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82개
-
laminectomy수술전후간호2024.12.191. 척추관 협착증 1.1. 정의 척추관 협착증이란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 아래위 척추에 의해 추간공이 생기며 가운데 관 속은 뇌로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척수)이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관 모양은 타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경추 부위(목 쪽)에서 가장 크며 흉추 부위(가슴 쪽)에서 좁아졌다가 요추부(허리 쪽)에서 다시 커진 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2024.12.19
-
수술 후 방광기능 저하와 관련된 배뇨장애2024.12.201.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1.1. 노화에 따른 비뇨생식기계 변화 나이가 들면서 신사구체의 네프론 수가 감소하고 혈관의 변화로 신장으로 공급되는 혈류량이 줄어 사구체여과율이 저하된다. 노화로 인한 변화는 신장피질에 주로 발생하며, 성별과 인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30대에 시작하여 70대쯤 심해진다. 콩팥으로 흐르는 혈류는 10년 동안 10%가량 줄어들며, 청소년 시기 1,200mL/min에서 80세 무렵 600mL/min 수준까지 감소한다. 항이뇨호르몬에 대한 민감도 감소로 인해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가...2024.12.20
-
지주막하출혈간호진단2024.09.091. 서론 1.1. 지주막하출혈의 정의 사람의 뇌 실질을 감싸고 있는 뇌막은 경막, 지주막, 연막의 3종으로 구분되며, 이 중 중간에 있는 막이 마치 거미줄 모양과 같다고 해서 지주막 또는 거미막이라 하고, 가장 안쪽에 있는 연막과의 사이에 있는 공간이 지주막하 공간이다. 이 지주막하 공간은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뇌의 혈액을 공급하는 대부분의 큰 혈관이 지나다니는 통로인 동시에 뇌척수액이 교통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뇌혈관에서 출혈이 생기면 가장 먼저 지주막하 공간에 스며들게 되는데, 이렇게 어떤 원인에 의해 지주막하 공간에 ...2024.09.09
-
위장관출혈2024.09.041. 위장관 출혈 1.1. 정의 위장관 출혈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손상으로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을 말한다.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상부 위장관 출혈과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하는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된다. 1.2. 원인 1.2.1. 상부 위장관 출혈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소화성 궤양이며, 그 외에 Mallory-Weiss 증후군, 정맥류 출혈, 미란성 위염 등이 있다. 소화성 궤양은 상부 소화관 출혈의 가장 ...2024.09.04
-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2024.12.181. 서론 실습 2 주차 첫날 새로운 환자가 입원하셨고 간호사 선생님들께서 "PLIF 환자는 오랜만이다.", "신규 선생님은 처음 보시죠?"라며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고 어떤 환자인지 궁금해졌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후방요추간융합술이라는 수술이었다. 곧 환자가 병동에 도착하셨고 입원 사정을 해보니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 라는 진단명을 가지고 계셨다. 이 질환과 수술에 대해 더 자세히 연구하고 싶어져서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척추의 구조와 기능 척추는 ...2024.12.18
-
radiculopathy 간호진단2024.08.311. 경추 추간판 탈출증 1.1. 정의 및 원인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척수에서 갈라져 나온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경우 추간판이 밀려나 주위 신경근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일상생활의 잘못된 습관이나 외상 등으로 인한 목에 직접적인 충격으로 추간판의 섬유테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굳어진 속질핵이 빠져 나오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의 속질핵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여 탄력성이 떨어지고, 잘못된 자세나 외상 등의 자극이 가해지면 ...2024.08.31
-
외상성경막하출혈 문헌고찰2025.01.21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외상성 경막하 출혈은 두부 외상으로 인해 경막 안쪽에 발생하는 출혈 질환이다. 심한 경우 신경 증상을 동반하며 심한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검사, 치료와 간호 중재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해 간호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외상성 경막하 출혈 환자 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1.2.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정의 외상성 경막...2025.01.21
-
간호사신경외과 케이스2024.11.101. 서론 1.1. 질병 개요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 MMD)은 1957년 양측 내경동맥의 형성 장애로 기술한 것이 시초로, 뇌동맥조영 상의 뿌연 담배연기 모양과 비슷하여 일본말로 "puff of smoke"란 의미로 "모야모야병"으로 명명되었다. 모야모야병은 내경동맥(ICH) 말단부에 협착 폐색의 양상을 나타나는 폐쇄성 뇌혈관의 질환의 일종이다. 원인은 알 수 없지만, 국내 MMD 환자는 2020년 기준 1만 3,722명으로 매년 1,000명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희귀 뇌혈관 질환이다. 큰 혈관이 막...2024.11.10
-
장천공 case2024.11.2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천공(bowel perforation)의 발생률은 기기와 술기의 발달로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대략 0.3~0.6%이다. 과거에는 장천공 치료의 gold standard는 수술적 치료였으나 최근에는 비수술적 치료로서 회복되는 증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수술이 반드시 필요한 환자에게서 무리하게 내시경적 방법으로 치료하게 되면 적절한 수술 시기를 놓쳐 입원 기간이 늘어나거나 단순 봉합으로 치료될 수 있었던 예에서 장루조선술이 필요한 경우로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단순히 기술적으로...2024.11.26
-
회전근개파열 간호과정 보고서2024.11.231. 회전근개 파열 1.1. 회전근개의 구조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4개의 근육 및 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상완골의 대, 소결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근육은 상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외전과 회외운동을 돕는다. 회전근개의 작용 및 합력은 관절와(관절오목)에서 상완골두에 작용하여 관절을 안정시키며, 삼각근의 근력이 작용할 때 전단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팔의 원활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퇴행성 변화, 부상 등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 힘줄이 끊어...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