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기 때문에, 어머니에 대한 행동이나 태도 (친밀함&너그러움)이 어머니의 친척인 외삼촌에게까지 확대된 것이라 해석[2. 만만한 남아프리카 외삼촌]① 생질과 이질의 구분: 생질은 남자 ... 에서 이런 관습이 발견되면 이는 그 사회가 과거에 모계사회였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② 기본전제 : 바쏭가 족, 호텐토트 족, 통가 족은 모두 “부계사회”이다= 자식들은 아버지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만만한 남아프리카의 외삼촌을 읽고]:각 사회마다 독특한 문화가 있듯이 가족 관계에 있어서도 사회마다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특수한 배경으로 인해 많은 차이 ... 가 나타나기도 한다.친족과 혼인의 장에서 예를 든 ‘바쏭가’족이나 ‘호텐토트’족, ‘통가’족(소위 미개부족) 에서는 어머니의 남자형제와 누이의 아들사이의 관계를 중시하는 독특 ... , 이 두 가지 관습은 서로 상관관계에 있다. 바쏭가족의 경우 남자들은 고모에 대해 ‘지극한 존경을 표시’하며, 토텐토트족의 경우에도 고모는 조카들에게 커다란 존경의 대상이 된다
사회 중 상당수는 외삼촌과 생질(누이의 아들)사이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아프리카 바쏭가 부족의 경우 외삼촌이 일생 동안 생질을 돌보아야 하며 생질이 아프면 그를 위하여 의생 ... 및 복종의 의무가 존재한다. 외삼촌과 고모에 대한 행위의 차이는 바쏭가 부족의 사회구조에 의해 결정된 것이며, 이러한 관습은 바쏭가 부족의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해 필요
- ‘만만한 남아프리카의 외삼촌’을 잃고...이 이야기는 래드클리프-브라운이 미개부족들의 결혼과 가족관계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써내려간 것이다. 미개부족들 중 상당수는 어머니 ... 의 남자형제인 외삼촌과 누이의 아들인 조카(‘생질'이라 함) 사이의 관계를 중시한다고 한다. 그 예로 이 책에서는 바쏭가족을 얘기하고 있다. 바쏭가족의 경우 외삼촌이 일생 동안 생질 ... 이 여계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결혼 후 남편이 아내가 사는 곳으로 거주를 옮기며, 외삼촌 등 어머니의 친족이 아이들에 대한 권한을 장악하고 있는 사회를 뜻한다. 하지만 바쏭가족의 경우
의 남자 어머니로, 아버지의 여자형제는 여자 아버지로 간주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바쏭 가족은 고모를 여자 아버지라 부르고 통가족은 외삼촌을 남자 어머니라고 부른다. 남부 아프리카 ... 20430675 배준수제 7장 친족과 혼인 - 만만한 남아프리카의 외삼촌친족 간의 관계가 친밀한 경우도 있지만, 핵가족화 되어 있는 우리에게 누이의 아들, 딸을 돌보는 외삼촌 ... 은 너무 생소하다. 그것은 우리 사회가 가부장제 사회에서 부계의 친척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관습이 생겨서일 것이다.바쏭 가족의 경우 외삼촌이 일생동안 생질(누이의 아들)을 특별히 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