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이런 관습이 발견되면 이는 그 사회가 과거에 모계사회였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② 기본전제 : 바쏭가 족, 호텐토트 족, 통가 족은 모두 “부계사회”이다= 자식들은 아버지 ... 하고 있고, 2) 농민들 간의 협력은 경제적 여건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농민사회는 개인주의적이며, 가장 작은 사회적 단위인 핵가족이나 개인은 자신들의 몫이라 생각 ... 는 행위규범2) 채찍과 당근, 즉 실제행동이 이러한 규범에 가깝게 이루어지도록 제재와보상*지역 공동체의 균형을 지켜주는 자동수정 메커니즘(1) 개인 및 가족의 행위의 수준: 개인
사회 중 상당수는 외삼촌과 생질(누이의 아들)사이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아프리카 바쏭가 부족의 경우 외삼촌이 일생 동안 생질을 돌보아야 하며 생질이 아프면 그를 위하여 의생 ... 및 복종의 의무가 존재한다. 외삼촌과 고모에 대한 행위의 차이는 바쏭가 부족의 사회구조에 의해 결정된 것이며, 이러한 관습은 바쏭가 부족의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해 필요 ... 함상징주의① 문화의 기능보다는 사회에서 형성되고 소통되는 문화의 의미를 더 중요시함사회문화15. 문화변동발명① 2차적 발명 : 과거에는 가족이 겨울동안 먹을 김치를 한꺼번에 많이
은 너무 생소하다. 그것은 우리 사회가 가부장제 사회에서 부계의 친척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관습이 생겨서일 것이다.바쏭가족의 경우 외삼촌이 일생동안 생질(누이의 아들)을 특별히 돌 ... 다. 이러한 관습이 나타나는 곳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모에 대해 특별한 존경 및 복종의 의무가 존재한다. 바쏭가족, 호텐토트족, 통가족의 경우 모두 고모는 존경의 대상이고 신성한 존재다 ... 의 남자 어머니로, 아버지의 여자형제는 여자 아버지로 간주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바쏭가족은 고모를 여자 아버지라 부르고 통가족은 외삼촌을 남자 어머니라고 부른다. 남부 아프리카
, 이 두 가지 관습은 서로 상관관계에 있다. 바쏭가족의 경우 남자들은 고모에 대해 ‘지극한 존경을 표시’하며, 토텐토트족의 경우에도 고모는 조카들에게 커다란 존경의 대상이 된다 ...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만만한 남아프리카의 외삼촌을 읽고]:각 사회마다 독특한 문화가 있듯이 가족 관계에 있어서도 사회마다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특수한 배경으로 인해 많은 차이 ... 가 나타나기도 한다.친족과 혼인의 장에서 예를 든 ‘바쏭가’족이나 ‘호텐토트’족, ‘통가’족(소위 미개부족) 에서는 어머니의 남자형제와 누이의 아들사이의 관계를 중시하는 독특
의 남자형제인 외삼촌과 누이의 아들인 조카(‘생질'이라 함) 사이의 관계를 중시한다고 한다. 그 예로 이 책에서는 바쏭가족을 얘기하고 있다. 바쏭가족의 경우 외삼촌이 일생 동안 생질 ... 이 여계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결혼 후 남편이 아내가 사는 곳으로 거주를 옮기며, 외삼촌 등 어머니의 친족이 아이들에 대한 권한을 장악하고 있는 사회를 뜻한다. 하지만 바쏭가족의 경우 ... 에는 생질이 외삼촌에게 버릇없이 굴고 오히려 아버지의 누이인 고모에 대해 특별한 존경 및 복종의 의무가 존재한다. 이 부분에서 바쏭가족이 모가장제와 관련이 있다는 가설에 오류가 발생
-브라운의 글을 통해 우리 사회의 친족제도의 변천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앞장에서 제시하였던 성에 따른 문화의 차이는 이 장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바쏭가족 ... 적 커뮤니케이션은 각 문화에 따라 그 표현이 얼마나 틀려지며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또한 가족 구성원을 부르는 호칭이 여러 문화권에서 얼마나 다른지 보여주고 있다. 래드클리프 ... 을 예로 들어 부계사회에서 고모의 위치와 외삼촌의 위치의 상대성을 통해 그 가족의 권력 기반이 어떤 식으로 분배되었는가를 설명하고 있고, 나아가 더 큰 집단에서의 권력기반이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