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36)
  • 리포트(31)
  • 논문(2)
  • 시험자료(2)
  • 방송통신대(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 비교" 검색결과 21-36 / 36건

  • 최세진 연구업적 연구(학교문법과의 연계성)
    지만 아마도 고려 말경부터 이미 존재해 왔던 책으로 추측된다. 이 『노걸대』를 최세진이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 『노걸대언해』다. 그러나 이 책은 현재 전하지 않고, 顯宗 11년 ... (1670)에 간행된 상하 2권의 鑄字本과 正組19년(1795) 乙卵에 李洙 등이 『노걸대』의 改修本인 『中刊老乞大』를 번역한 2권 2책의 『중간노걸대언해』만 전한다. 문장은 談話 ... 습독관으로 한어와 한이문의 교육에 임함 ,『노박집람』, 『노걸대언해, 『박통사』 냄.1517(중종12): 승문원 참교, 사역원 한학교수에 재임명11월 『사성통해(四聲通解)』 완성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5.09
  • 구개음화 졸업논문
    한 문헌으로는 『오륜전비언해』(1721)가 있다는 것이다.이에 반해, 이명규)는 17세기 이전의 중앙자료 문헌 중 『역어유해』뿐만 아니라 『번역박통사』(16세기초) 『번역노걸대 ... 이 제기된다.그러나 이명규)는 t계의『연병지남』,『중간두시언해』,『내경초집언해』,『경민편언해』,『노걸대언해』,『첩해신어』,『송강가사』등과, k계의 『동문유해』, h계의『첩해신어 ... 』, n계의『중간두시언해』,『노걸대언해』,『내경초집언해』등에서 그 연대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우민섭)에 따르면 방언에서 중앙어보다 구개음화가 더 빨리 나타났을 것이므로 지방적 요소
    리포트 | 37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07.11.29
  • 10 국어의 변화 (1)
    10 국어의 변화1. 국어사의 자료1.1. 한글 자료한글 자료는 서지 형태에 따라 판본류와 필사본으로 나뉜다. '석보상절, 번역소학, 현풍 곽씨 언간, 노걸대 언해 상'과 같 ... 은 판본류는 한글 자료의 중심이 된다. 이들은 관에서 주관하여 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판본류 가운데는 시차를 두고 재간행된 것들이 있 ... 명사를 표기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에는 어휘를 적은 (고유) 명사 표기와 문장을 적은 이두 및 향찰, 그리고 한문 문장을 번역하기 위한 구결이 있다.이두는 한자 어휘나 한문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8.14
  • 유희_ 언문지
    며 소리도 옅다. 그러므로 유씨교정자모에서는 이를 정확히 구분해 세운다.4.3 중성례중성례에서는 정음통석 중성십일형, 몽고운, 번역(한어노걸대, 박통사), 화어의 속어, 이신제 영익 ... 들과 비교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첫째, 설두/설상, 순중/순경, 치두/정치음을 각각 병합하여 설음, 순음, 치음의 모를 설정한다. 그 이유를 조음음성학적으로 설명하자면, ‘거이 ... , 번역서 , , 등에 나오는 몽고의 운서나 화음을 한글로 표기 하려면 절요중성인 ㅘ, ?, ?, ?, ?, ? 등이 필요하지만, 이는 중성이 중복되어 읽히는 것이므로 언문으로 쓸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11.11
  • 중세국어문법론
    서, 월인석보 서...등등. 언해문이 구결문보다 한 글자 아래 식자됨-한문+언해문: 두시언해, 원시에 구결이 없고 시에 따라 주석문이 붙음-백화문+언해문: 번역박통사, 번역노걸대 등문법 ... , 서간자료, 고려가요 등언해자료: 한문이나 중국어의 원문을 앞세우고 이를 한글로 번역한 자료 (언해: 한문, 백화문 -> 한글 번역)-구결문+언해문: 훈민정음언해, 석보상절 ... 연화경) - 석보상절>월인석보>법화경언해 , 원전(소학) - 번역소학>소학언해예) 번역소학: 원문부연, 의역 / 소학언해: 직역, 협주 사용석보상절: 한글사용, 의역 / 월인석보
    시험자료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10.17
  • [국어학]노걸대류 및 박통사류의 해제
    에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언해본인 노걸대언해는 《노걸대》를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조선 중종 때 역관 최세진이 번역한 것이나 전하지 않고 다만 후대 중간본만 전하는데, 그것을 저본 ... 는 조선 중종 때 최세진이 《노걸대》의 원문 한자에 한글로 중국의 정음과 속음을 달고 번역한 중국어 학습서이다. 언해본이며 1517년 이전에 발간되었다.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중간본 ... 이 전하며 《사성통해》 이전의 것으로 짐작된다. 중간본에는 서문·발문·간기가 없으나, 《사성통해》 서문에 《노걸대》와 《박통사》를 언해했다는 기록과, 《사성통해》의 《번역노걸대박통사
    시험자료 | 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02.12
  • 국어사 경어법 발달
    은 들이 많아진다. ‘?? 누구’(몽산법어 20)의 ‘누구’는 근대어에 ‘이 벗은 누고고’(노걸대언해 下 5)와 같은 예가 있었으나, “네 뉜다”(삼역총해 8.1)와 같이 변했다.5 ... 형) 등이 나타났다.예) 齒頭와 正齒왜 ??요미 잇?니(훈민정음언해 14), 부텨와 중괏그에(석보상절 13.22)3. 16세기 초엽의 번역소학에서는 ‘苦蔘과 黃蓮과 熊膽과?’(9 ... 여 /오, 우/로 음상이 변하는 과정을 겪는다. 선어말 어미의 실현순서는 -?-+-이-로 현대국어와 같은 통합의 과정은 보이지 않는다.16세기 국어는 15세기와 비교하여 기능
    리포트 | 2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5.16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를 비롯한 간경도감 간행의 불경언해들.?한문과 언해문이 짝지어진 것 - 대표적으로 두시언해?백화문과 언해문이 짝지어진 것 - 번역박통사, 번역노걸대가 대표적④협주자료 : 번안자료와 언해 ... 본을 비교해 보면, 처음 나온 번역은 의역이며 뒤에 나온 번역일수록 직역의 경향을 띄고 있음.-소학언해의 경우 원문에 기대어 직영하되 필요한 곳에는 협주를 달았다는 말이 나옴. ... 고 이를 한글로 번역. 중세의 대부분의 한글문헌은 한글 붙은 구결문이 먼저 나오고 이를 한글로 번역언해문이 나오는데, 석보상절은 구결문이 없다. 현재 남은 것은 초간본 8권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0.20
  • 번역박통사의 원문과 언해문 국문해석
    있다.4.백화문과 한문(문언문) 비교번역박통사는 ‘노걸대’의 원문 한자에 한글로 중국의 정음(오른쪽)과 속음(왼쪽)을 달고 그 원문 백화문을 우리말로 번역한 책이다. 여기서 백화 ... 1.연대 : 1517년 이전2. 언해자 : 최세진3. 이해번역박통사는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중국어 학습서인 《박통사》 원문의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고 번역한 책이다. 현재 ... 이 없다. 하지만 사성통해에 실린 번역노걸대번역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성통해가 중종 12년(1517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아 그보다 앞섰을 것으로 추정된다.원문 하자
    리포트 | 6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7.12.16
  • [국어사개설]국어사 자료 정리
    보단경언- 시식권공(5) 중종-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번역소학- 여씨향약언해, 정속언해- 간이벽온방, 우마양저염역치료방, 분문온역이해방- 번역노걸대, 번역박통사, 노박집람 ... 고 있다. 불경 등 한문에 대한 언해류가 주로 많아, 한문 구결과 연계되는 번역투의 문체도 한 특징이다. 또한 구어와 거리가 있는 문어적 표현도 적지 않다. 그러나 면밀한 고찰을 통하 ... - 사성통해, 훈몽자회6) 선조- 칠대만법, 선가귀감- 광주간행 천자문, 석봉천자문- 신증유합, 야운자경, 발심수행장, 계초심학인문- 소학언해, 번역소학(선조), 대학언해, 중용언해
    리포트 | 2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1.05
  • 한국어 조사의 통사적 연구
    , 之가2)② 아?? 說法?시고(월인석보2-26)③ 부텻긔 가(법화경언해 7-117)비교 : 두고/두곤, (으/?/이)라와, 이, 애/에, 과/과, 과로/와로, 론① 웃사?두고 더 ... 은 양?야(석보상절 9-14)② 아?두곤 두 자히 놉고(번역노걸대 상-26)③ 나랏 말?미 中國에 달아(훈민정음)도구 : 로, 로?① 夫妻願으로 고? 받??시니(월인천강지곡 상-3 ... )② 赤心?로 처? 보샤(용비어천가 78)시간한정 : 로① ?로 變?며 ... ?로 化?며 ... 날로 옮나니(능엄경언해 2-7)동반 : 과/와① 스?과 ?? 나?니(법화경언해 3
    리포트 | 1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05.28
  •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의미,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특성, 황해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경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경상남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함경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분석
    68]◎ 물이 참 잘 흐리내(= 물이 참 잘 흐르는구나)○ 흐?다/흐르다>흐리다2) /ㅜ/ > /ㅣ/① 국시(표준어 : 국수)?즌 국슈 머기 닉디 몯?얘라 : 不慣喫濕麵[번역노걸대, 이다. ... 다. 이러한 한국어 방언은 연대를 알 수 없는 먼 옛날부터 분화와 통합을 거듭하면서 독자적으로 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변해왔다. 한국어 방언은 1960년대까지 비교적 안정된 상태 ... [소학언해(선조판) 5:60]◎ 니하고 내하고는 뜻이 너무 다리다.(= 너하고 나하고는 뜻이 너무 다르다.)○ 다?다>다르다>다리다② 맞임/맞임이(표준어 : 맞음/ 맞이/ 마중)?一
    리포트 | 17페이지 | 6,500원 | 등록일 2009.08.28
  • [국문학] 번역박통사에 대한 해제
    로 옮긴 언해문과 구분하였다.4. 국어학적 가치 및 특징『박통사』는 『노걸대』와 마찬가지로 당시의 한국과 중국의 한자음 등 양국어의 비교 연구에 훌륭한 자료가 된다. 그리고 최초 ... 근대국어 시기의 문법사 일반을 기술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가 되어 왔다.그러면 동일한 한문 원문을 언해한 『번역박통사』(번박)과 『박통사언해』(박언)을 비교 ... 를 확실히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사실로 간행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첫째, 최세진의 『四城通解』의 부록으로 번역 노걸대 박통사 범례 가 있는데, 이로 보아 『老乞大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2.12
  • 월인석보의 문헌적 특징
    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또한 이들 언해의 자료의 대다수가 불경언해류라는 점도 간과 할 수 없는 사실이나 석보상절은 본질적으로 언해이지만, 그 문체가 비교적 자유 ... ’ 모음동화(수의적)* 서리에 → 서리예(월인천강지곡 상-45)* 두어 → 두워(번역노걸대 상-21)2) 형태 음운 현상형태 음운 현상은 일정한 어휘 및 형태 범주의 조건에서 분절음 ... 로운 면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轉經에 한문을 잘 모르는 계층까지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음으로 번역하여 간행한 것으로 보았다.이러한 자료적 편향성은 문헌 자료를 통하
    리포트 | 2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03.08
  • [한국어문법]한국어문법사(사동사)
    버므린 딥 머거든 기들워 믈 머기라[먹-이-라] (번역노걸대 상 24)나. 17세기 : 괴롭고 브즈러니 졋 머기시며[먹-이-시-며] 갓가?로 길러내시니 (경민편언해- 중간 1)다 ... 의 사동법이 실현됨예② 가. 흐린 므를 ?교?〔?-이-오-?〕??니 잇? 그르세 ???니 (능엄경언해 4:89)나. 므레 ?마 ?-게 ?-야 (월인석보 10:119)가.는 파생적방법 ... ③ 가. ??나래 두 번 ? 브리고 사?래 ? 번 돗글 다?호라 (두시언해-초간 22:53)나. 부톄 阿難일 시기샤 羅 羅? 머리 갓기시니 (석보상절 6:10)(2) 파생적 사동법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6.18
  • [국어국문] 국어사
    15·16세기의 정음문헌은 거의 중앙의 간행물들이다. 이것은 당시의 중앙어 즉 상류계급의 언어를 밝히고 있으며 언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한문의 번역문이 가지는 독특한 문체 ... .ⅱ.세조대 : 月印釋譜(1459)-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것인데 권1에 훈민 정음언해가 실려 있음. 楞嚴經諺解(1462)-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최초의 불경 언해. 金剛 ... 를 보여 주는 최후의 불경언해. 內訓(1475) 三綱行實圖諺解(1481)杜詩諺解(1481)- 당 나라 시인 두보의 시를 언해한 것으로 언해 문학의 백미일 뿐 아니라 국어 자료
    리포트 | 1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2.06.13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