll를 붙인다. 이는 수술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상처 드레싱을 통해 수술 부위를 보호하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수술 후 상처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철저한 소독과 드레싱이 필요하다.
3. 경막하출혈 증례 연구
3.1. 문헌고찰
3.1.1. SDH(spontaneous subdural hemorrhage)
3.1.1.1. 정의
경막하출혈(SDH)은 뇌를 싸고 있는 바깥 쪽 두 개의 막 사이에 생기는 두개내 출혈이다. 경막하 공간에 출혈이 생기면 혈액이 응고되어 혈종이 형성된다. 혈종이 커지면 주위 뇌조직을 압박하여 두통이나 혼란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3.1.1.2. 유형
급성 경막하 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의 안쪽, 즉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이다. 이는 두부 외상으로 인해 갑자기 발생하며,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발생하고 뇌를 압박하게 된다. 대부분 시상 정맥동이 파열되어 나타나며, 정맥혈이기 때문에 느리게 혈종을 형성한다. 그러나 혈종이 커지면 뇌조직을 이동시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아급성 경막하 출혈은 출혈 시점이 더 늦은 경막하 출혈로, 덜 심각한 편이다. 어혈의 양이 적고 응고 작용에 의해 출혈이 멎을 수 있기 때문에 출혈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