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정맥루 혈관관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동정맥루 혈관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정맥루 혈관관리
1.1. 투석혈관 및 관리, 운동법
1.2. 동정맥루란?
1.3. 만성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서 혈관통로 종류
1.4. 정맥도관
1.5. 정맥도관의 종류
1.6. 정맥도관 적응증
1.7. 정맥도관 사용 및 간호
1.8. 정맥도관 합병증
1.9. 정맥도관 관리
1.10. 동정맥 인조혈관
1.11. 동정맥루 종류에 따른 장점과 단점
1.12. 수술 전 관리
1.13. 수술 후 관리 및 주의사항
1.14. 투석후의 관리
1.15. 바늘 삽입 전 내부통로 사정
1.16. 바늘삽입전 간호(피부준비)
1.17. 바늘삽입방법
1.18. 합병증관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정맥루 혈관관리
1.1. 투석혈관 및 관리, 운동법

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분당 200ml 이상(200-400ml/min정도의 안정된 순환이 요구됨)의 혈액을 몸에서 빼내어 필터로 걸러낸 후 다시 몸 속으로 넣어주어야 한다. 일반 말초 혈관으로는 충분한 혈액을 빼내기 어렵고 혈관이 쉽게 손상되어 막히는 등 혈액투석 치료에 적합하지 않아 체내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주는 수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수술은 부분마취로 수술실에서 이루어지며 수술 부위는 대부분이 시계를 차는 위치인 손목부위이지만 더 위쪽에 만들기도 한다. 혈관수술을 하게 되면 체내의 정맥 혈관에 동맥혈이 흐르게 되어 팔의 정맥이 커지고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수술 부위를 만져보면 찌릿찌릿하거나 윙윙거리는 느낌이 느껴지며, 수술 부위에 귀를 대고 들어보면 휘이익 휘이익 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이러한 느낌과 소리는 수술이 잘 된 것을 의미하며, 보통 수술 후 최소 한달(당뇨 환자의 경우 2달) 이상이 지나야 사용하게 된다. 일부 환자의 경우 혈관 상태가 좋지 않아 인조혈관(그라프트)를 삽입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

수술 직후에는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을 취해야 한다. 수술직후에는 팔이 쑤시고 아프지만 1~2일이 지나면 통증이 사라진다. 수술 후 1~2일간 부종 감소를 돕기 위해 탄력 붕대를 감되 조이지 않게 해야 하며, 수술 후 약 2주가 경과하면 봉합한 실을 제거한다. 수술 부위가 붓고 붉어지며 분비물이 나오면 감염 증상이므로 즉시 주치의에게 알려야 한다. 수술 부위에 감전되는 듯한 느낌(thrill)을 느끼거나 청진기로 잡음(bruit)을 들을 수 있어야 하며, 전율(thrill)이 느껴지지 않거나 느낌의 강도가 달라졌다면 동정맥루가 막힌 것이므로 즉시 의사에게 연락해야 한다.

수술받은 팔은 혈압측정, 채혈, 정맥주사 및 주입을 하지 않아야 하며, 수술 부위를 압박하는 자세나 옷을 피해야 한다. 수술 후 심한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 운반을 하지 않도록 하고, 수술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상처가 나거나 긁지 않도록 한다.

혈관을 확장시키고 강하게 하기 위하여 팔운동을 열심히 해야 한다. 수술 후 약 2일째 되는 날부터 운동을 시작하며, 손가락을 자주 움직이고 정구공 같은 작은 공을 주물러 20회씩 하루 5회 이상 반복한다. 팔운동을 할 때 수술 부위를 제외한 윗 부분에 더운 물수건으로 찜질을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1주일 정도 지나면 채혈시 쓰는 고무줄을 상박에 감고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한다. 팔운동을 할 때는 통증이 없는 것이 정상이므로 통증이 있으면 운동을 중단하고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인조혈관인 경우 운동할 필요가 없다.


1.2. 동정맥루란?

동정맥루란 신장 기능이 저하된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혈액투석 치료를 위해 필수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이다. 동정맥루는 팔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정맥을 확장시키는 작은 수술을 통해 만들어지며, 투석에 충분한 혈류를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동정맥루 수술 후 최소 1개월 이상의 성숙 기간이 필요하므로 신기능 저하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만들어 놓는 것이 중요하다. 동정맥루 수술은 일반적으로 부분 마취 하에 혈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행되며, 팔의 손목이나 팔꿈치 부위에 주로 만들어진다. 동정맥루가 잘 형성되면 수술 부위에서 특징적인 떨림과 잡음이 느껴지게 된다. 그 외에도 합성물질로 만든 동정맥 인조혈관이나 자가 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등 다양한 방법의 혈관 통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동정맥루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구조물로, 혈액투석에 적합한 혈관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1.3. 만성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서 혈관통로 종류

손목(요골동맥-요골측피부정맥) 일차 동정맥루(a wrist(radial-cephalic) primary AV fistula)는 체내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만든 혈관통로로, 투석을 받는데 필요한 충분한 혈류를 제공한다. 팔꿈치(상완동맥-요골측피부정맥) 일차 동정맥루(an elbow(brachiocephalic) primary AV fistula)도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혈관통로이다. 만약 동정맥루를 가질 수 없는 경우에는 합성물질로 된 동정맥 인조혈관(an AV graft of synthetic materia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환된 상완동맥-기저정맥 동정맥루(a transposed brachiobasilic vein fistula)를 이용할 수 있다. 커프가 있는 터널식 중심정맥 카테터도 혈관통로로 사용되지만, 영구적인 혈관통로로서는 한계가 있다. 일시적 카테터는 급성 투석 시 사용될 수 있으나 제한된 기간 동안만 사용 가능하다.

이처럼 만성 혈액투석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혈관통로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참고 자료

혈액투석간호(메디컬사이언스)
투석메뉴얼(포널스출판사)
성인간호학2 여덟째판(2016). 김금순 외 공저, 수문사
대한신장학회 http://www.ksn.or.kr
대한투석협회 http://www.e-kda.org
계간지 ‘투석과 생활’ http://www.kidneyoptions.co.kr/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KCDC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삼성서울병원투석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N
투석환자의 식이요법,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683&cid=51004&categoryId=51004
혈액투석,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96&cid=51007&categoryId=51007&anchorTarget=TABLE_OF_CONTENT11#TABLE_OF_CONTENT11
혈액투석이란?, 가천의대길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0951&cid=51014&categoryId=51014
최윤경, 정성희(2018). 성인간호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소향숙(2015). 암환자 간호. 포널스출판사.
박성대, 이근욱 저(2012). 대장암 예방과 치료 그리고 극복. 계명대학교출판부.
한혜숙(2006). 상처·장루간호. 청동거울.
황여원(2021). 소책자를 이용한 질병관리교육이 혈액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 환자역할행위이행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정명진(2019).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환자교육 수행도 영향요인.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