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자유학기제의 도입 배경
자유학기제의 도입 배경이다. 자유학기제는 학교에서 진행했던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 중학교 과정 안에서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동안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의 소질, 적성을 키울 수 있는 다채로운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 부담과 지식·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롭게 학교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자유학기제는 2013년 박근혜 정부에서 도입된 교육정책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른 나라의 유사한 제도들을 참고하여 국내에 도입되었으며,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학생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체험을 강조한다는 특징이 있다.
1.2. 자유학기제의 개념과 특성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학생들이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동안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등 학교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토론과 실습 등을 하면서 직접 참여하는 수업을 통해 꿈과 끼를 발굴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제도이다. 2013년에 42개 연구학교로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2014년, 2015년에는 희망학교로 확대 운영하고 현재는 많은 학교들에서 시행하고 있다. 2021년 11월에 교육부가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따르면 "2개 학기에 걸쳐 시행되던 '자유학년제'는 2025년부터 학기 단위인 '자유학기제'로 개편 운영된다."는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자유학기제에서는 스포츠 활동, 음악, 미술 등의 예체능 교육이 크게 강화된다. 또한 학생들이 직접 진로를 탐색할 수 있게 하지는 취지에서 현장체험학습을 하여 직접 직업을 체험하여 그 직업을 현장에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는 시험에 스트레스를 받았던 학생들이 학교 수업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정신적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
자유학기제라고 해도 교과 수업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오전에는 국어와 영어, 수학 등 기본 교과과정 수업을 진행하고 오후 수업 시간을 이용해 특화 수업을 진행한다. 오전 교과 수업 중에도 토론과 문제 해결, 또 프로젝트 학습 등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활동 중심으로 수업을 운영하여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인다. 오후에는 진로탐색, 동아리, 예술·체육 활동 등 다양하게 실시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학교마다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게 된다.
자유학기제의 장점은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사회성을 기르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끼리 자유롭게 수업을 들으면서 더 친해질 기회가 많이 생기고, 예체능 수업이나 현장체험 등을 통해 협동심이 생기고, 또 서로 친밀하게 교류할 기회가 생겨 집단따돌림 같은 문제들을 자연스럽게 줄일 수 있게 된다. 학생 스스로 어떤 과목을 좋아하는지 적성에 맞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되며, 성적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학생들이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동안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등 학교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학생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