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내출혈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1.1. 정의 및 병태생리
1.2. 증상
1.3. 진단
1.3.1. 컴퓨터단층촬영(CT)
1.3.2. 자기공명영상(MRI)
1.3.3. 뇌혈관조영술
1.4. 치료
1.4.1. 보존적 치료
1.4.2. 수술적 치료
1.5. 간호중재
1.5.1. 호흡유지
1.5.2. 뇌관류 유지
1.5.3. 영양상태 유지
1.5.4. 인지기능 증진
1.5.5. 손상방지
1.6. 투약약물
1.7. 진단검사
1.7.1. 임상병리검사
1.7.2. 영상검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1.1. 정의 및 병태생리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은 모든 뇌졸중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예후가 나쁘며 사망률이 40~80%에 이른다. 대부분 고혈압과 관련되어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이 오르는 상황에서 파열되면서 뇌실질로 출혈이 일어나 혈종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그 외 원인으로는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 혈관 기형, 응고장애, 외상, 암 등이 있다.
뇌내출혈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뇌조직 쪽으로 직접 출혈되어 발생하는데, 척수막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경막을 기준으로 아예 뇌조직 자체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뇌내출혈이 된다. 외상이 없어도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지주막하출혈과 뇌내출혈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례가 많다. 이런 비외상성 뇌출혈 혹은 자발성 뇌출혈의 주요 원인은 선천적인 혈관기형과 뇌동맥류이다. 뇌동맥류는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약한 부분이 부풀어 만들어진 작은 혹으로, 크기가 작으면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파열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뇌는 두피, 두개골, 뇌척수막에 싸여 실질적으로 밀봉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압력이 높아져 뇌를 누르게 된다. 출혈 자체도 뇌에 손상을 일으키지만, 이런 압력으로 인한 손상은 한층 심각해서 아주 심한 두통, 구토, 편마비, 의식저하가 발생한다. 출혈이 만든 압력이 극단적으로 커지면 뇌가 척수(spinal cord)쪽으로 밀려 내려가, 호흡, 혈압, 체온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기능까지 망가지게 된다.
출혈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피각과 내포출혈이 있으면 편측 허약감, 말이 어눌해지는 증상이 있고, 시상출혈 시에는 운동소실보다는 감각소실이 더 많이 나타난다. 소뇌출혈 시에는 심한 두통, 구토, 걷기능력 소실, 연하곤란, 구음장애 등이 나타나며, 교뇌의 출혈은 호흡과 같은 기본적 생활기능이 더 빨리 영향을 받으므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증상
뇌내출혈의 초기 증상은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오심 및 구토를 동반한다"" 이는 뇌조직으로의 출혈로 인해 두개 내압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이다"" 피각과 내포에 출혈이 있는 경우 편측 신체 허약감과 언어장애가 나타난다"" 출혈이 더 진행되면 의식저하, 동공확대 및 고정, 비정상적 자세, 혼수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시상 출혈 시에는 감각 소실이 더 많이 나타나며, 시상하부 출혈 시 시야와 안구운동 장애가 발생한다"" 소뇌 출혈 시에는 심한 두통, 구토, 보행실조, 연하곤란, 구음장애 등이 관찰된다"" 특히 교뇌 출혈은 호흡과 같은 생명징후에 빨리 영향을 주어 가장 위험한 증상이다""
1.3. 진단
1.3.1. 컴퓨터단층촬영(CT)
컴퓨터단층촬영(CT)은 뇌졸중 발생 시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진단적 검사방법으로 뇌내출혈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다. CT는 병변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해주고 출혈성과 허혈성 뇌졸중을 구분할 수 있다. 즉각적인 CT 시행은 뇌내출혈의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뇌경색 발생 수시간 이내에 실시한 CT는 일반적으로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CT 혈관조영술(CT angiography)을 함께 시행하여 큰 혈관의 병변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CT는 뇌내출혈의 진단에 있어 신속성과 정확성이 높은 검사방법으로, 초기 평가와 치료 방향 결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3.2. 자기공명영상(MRI)
자기공명영상(MRI)은 적절한 영상을 이용하여 뇌의 손상 정도를 결정하는 검사방법이다.""일반적으로 뇌경색 진단에 있어서 MRI는 CT에 비해 특이성이 크고 확산강조(diffusion-weighted) MRI는 초기 뇌경색 병변이나 기존 MRI에서 찾기 힘든 아주 작은 병변에도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진단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그러나 MRI는 급성 출혈 시에는 CT보다 민감도가 낮고, 더 비싸서 쉽게 이용하기 어려우며, 폐쇄공포증이나 인공심박동조율기를 가진 대상자에게 검사를 제한한다.""MRA 검사는 머리와 목의 혈관폐색질환을 사정하는 비침습적 방법이다.""
1.3.3. 뇌혈관조영술
뇌혈관조영술은 경동맥의 협착, 폐색, 출혈 유무의 진단에 중요한 검사이다. 대퇴동맥을 통한 동맥 촬영은 죽상경화증이 있는 혈관을 직접 천자하지 않으므로 죽종으로 인한 폐색을 유발할 위험이 적다. 디지털 혈관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참고 자료
윤은자 외 공저(2021), 『성인간호학Ⅰ』,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2021), 『성인간호학Ⅱ』,수문사
임경춘 외 공역(2020), 『건강사정 제8판』, 학지사 메디컬
송경애 외 공저(2021),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2021),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명문제약주식회사 – 제품소개 http://www.mmpharm.co.kr/ko/main/
약학정보원 – 의약품검색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 아산병원- ICH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788
경북대학교 뇌혈관센터(2016), 3차원 CT 뇌혈관 촬영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검사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checkupSub01View.do?content_id=1104&DP_CODE=BR&MENU_ID=003&ds_code=D0003873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121
이원의료재단. 진단검사 검사항목 조회, https://m.eonelab.co.kr/meone.asp
윤은자 외(2021), 9판 개정 성인간호학 1, 수문사, P. 171. 198. 473.
윤은자 외(2021), 9판 개정 성인간호학 1, 수문사, p. 1090, 1150, 1163-1181, 1192
퍼시픽 학술편찬국(2022), 2023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개념서 02 : 성인간호학 2, 퍼시픽북스, p.160-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