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 통합검색(18,686)
  • 리포트(14,221)
  • 자기소개서(3,547)
  • 방송통신대(401)
  • 시험자료(200)
  • 논문(144)
  • 기업보고서(122)
  • ppt테마(19)
  • 서식(14)
  • 노하우(8)
  • 이력서(7)
  • 표지/속지(3)

바로가기

현대자동차 독후감 - 현대자동차 관련 독후감 2건 제공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현대자동차" 검색결과 3,501-3,520 / 18,686건

  • 현대 자동차의 해외진출 사례 분석,연구 (인도, 러시아 진출을 중심으로)
    목차§. 서 론Chapter1. 현대자동차Ⅰ. 연혁Ⅱ. 경영이념Ⅲ. 사업현황Chapter2. 인도시장 진출 이유Chapter3. 현대자동차 인도진출 배경§. 본 론Chapter4 ... . 인도 시장환경Ⅰ. 인도 경제성장의 배경Ⅱ. 인도 소비시장의 특성Ⅲ. 인도 비지니스Ⅳ. 인도 자동차 시장Chapter5.현대자동차 인도 시장 진출 ProcessⅠ. 인도 시장 ... & 경쟁사 분석Ⅱ. 인도 시장으로의 직접투자 진출 확정Ⅲ. 인도 진출 전략Ⅳ. 인도 현지 인적자원 관리Chapter6. 현대자동차 인도 시장성과 및 현황Ⅰ. SWOTⅡ. STPⅢ
    리포트 | 38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09.03.19
  • 현대 자동차의 인도시장, 미국 시장 진출과 성과
    SSchedulerDate : 2006. 11. 14Second Presentation현대자동차의 이문화 극복 전략1. 현대 자동차기업소개기업선정이유2. 인도 시장상황분석이문화 ... 극복전략성공요인목차3. 미국 시장상황분석이문화 극복전략성공요인현대자동차 기업소개 및 선정이유기업의 시작 1967년 12월 29일 '정주영'현대 그룹 창업주에 의해 설립 당시 한국 ... Discussion 등을 실시*인도시장 성과현대 자동차의 성과시장 점유율의 변화--9%16%10%-대우 마티즈12.5%11.9%16%17%17%-텔코 인디카8.2%9.6%21%22%33%64
    리포트 | 52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6.11.20
  • 현대자동차와 LG전자의 인도시장 성공사례
    현대자동차와 LG전자의 인도시장 성공사례인도가 지금 우리 곁으로 달려오고 있다. 인구 10억 명에 면적이 남한의 35배나 되는 나라로, 인도는 브라질?러시아?중국과 함께 미래 ... 차림으로 거리를 활보한다. 거리에는 현대자동차가 생산하는 상트로가 달리고 전자상가에는 삼성 컬러 TV, LG 냉장고?세탁기?휴대폰이 진열돼 있다.현대자동차의 성공인도 정부가 또 주목 ... 카뷰레터식으로 추진했다면 상트로도 「그렇고 그런」 차종의 하나로 남았을 것이다. 배기가스를 줄인 전자제어식의 MPFI 엔진이 현대차 돌풍을 가져왔던 것이다.인도 자동차 시장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3.04
  • [경영]현대자동차 인도진출사례 발표 ppt
    현대 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의 성공적인 4P전략국제마케팅 전략현대 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 성공 사례목차1.현대 자동차의 인도 시장 진출과정 -인도 시장분석2.현대 자동차의 대규모 인도시장 단독투자3. 현대자동차 인도시장진출 4P 분석4. 향후과제현대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과정 (인도시장분석)(1)인도시장의 성장 잠재력 ①194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이후 지속적으로 성장 -20세기 초 0.7% → 1970년대 연평균 3.5%로 성장 -1991년 라오 정권이후 대외개방 적극 추진 → 경제성장율 6~7%로 크 게 성장, 소비 시장 급성장 경제지표참고②서남아시아와 중동지역 수출거점으로서 저임노동력이 풍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인도의 주요 경제 지표47.0244.9443.0641.2636.3135.43평균환율(루피/$)5.24.04.713.27.29.0소비자물가상승율(%)5.96.17.26.15.07.3실질경제성장율(%)20*************819971996자료 : EIU,2001년 5월(2)인도의 주요산업 -산업 대부분이 국유화, 민간경제활동 정부의 통제 多, 정부 산업의 자국화정책 강력히 시행 -1인당 GDP300$ 정도이지만 구매력으로 환산의 경우 1,500$정도 됨인도시장 분석(3)시장규모 -유럽수준의 부유층 전체인구의 15%정도 (약 1.5억 명) : 상위 생활수준영위 인구수 상당, 그 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시장 잠재력이 크다.인도시장 분석(4)인도 도로사정 -3백만 Km도로 보유, 그러나 급속히 늘어나는 자동차 증가세를 따라가지는 못함. -인도정부 1998년 '도로국가 개발계획'시행 , 세원확충 위해 디젤 1리터당 1루피의 세금 부과 :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음(5)항만시설 -중소항구 148개, 중앙정부 운영 항만 트러스트 대형항구11개 : 이들 항구만으로 경제개혁으로 늘어난 수출입 물량을 감당하기 어려움 -체선 기간은 2~6일, 물류비용의 증가는 안도 경제발전에 장애요소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물류비의 증가는 자동차 수입의 큰 방해 요인인도시장 분석인정, 가격은 중간수준, 선진국 수준 -한국제품의 호의적 반응인도시장에서의 대규모 단독투자인도시장 진출계획 2~3만대 소규모 합작투자 방식으로 진출하려고 함 , 그러나 예상파트너들 무리하게 51%의 지분을 요구함단독투자로 투자계획변경!!단독투자조건 10만대 이상의 대규모 투자 현지화율 4년이내 70%이상 적극적인 기술이전, 국민차단독투자 허가 받음인도시장에서의 대규모 단독투자현대 자동차 100%투자비율총 2,544명(관리직400,생산직2,100 ,주재원44)종업원수상트로 77.5%, 액센트 59.5%(2002년 7월 기준)현지화율년 12만대(1일 3교대 기준):상트로 8만대, 액센트 4만 대,생산능력총투자비 457 백만 달러: 투자소요(투자비 393, 운영비 64) 자금조달(자본금 212, 차입금 245)투자(M$)인도 타밀라두 주 첸나이, 부지 총 65만평(건평 3만 7천평)공장위치내용구분HMI 개요현대자동차 인도시장진출의 4P ?(1)Product(제품) ①1995년 시장 진출시 시장상황 -중산층의 비율 15~20%차지(연평균 소득 5000$이상) -승용차 수요 : 1996년 약 37만대 → 2005년 약81만대 예상 -소형차 위주의 시장으로서 마루티가 거의 독점 : 타경쟁업체들 중형차 시장 공략 → 중형차의 공급과잉②현대 자동차의 Product전략은? ⅰ. 중형차시장의 공급과잉으로 소형차 상트로(아토즈 인지모델)로 생산 모델 변경 ⅱ. 인도형 모델 개발 : 인도 도로사정에 적합한 현지모델 개발에 전력투구함제품전략 인도형 모델 개발인도형 현지 모델개발 ①인도 소비자들의 고유한 디자인 취향을 고려하여 시필러와 라디에이터 그릴 등을 새로 디자인. ②고온 다습한 인도기후 고려하여 에어컨 기능강화, 전기배선의 내수성을 보완 ③평균 6명 이상 탑승하는 가족 이용형태 고려하여 서스펜션을 보강하고 지상고를 높임 ④단거리 중저속 운행에 적합하게 파워트레인 적용 ⑤최신 유행스타일 톨 보이와 최신 기술 MIFI엔진 채택 ⑥경적장치와 브레이크 내구성 강화경쟁사 마루티 젠과의 구형스타일링(Conventional) 뒷좌석 공간 넉넉치 못함 비교적 낮은 마력최신기술(MPFI엔진) 최신 유행 스타일링(Tall Boy) 비교적 여유있는 뒷좌석 공간 강력한 에어컨 기능 비교적 강력한 가속 성능마루티 젠현대 상트로현대자동차 인도시장진출의 4P ?(2)Price(가격) 인도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될수 있도록 가격 고려함인도인들의 특성 ①한번 차량 구매 후 재구매까지 걸리는 시간 7년 이상 ②경제적 이유로 중고차 선호①시장특성상 중고차량 판매가격을 높게 유지하는 것 중요 ②관세비율이 높은 편 → 신모델의 잦은 출시는 부담으로 작용현대 자동차 상대적으로 부담감이 덜했음 → 차량 품질에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것에 총력을 기울임.저가 정책으로 소비자 확보 → 고객 충성도 형성후 점차적으로 가격을 높임현대 자동차의 '가격 전략'1)매출 증대를 위한 상트로 목표 : 단기간 대량 판매를 통해 공장 가동율과 제품 인지도 향상, 경쟁 차종인 '마루티 젠'을 타겟으로 삼고 가격 경쟁경쟁사 대비 낮은 가격 책정 인도인들의 심리 가격 저항선이 300,000루피선 고려, 마루티 젠 보다 5% 낮은 가격 결정주요 부품 업체들의 현지화 단가를 낮춘 부품 활용현대 자동차의 '가격 전략'2)수익성 극대화 추구를 위한 엑센트 목표 : 현대의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를 바탕으로 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 상트로보다 높은 수준의 상우 차종으로 자연스러운 확장 시도신형 액센트 도입 수익성의 극대화추구경쟁사보다 높은 가격 책정 신모델에 대한 자신감현대자동차 인도시장진출의 4P ?(3)Place(유통)전략 1)현지에서의 차량을 생산할 공자의 입지 선정 → 현지 종합자동차 공장 건설 인도 주요 지역의 입지 요인 비교뉴델리를 제치고 첸나이로 공장 입지 선정함인구와 수요 밀집지역에서 원거리인프라의 상대적 우위 항구 및 국제공항 이용가능 부품산업 발달 주정부의 적극적인 인센티브 기술인력 풍부 밒 온순한 노동문화첸나이남부항구에서 200Km내륙, 고지가 전기와 용수 불안금융중심, 수요집중, 부품부 불완전한 노동문제인구집중, 항구캘커타동부내륙(항구이용 불가) 용수 및 전기 부족수도권(인도 및 수요집중) 주정부의 적극적인 인센티브 제공뉴델리북부단점장점거점도시지역인도 주요 지역 입지 요인 비교현대 자동차의 '유통 전략'2)지역 판매망과 유통 경로 확보①지역 판매망 구축 → 인도의 동서남북 4개의 지역거점을 세우고 이를 중심으로 자동차의 판매가 이루어 지도록함.②메가 딜러 방식 채택 → 거점별로 비교적 규모가 큰 딜러를 중심저긍로 육성해 나가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③딜러 모집방식 → 판매 능력이 있는 사람을 딜러로 선정 젊고, 열정적이고, 보다 참신하게 적극적으로 고객 서비스를 만들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자 함 : 딜러간 경쟁 치열현대자동차 인도시장진출의 4P ?(4)Promotion(촉진)전략진출당시 인지도 경쟁사에 비해 낮은 편 제품경쟁력과 가격 경쟁력의 확보이상으로 효과적인 판매촉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판매촉진 방법중 PR과 광고로 나누어 보자!판매 촉진 전략 “ PR” 전략1)PR전략인도경제,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는 기업차원의 이미지각종사회활동 : 기부행사, 의료봉사활동, 학교지원 환경보호활동 실시 → 환경과 공익을 생각하는 기업이미지 창출첫번째신기술과 고품질의 이미지최신기술을 적용한 우수한 품질을 지닌 제품생산판매 촉진 전략 “ PR” 전략두 번째세 번째고객과의 관계증진, 정직. 신뢰.투명의 경영 이미지소비자 위주의 사고방식 Delivery Time Tag True Friendship 프로그램현대 자동차의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현대 자동차의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여름동안 에어컨디셔너, 정비 캠페인 몬순 대비 정비 캠페인, 공해 체크 캠페인서비스 프로그램더러움 방지 매트제공, Delivery time tag, “we advice” “get more 포스터기타 사항Mile Smile rally, Hunt on wheels rally, 고객미팅, 이 달의 럭키현대인(딜러대상), Face to face 프로그램고객과의 관계정립활동연료절감객 불만사항을 담은 뉴스레터 발송, 자동차 부품 정품사용 교육, True Friendship 프로그램고객 교육 프로그램서비스 상기 카드, 상트로와 엑센트의 구입 기념일 카드, 긴급구조 서비스 스티커Customer Follow-up 프로그램판매 촉진 전략 “ 광고” 전략현대자동차 광고의 초점은?현대자동차 기업과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 향상초기광고에 예산 집중적으로 투자 제품력을 강조하는 기존의 방식을 탈피해 흥미유발형 스타 마케팅판매 촉진 전략 “ 광고” 전략광고효과 : 짧은 시간에 인지도의 급격한 향상판매 촉진 전략 “ 광고” 전략인도 상트로 TV – CM판매 촉진 전략 “ 광고” 전략인도 엑센트 TV – CM향후 과제(1)성장과정 HMI는 1988년 양산 이후 32개월만에 자동차 생산 32만대 돌파 , 예상보다 빨리 흑자경영달성인도 공장 프로젝트를 위한 선발대 파견 HMI 설립 공장 기공식 공장완공 및 상트로 시험차 생산 상트로 신차 발표 및 판매 개시 액센트 신차 발표 및 판매 개시 수출개시(알제리에 상트로760대 수출) 20만대 생산 돌파 (양산후 32만대)1996.1 1996.5 1996.12 1998.5 1998.10 1999.10 2000.7 2001.6내용연도향후 과제(2)새로운 시장 개척프리미엄 고급차 시장성장 가능성과 시장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중형급과 최고급 승요차 사이 틈새시장에 소나타 투입, 고급차 시장을 개척, 향후 발생될 잠재 수요층 선점해 나감소비자에게 기술력과 품질에 대한 믿음, 전체적인 이미지 상승효과향후 과제HMI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①시장규모가 적은 상태에서 경쟁업체들의 대거 진출로 공급과잉이 우려②안정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차종의 지속적인 공급, 현지 경영체재 확립, 생산규모의 확장 필요현대 자동차의 인도시장진출 성공현대 자동차 인도시장 진출의 성공의 열쇠는?인도인들을 위한 차를 만들고, 그들의 삶에 여유와 풍유를 가져다 주고, 인도 의 기업으로서 인도와 하나가 되는 전략감 사 합
    리포트 | 3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2.25
  • [경영] 현대자동차 미국시장 진출
    현대자동차 미국시장 진출Contents1.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 진입 과정 2.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에서의 성과 - Excel - ELANTRA - Santa Fe ... - SONATA 3. 미국 시장에서 현대자동차의 당면 과제 4. 세계 5대 자동차 회사 진입의 목표 - 국내 시장의 역할 - 미국 시장의 역할 5. 세계 5대 자동차 회사로 진입하기 위한 과제 ... 첨부1] 이미지 향상의 사례 첨부2] 현대자동차 미국시장 판매, 점유율 첨부3] 현대자동차 미국시장 차종별 판매1.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 진입 과정미국시장 진입 과정▒ 포니
    리포트 | 1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5.02.21
  • [경영전략] 현대자동차의 글로벌 전략
    *All right reserved kihyun, Kim (2004)현대자동차의 GT-5 도약을 위한 경쟁전략Table of ContentsIntroduction of HYUNDAIMarket AnalysisAnalysis of HYUNDAIApproach to StrategyStrategic ProposalConclusion123456Introduction of HYUNDAI1234561. 현대자동차 소개Introduction of HYUNDAI친애근면검소사훈2010년까지 500만대 이상의 차량을 판매하는 세계 5대 자동차 메이커로 도약하는 기반을 구축.1현대·기아차는 2003년도에 335만대 판매와 매출액 47조원을 달성하며, 그룹 전체 매출액 65조원을 달성2현대자동차그룹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꿔온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현대정신을 발휘경영 목표• 상시 수익경영 체제 구축 • 목표달성을 위한 수익 극대화 • 세계적 기준의 업무 투명성 확보 • 저비용 체제 확립 및 미래 지향적 투자 확대 • 경쟁력있는 노사관계의 정립 • 직원 삶의 질 향상 • 일하기 좋은 직장 환경 조성• 해외 생산기지의 글로벌 거점화 • 핵심 인재 및 글로벌 전문가 육성 • 상품 부가가치 개선을 위한 브랜드력 향상• 세계 기업 시민 역할 수행 • 환경 친화 경영체제 기반 구축 • 전 사원 윤리 의식의 함양 및 실천글로벌 경영수익 경영사회적 책임경영방침1234562. 한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현대자동차Introduction of HYUNDAI60년대2000년~현재70년대90년대80년대KD 조립단계추격의 최종단계독자모델 개발단계양산/수출 진입단계고유모델 개발단계자동차 선진국 도약자동차 공업 종합 육성 계획 현대,기아,쌍용 아세아 회사설립현대 첫 고유모델 '포니'개발 자동차 공업 합리 화 조치 발표합리화 조치 해제 로 수출 전략지인 미국을 비롯, 세계 시장 진출의 발판 마련기술의 자립화와 산업구조 고도화로 독자적 생산 96년 세계 5위 생산대국 IMF로 내수시장 붕괴미국시장에서의 지속적인 호조nment Analysis – 『Domestic Market』Market Analysis국내 자동차 산업은 65년 3천대에 불과 했던 생산량을 40여년이 지난 현재 연 320만대로 끌어올렸으며 연 500만대에 육박하는 생산능력을 보유함으로써 이제 명실공히 국내뿐 아니라 세계 어디에서나 인정받는 생산 5위의 자동차 강국으로써의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자동차를 독자 개발 할 수 있는 나라는 세계에서 10여 개국에 불과하고, 이 가운데 선진국을 제외하고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다. 그러나 세계 경제가 깊은 불황의 골을 벗어나 경기호황의 조짐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장의 여건은 정치적,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여전히 침체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2134561. Macro Environment Analysis – 『Domestic Market』Market Analysis올 들어 생활 형편과 체감 경기가 작년보다 악화됐고 앞으로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세 미만의 청년층 고용전망도 3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전국 30개 도시 2500가구를 대상으로 '1ㆍ4분기 소비자동향 조사' 를 한 결과 현재 생활 형편을 6개월 전과 비교하는 생활 형편 소비자동향지수( CSI)는 73으로 작년 4분기의 75보다 더 떨어졌다고 24일 밝혔다. 앞으로 6개월 간의 생활 형편을 전망하는 지수도 84로 전분기의 85보다 낮아져 미래를 암울 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움츠러든 소비자들의 심리는 경제를 더욱 나쁘게 할 수 있어 경기회복 을 꾀하는 정부 정책에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CSI가 100 이상이면 생 활 형편이 나아진 것으로 보는 소비자가 많고 100 이하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또한 6개월 이내에 승용차 구매 계획이 있는 가계는 전체의 5%로 전분기의 6%에 비 해 낮아졌다.소비자 체감 경기 회복 지연소비자 체감 경기가 악화되고 있지만 고소득 층의 소비는 증가하고 있다. 내수부진과 호조세를 보였고 기타 지역에서도 동유럽과 아프리카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기 때문이다.북미,서유럽 시장 수요 정체 북 미 : 1,833만대 → 1,868만대 (+1.9%) 서유럽 : 1,560만대 → 1,564만대 (+0.3%)*2134561. What is Key-Issue in “Micro Environment ”Market Analysis해외 신흥시장의 부상 및 수출 호조국내 수입차 시장의 M/S 증가SUV 차량의 수요 증가OneTwoThree*2134563. Competitor AnalysisMarket AnalysisGM은 자동차를 개발, 생산, 판매하는 세계 최대의 자동차기업이다. 1908년에 설립된 GM은 사업부제와 소형차에서 고급 대형차에 이르는 승용차 모델의 풀라인업 및 매년 스타일 변경 등의 혁신을 도입하여 1931년 이후 미국 시장에서 줄곧 시장 점유율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세계 200여 국가에서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고 30여 국가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다. 전세계 사업장에서 고용하는 종업원 수는 약 37만 2천명에 달하고 있다. GM은 2000년에 약 8백 75만대의 자동차를 판매, 세계 시장의 15.1%를 차지 하였고 1천 8백 46억 달러의 매출과 44.5억 달러의 이익을 올렸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에 대응하여 신 사업부인 e-GM을 설립, 전통산업인 자동차 산업에 디지털 기술을 도입,활용하는 노력을 선도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경영전략 GM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세계자동차산업에서 살아남기 위해 '크고 빠른' 기업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수 합병과 제휴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인터넷 비즈니스를 활용하여 소비자 기호 파악과 의사결정이 빠른 기업이 되고자 하고 있다. 세계시장 점유율을 15%에서 20%로 끌어올리고 매출액 순이익률을 3.4%에서 5%로 인상하는 것을 향후 주요 경영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우선 세계적인 규모의 구조조정 단행을 발표하고 북미와 유럽에서 종업원 의 탈환을 위해 총력을 모으고 있다.*2134563. Competitor AnalysisMarket Analysis메이커 별 시장점유율(자료 :『자동차공업협회』)*2134561. What is Key-Issue in “Competitor Analysis”Market Analysis쌍용자동차의 적극적 SUV시장 공략르노 삼성의 SUV차량 및 SM7 출시 계획일본 자동차 진입으로 외제차 시장 경쟁 심화OneTwoThree*213456Market AnalysisSummary of Key-IssueGlobal Market■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위협 ■ 세계 자동차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른 중국시장 ■ 첨단기술의 및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이 미래 자동차 산업의 성장동력Domestic Market■ 소비자 체감경기 악화 및 양극화 현상 ■ 한일 FTA 체결 전망으로 인한 한국 자동차업계의 위협 ■ 2005년 디젤 승용차 허용과 디젤 승용차 시장의 업체간 경쟁 심화Supply Demand■ SUV 차량의 수요 증가 ■ 국내 수입차 시장의 M/S 증가 ■ 해외 신흥시장의 부상 및 수출 호조Competitor■ 일본 자동차 진입으로 외제차 시장 경쟁 심화 ■ 르노삼성의 SUV차량 및 SM7 출시 계획 ■ 쌍용 자동차의 적극적 SUV시장 공략*312456Analysis of HYUNDAI*3124561. 현대자동차 현황Analysis of HYUNDAI2003년도 판매현황*3124561. 현대자동차 현황Analysis of HYUNDAI매출 분석판매대수/제품 Mix 효과+268.8(+1.09%)■ 판매대수 : -4.2% ■ 내수 및 북미 수출 제품 Mix개선환율/가격 효과+132.7(+0.54%)■ 원-달라 환율 강세 : -4.4% ■ 원-유로 환율 약세 : 15.2%*3124561. 현대자동차 현황Analysis of HYUNDAI제품믹스지역별 수출비중북미유럽기타2002200351.5%50.9%27.1%21.4%28.5%20.6%*3124561. 현대자동차 - 소비양극화 현상으로 최근 수요 감소 ■ 경쟁의 강도 - 가장 많은 모델이 경쟁 - 경쟁이 매우 치열M/S 추이*413256Q1. 환경 변화에 따른 각 Segment 별 시장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Approach to Strategy대 형 차S U V■ 특성 - 주5일 근무제 확산으로 수요 증가 - 전체 부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사업부문 비중 확대 ■ 성장성 - 성장율이 가장 높음 - 시장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 ■ 경쟁의 강도 - 쌍용, 현대, 기아의 3파전, 경쟁 치열■ 특성 - 다양한 모델 출시로 시장의 규모가 커짐 - 수입차의 증가와 고급승용차 증가 - 일본 자동차 진입 ■ 성장성 - IMF이후 괄목할만한 성장 ■ 경쟁의 강도 - 수입차M/S의 증가로 경쟁 치열M/S 추이M/S 추이*413256Q2. 현대-기아의 효율적 관계가 이루어지고 있는가?Approach to StrategyCannibalization 가능성내수 대형차 메이커별 M/S 추이오 피 러 스 출시■ 기아자동차의 오피러스 출시 후 현대자동차의 M/S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또한 신차 효과 후 오피러스의 점유율이 낮아지면서 다시 현대자동차의 점유율이 상승하였다. ▶ 기아자동차의 오피러스가 현대자동차의 에쿠스, 그렌저와 서로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의 상대 점유율을 빼앗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대-기아자동차의 Cannibalization이 일어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413256Q2. 현대-기아의 효율적 관계가 이루어지고 있는가?Approach to StrategyCannibalization 가능성내수 소형차 메이커별 M/S 추이내수 SUV 메이커별 M/S 추이■ 기아자동차와 현대자동차와의 점유율의 그래프는 반대 모양을 보이고 있다. 다른 경쟁업체와의 M/S 추이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만 업계의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현대-기아의 M/S의 상반된 모습이 확실히 보여지고 있다. ■ 대형차 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Segment에서 현대차ow}
    리포트 | 82페이지 | 4,500원 | 등록일 2005.05.28
  • [경영]현대차 지배구조
    지배구조 - 현대자동차경영학 원론최선 교수님경영정보김대호h*************년 5월 20일1. 기업지배구조의 정의ㅇ 기업지배구조의 본질은 기업을 지배하는 권력(지배권)을 누가 가지며, 기업의 권력구조가 기업의 효율성 및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 사이의 형평성과 이 들의 인센티브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에 있음.-“누가 기업을 지배하는가?- “기업은 무엇을 위하여 존재하는가?- 경영자는 누구에게 책임을 져야 하는가(Accountable to whom)?"ㅇ 개념정의의 예- 기업지배구조란 기업소유주인 주주(principal)가 자신을 대신하여 기업경영을 맏고 있는 경영진(agent)에 대하여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이 내린 기업의 자원분배 결정에 대해 통제를 가하는 것- 넓은 의미에서는 회사의 경영 감독에 관한 제도(the system by which companies are directed and controlled : 英國 Cadbury 위원회)※ 경영자지배(Management Control) : 전문경영인에 의한 기업지배형태소유자지배(Owner Control) : 대주주에 의한 기업지배형태ㅇ 우리나라처럼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기업을 누가 통제하는가의 문제로 정의하는 것이 적절- 기업의 사장과 주요 의사결정자는 누가 임면하는가, 기업의 소유권자는 누구인가?- 최고 경영자 및 주요 의사결정자를 선임하는 사람들은 그 선임에 대해 어떤책임을 지는가?- 소유권자 외에 누가 어떻게 주요 의사결정자를 견제하는가?2. 현대차 사례를 통해본 우리나라 기업 지배 구조의 문제점현대 계동 사옥에는 구내 이발소가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직원들은 좀처럼 이 이발소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곳 이용사 중 1명이 수십년간 정주영 전 명예회장의 머리를 다듬어준 전속 이용사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이발소는 다소 촌스러운 스타일을 고수하고 있어 더 인기가 없다. 이곳 이용사 4명이 대주주의 용모 개선 외에 기업가치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는 의 상위 대기업이 대부분 재벌 계열사라는 점에서 현대차의 지배구조이슈와 많은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기업지배권이 총수 1인의 수중에 있는 상황하에서 경영이 이루어지고 소유경영의 분리나 전문독립경영의 가능성이 배제되며, 총수 1인의 독단에 의한 경영, 무리한 확장, 내부거래를 통한 한계계열사 보조가 그룹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 시킨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우리나라 대기업 지배구조를 지분 차원에서 문제삼는 시각은 소유?지배권의 집중, 오너경영, 선단식의 다각화경영 등이 財閥 非效率의 원인이라고 파악 하고 소유분산, 소유?경영의 분리, 전문독립경영이 대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한편 이번 현대차 경우와 같이 비리의 차원에서 지배구조를 문제삼는 시각도 있다. 소유집중이 분배적 형평을 저해하고, 총수의 전횡이 가능한 구조하에서 기업경 영에 대한 외부감시m 견제 기능등이 저하되어 각종 비리가 방치되고 있는 경우이다.? 최근 현대차 사태의 원인이 바로 이러한 원인에 해당한다.(2) 우리나라 지배구조의 문제점현대차등 여러 대기업의 경우등, 우리나라 기업 지배구조의 진정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고 평가된다.① 지배대주주의 남용행위 : 경제이론이 지적하는 소유?지배권집중의 가장 뚜렷한 폐해는 지배대주주가 추구하는 이익이 여타의 주주, 종업원, 채권자 등이 추구하는 이익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해상충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대리인비용이다. 지배대주주는 절대적 지배권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富를 재분배 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주주, 종업원, 채권자의 몫을 빼앗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지배대주주의 남용행위가 야기하는 문제는 세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첫째, 대주주가 외부주주, 종업원, 채권자의 몫을 직접 빼앗는 경우 (outright theft), 둘째, 대주주가 이윤극대화와 괴리된 사적인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비효율을 야기하는 경우, 셋째, 기업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당한 몫을 분배하지 않음으로써 이들의 인센티브를 왜곡하는 경우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리한 조건을 향유함으로써 회사에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 등).② 기업지배에 있어서 채권자의 역할 미흡 : 대기업 자기자본비율을 20%내외라고 볼 때 (1996년 30대 재벌의 자기자본비율은 18.2%), 나머지 80%의 자금을 제공한 채권자가 이자만 받을 뿐 평소 기업경영을 감시, 견제하지 못하고 기업지배에서 배제되어 있다는 사실 때문에 기업투자의 신중함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다.* 借入金融(debt financing)은 그 자체가 항상 문제인 것은 아니지만, 차입으로 재무구조가 취약한 만큼 투자의 신중함이 필요한데, 자금을 제공한 채권자에 의하여 경영이 적절히 견제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 채권자는 본질적으로 주주에 앞선 권리를 갖고 있으며, 또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계약이 채권자의 권리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 교과서적인 해석이지만, 관치금융하에서 채권자의 이러한 기능은 매우 약했다.③ 기업비리 : 기업 자체의 부패, 정부-기업관계에서 발생하는 부패 등 기업이 우리 사회의 각종 부조리의 중심에 위치하여 결국 기업의 자유와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국민 일반의 지지가 약화되고 부에 대한 사회적 존경이 없는 천민자본주의가 지속되어 한국 자본주의의 윤리적 기반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기업비리를 문제삼는 시각이 과장되어 소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기업윤리를 강조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비리는 그 자체가 자본주의의 건전성을 해치기 때문에 문제인 것이며,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갖느냐 여부는 주주자본 주의와 이해관계자자본주의 사이의 선택과 관련된 또다른 이슈이다.④ 그룹총수와 기조실의 법적 책임 결여 : 총수와 기조실이 사실상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면서도 계열사의 불법행위나 잘못된 경영으로 인한 주주, 채권 자의 손실에 대하여 책임을 다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지배대주주의 남용행위 문제와 깊이 관련).* 사실상의 절대적 지배권력을 행사하면서도 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 상황은 형평과 효율의권하에서 기업조직의 자유를 어느 범위까지 인정하느냐 하는 이슈에 부딪치게 된다.⑤ 기업경영의 투명성 결여와 외부감시기능 미흡 : 이상에서 지배 구조의 문제로 적시한 지배대주주의 남용행위, 채권자의 역할 부재, 기업비리 등의 문제는 기본적으로 기업경영이 폐쇄적이고 투명성이 낮으며 그만큼 외부로부터의 감시기능이 미약하다는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경영투명성과 외부감시기능이 미흡하기 때문에 소수의 내부인사만이 기업경영의 실상을 알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상태가 파산위기에 이르기 직전까지는 경보장치가 작동할 수 없고 소위 악성루머가 기업의 정상적인 금융을 저해하는 문제를 자초하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⑥ 비효율적 경영에 대한 법률장치의 부족 : 오너경영이든 전문경영이든, 기업이 비효율적으로 경영되고 있을 때 적시에 그 책임을 물어 퇴장시키고 효율적 경영으로 대체하게 하는 메카니즘이 없으며 모든 결정이 총수 1인의 손에만 의존함으로써 내부, 외부의 규율장치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사회, 주주총회, 감사 등 모든 내부통제장치가 지배대주주의 통제하에 있으므로 경영을 규율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소수주주의 대표소송제도, 기업지배권시장에서의 M& A위협 등이 경영을 규율하는 유력한 장치이나, 이제 갓 시작하는 단계에서 아직도 그 규율효과가 미흡하다.※ 특히 기업지배권시장을 발전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으로 경영되거나 부실화된 기업의 퇴출을 촉진하여 산업효율성을 제고하는 중요한 정책이 된 다.⑦ 지배권 세습 : 소유가 집중된 구조하에서 때로는 탈법, 불법적인 방법으로 기업지배권의 세습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지배권의 세습에 따라 2세, 3세 회장이 출현하고 있지만, 이들이 창업회장 만큼 企業家能力(entrepreneurship)을 갖고 있는지 의문시된다.3. 우리나라 상황에서 적합한 지배구조 및 과제ㅇ 기업지배구조의 국제비교구분한 국미 국일 본독 일영 국프랑스권력모델집중형집중형분산공유형분산공유형집중형분산공유형최고권력오너경영자경영자경영자경영자경영자경영자권le- M&A에 의한 경영자견제- 은행의 역할이 중요(은행의 이사회 참여/주요 정책결정간여/임원선임 등)- M&A 미약- 집단상호견제(Horizonal control)-계열기업간 묵시적계약-주거래은행의 기업감시 역할 수행이사회구성- 사외이사제도 의무- 비례대표에 의한 소액주주의 이사회참여- 이원적 이사회(감독이사회의 경영 감시/경영 이사회의 실무담당)- 이사회 기능 취약- 사내 이사가 지배적대은행관계- 은행과 산업분리- 은행에 의한 산업지배- 산업과 금융간 긴밀한 협조 관계평가- 자본시장에 의한 효율적 지원배분- 경영근시성에 따른 장기전략 및 투자결여- 견제/균형원리에 충실- 경영권 안정- 유연성 부족- 금융자원 배분의 비효율- 주주의 이익경시 - 경영권 안정전망- 기관 투자가의 역할 제고- 이사회의 독립성 강화- 은행의 지배력 견재- 지주회사제도 부활- 기업인수시장 태동ㅇ 이사회모델의 국제비교국 가CEO와 Chairman의 겸임 여부이사회 구성의 특징미국, 캐나다, 프랑스, 스위스Ch/CEO9~12 NEDs, 소수 Execs미국, 스위스 일부Ch + CEO9~12 NEDs, 소수 Execs영국 (Ⅰ)Ch/CEO5 Execs영국 (Ⅱ)Ch/CEO 혹은 Ch + CEO4 Execs, 5 NEDs독일, 핀란드, 네델란드감독이사회 : Ch9~12 NEDs, 9~12 Labor경영이사회 : CEO4 Execs일 본Ch/CEO 혹은 Ch + CEO10~20 Execs, 일부기업 소수 NEDs한 국Ch/CEOExecs주 : 1. 각국의 이사회 유형은 가장 보편적인 prototype을 제시할 뿐, 모든 기업에 적용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5.30
  • [자소서]현대 자동차 합격 자소서-2007년 하반기
    현대자동차자기소개: 본인의 개성에 맞게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술 (10줄로 제한)‘학생, 여기서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 어디 있나?’꼭 사람들은 친구 여럿과 함께 걸어가도 저 ... 지원동기: 입사 지원동기 및 입사 후 포부를 기술(10줄로 제한)첫째, 자동차 산업은 국가의 성장엔진으로서 을 합니다. 그 중 현대자동차는 신 영역을 개척하며 국가를 발전시킬 성장 ... 동력의 근원지를 발굴 하는 곳입니다. 현대 자동차 만의 ‘ 고객을 위한 혁신' 을 목표로 지속적인 글로벌 경영체제 구축과 품질 향상으로 국가의 튼튼한 심장이 되는 것입니다. 이
    자기소개서 | 2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8.02.07
  • `MASSTIGE BRAND로의 도약을 통한 BRAND POWER강화 전략` (현대자동차 공모전 장려상 수상작)
    고객들이 HYUNDAI차에 대해 갖는 대다수의 불만은 "가격"으로부터 비롯된다. 고객들이 HYUNDAI에서 출시되는 차들의 가격에 대해 전반적인 불만을 갖는 이유는, 기존의 HYUNDAI차가 갖고 있던 경제적인 가격에 대한 인식이 강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이전에 출시된 현대자동차 중 현재 운행되고 있는 노후차량은 약 216만대. 이는 현재 등록된 현대자동차 615만대 중 약1/3을 차지하는 수이다. 고품격, 기술력, 디자인 등 여러요인들의 개선을 통해 이러한 Image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고객들의 머리 속에 있는 기존 Image를 불식시키기 위한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재 HYUNDAI가 추구하는 Brand Image와 상충되는, 과거HYUNDAI의 잔상이 남아 있는 old-HYUNDAI 자동차들을 제거하여 Brand Image 일관성을 높이고 고객들의 머리 속에 추구하고자 하는 new-HYUNDAI Image를 새롭게 각인 시키고자 한다.
    리포트 | 2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10.05
  • [경영전략] 현대자동차의 수직적 통합
    1. 현대자동차가 부품공급업체들과의 협력관계에 있어 앞으로 취해야 할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논의해 보자.현재 현대자동차의 협력업체는 1차 공곱회사가 366업체, 2차 공급회사가 2,200업체 그리고 부품외의 상품 납품업체가 700여개 등 3,300여개에 이르고 있다. 이들 협력업체들은 현대자동차의 수직계열화 전략에 의해 모기업에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이들 협력업체들은 그 규모가 영세하고 자동차산업에 특화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결국 모기업과의 교섭력이 약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또한 예전에는 모기업의 기술력 우위로 일방적인 기술지도와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협력형태가 대부분이었고 이 때문에 협력업체들은 자체 기술축적이 어려웠고 이는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도요타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동차 산업은 2만여개의 부품들이 하나로 합쳐진 제품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경쟁력은 부품경쟁력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도요타의 경우 공급업체를 170여개로 압축시키고 적절한 하청기업관리정책을 구사함으로서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고 이런 경쟁력을 통해 현재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로서 그 위상을 떨치고 있다.현대자동차의 경우에도 과거 일괄적인 생산기술만을 강조하던 것을 최근에는 비용절감과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부품공급업체와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하청기업의 기술개발 방법 중 단독개발이나 모기업의 기술지도에 의한 개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모기업과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가장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현대자동차가 업체별로 기업부설연구소의 설립을 장려한다던지 영세업체들에 대한 지급보증을 한다던지 하는 일련의 활동들도 협력업체와의 관계의 중요성을 크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역시 비용인하와 품질개선이라는 상반된 목표의 달성이다. 이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협력업체와의 마찰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시장이 치열해 지면서 특히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결국 하청업체에 대한 단가인하 요구로 이어지고 이는 영세한 하청업체들에게는 큰 타격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단가인하 요구는 상대적으로 큰 교섭력을 가지고 있는 모기업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납품업체들은 자신들의 기술력 향상과 연구개발등에 투자할 여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결국 업계전반적인 경쟁력 악화로 다가올 것이고 기업으로서는 가장 피해야 할 문제일 것이다.현대자동차는 우선 하청업체들에 대한 상세한 파악이 중요하다. 도요타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부품을 직접 만들어 보고 그 비용구조를 파악함으로서 하청업체의 과도한 가격책정을 막을 수 있고 이는 부품의 가격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하청업체와의 긴밀한 정보 공유와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기술의 공유와 함께 좀더 효율적인 기업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정보 공유와 협력을 통해 유통과 물류 측면에서도 많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모기업은 안정적인 구매망의 확보와 지원으로 하청업체들의 자금난을 해소해 주어야 할 것이다. 현재 시행하고 있는 인터넷 사업은 이런 측면에서 상당히 좋은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대자동차의 입장에서도 점점 고도화해져가는 자동차 부품들에 발맞추어 핵심적인 기술들은 자체에서 개발하고 이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어 하청업체에 대한 교섭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최근의 추세가 모기업과 분리하여 독립하려는 하청업체들이 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업체들에게 연구 기술력 부재로 인한 교섭력 약화는 자칫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전체적인 수익구조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고 모기업의 그런 노력은 하청업체들에 대한 자극수단으로 작용하여 올바른 경쟁체제를 확립할 수 있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 도 있기 때문이다.수직적통합은 한 기업이 모든 수직적 관련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시장에서의 거래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자동차처럼 수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서의 수직적 통합은 매우 중요한 결정인 것이다. 모기업과 하청업체는 결코 다른 길을 가는 것이 아니다. 자신들의 이익창출이라는 공통적인 목표를 향해 가는 것은 당연하지만 분명한 것은 서로 이길 수 있는 WIN WIN'전략의 구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의 정보공유와 각종 지원들을 통해 하청업체들이 기술 혁신을 통한 가격절감 및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서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2. 협력업체의 입장에서 현대자동차와의 교섭력을 증진시키려면 앞으로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가?현재 우리나라의 협력업체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규모의 영세성과 높은 납품의존도이다. 이는 결국 모기업의 교섭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판매 루트가 없기 때문에 가격결정에 대하여 수동적인 입장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얼마전 화제가 되었던 이른바 유통업체들의 횡포 에서도 볼 수 있듯이 거대한 자금력와 구매력을 앞세운 대기업 앞에서 아무런 저항을 하지 못하고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실정이 우리의 협력업체들이다.이런 협력업체들이 교섭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가? 협력업체의 특성상 모기업의 거대한 자본력과 기술력을 앞지를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의 기업이 어느 한부분에는 분명 특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와이퍼를 생산하는 업체의 경우 분명 더 나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와이퍼를 제조한다면 이는 타사에 대한 경쟁우위로 작용할 수 있고 더 넓은 판매루트를 개척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모기업에 대한 교섭력을 강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5.23
  • [국제기업]현대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사례
    ( Hyundai Motor India )▷ 단독투자 - 40만대 규모의 자족형 종합자동차공장을 건설계획- 현대자동차 해외직접투자 역사상 최대 규모인 총 4억 달러를 투자- 총 65만평 ... 3만 7천평)총투자비 457 백만 달러: 투자소요(투자비 393, 운영비 64), 자금조달(자본금 212, 차입금 245)현대자동차 100%년 12만대(1일 3교대 기준): 상트 ... 로 8만대, 액센트 4만대상트로 77.5%, 액센트 59.5%(2001년 7월 기준)총 2,544명(관리직 400, 생산직 2,100, 주재원 44)자료: 현대자동차▷ HMI
    리포트 | 2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6.10.29
  • 현대자동차,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국내시장 No.1 브랜드 현대자동차의 굳건한 이미지 유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제안서 : ‘ 제네시스 ’ 를 중심으로Situation Analysis 시장 분석 Situation ... 르노삼성 쌍용 ( 단위 :%) ( 단위 :%)5.8 % Vs 46 % 수입차의 국내 시장 점유율 5.8% 현대자동차의 국내 시장 점유율 46% ( 기아 포함하면 7.96%) 국내 ... 자동차 시장 내 해외브랜드와 현대자동차간의 시장점유율 [ 출처 : SBS 뉴스 ] Situation Analysis 시장 분석 국내 시장에서 해외브랜드의 점유율은 불과 5.8
    리포트 | 34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2.04.17
  • [노사관계론]현대자동차 노사간 중재
    노사관계론(현대자동차 노사간 중재)목 차Ⅰ. 노동위원회1. 노동위원회 제도의 등장배경………………12. 노동위원회의 성격 및 구성………………13. 노동위원회의 기능………………2Ⅱ ... 노동쟁의 조정절차1. 조정………………52. 중재………………63. 긴급조정………………7Ⅲ 사례. 아시아나 파업부터 중재까지………………8Ⅳ 현대자동차 중재안1. 양자선택적중재 ... 할 수 있고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이나 중재재심 결정에 이의가 있으면 중재재정서 또는 재심결정서를 송달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4. 현대차의 경우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01.02
  • [재무분석] 현대자동차
    다. ( 아는 만큼 보인다.)선정 이유현대자동차는 우리나라의 유수의 기업이다. 우리나라에서 자동차 기업의 선두주자로써 기아, 대우와 더불어 국내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가면서, 더불 ... 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연 혁◎ 기술도입단계 1967. 12. 현대자동차(주)설립 1968. 12. CORTINA 양산 개시 ... 1974. 04. 현대자동차(주) 기업공개 1975. 12. 종합자동차공장 준공◎고유모델 개발단계 1976. 01. PONY 시판 06. 에콰도르 포니수출 1978. 11
    리포트 | 3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3.03.19
  • [기업경영]현대자동차의 새로운 기업경영
    -목 차-Ⅰ. 디지털 시대와 사회 환경-------------------1Ⅱ. 미래사회와 현대자동차---------------------2Ⅲ.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기업 경영--- ... -----------3Ⅳ. 현대자동차의 경영자의 이해-----------------4Ⅴ. 현대자동차와 사회적 책임-------------------7Ⅵ. 기업윤리와 현대자동차 ... 의 사회공헌활동---------10Ⅶ. 기업의 이해관계자------------------------13Ⅷ. 가치관의 대전환--------------------------16Ⅸ. 현대자동차
    리포트 | 2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6.04.16
  • [경영]현대자동차,포드자동차 비교분석
    Ford vs HyundaiAgenda2. Hyundai Ford Analysis3. ConclusionⅠ. About automobile industryⅡ. Ford Hyundai AnalysisⅢ. Financial informationⅣ. conclusionⅠ. ..
    리포트 | 1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2.12
  • 현대자동차와 GM대우자동차, 두산중공업 재무비교
    현대자동차 대차대조표GM대우자동차 대차대조표두산중공업 대차대조표현대자동차 손익계산서GM대우자동차 손익계산서두산중공업 손익계산서? 기업별 재무 비교대차대조표에 의한 재무상태 분석 ... - 현대자동차 VS GM대우자동차 -1. 구성비2. 자기자본비율※현대자동차의 자기자본비율이 61.5%이고 GM대우자동차의 자기자본비율이 35.1%로 현대자동차의 재무구조가 좋은 것 ... 을 볼 수 있다.3. 유동자산에서의 지불능력 ① 유동비율 ① 유동비율② 당좌비율 ② 당좌비율※유동비율에서 보면 현대자동차가 지불능력이 약간 좋지만, 보다 더 엄밀한 의미의 지불 능력
    리포트 | 1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1.04
  • [품질경영] 현대자동차 품질경영
    -현대자동차 품질경영 사례-현대자동차 품질향상추진기◆품질로 세계를 넘는다수출 1000만대 신화를 쏘다현대자동차는 최근 몇 년 사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지난 2000년 현대차 ... 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8조2300억원, 6679억원이었다. 현대차는 2003년에는 25조원대 매출에 1조74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현대차의 이 같은 비약적인 실적 ... 가까이 늘었다.수출이 이처럼 증가한 것은 정몽구 현대ㆍ기아차 회장의 품질경영이 꽃을 피우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현대차그룹 내외부의 평가다. 과거해외시장에서 '싼 차' 라는 이미지
    리포트 | 2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5.05.12
  • 노사분규 개념과 현대자동차의 노사분규 사례와 해결방안
    현대자동차노사분규Ⅰ.노사분규의 개념과 문제점1.노사분규의 개념노사분규는 노동관계에서 생기는 분쟁 일반을 가리킨다. 협의의 노동쟁의 개념은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 간에임금·근로시간·복지·해고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분쟁상태를 말한다.2.노사분규의 문제점○ 노사관계 민주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신자유주의 세계화 편입을 위한 개혁 방안우리나라 노사관계의 개혁이 필요한 근본이유는 먼저 노사관계가 민주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노사관계 개혁 방안은 이점을 간과하고 ‘국제경쟁의 심화’, ‘지식기반경제의 도래’등 노동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여부에 우선적으로 관심이 가 있음. 이는 달리보면 신자유주의 세계화 추세에 따른 세계경제 질서에 맹목적으로 편입을 하기 위한 것에 다름 아니다.○ 노사관계 현실에 대한 왜곡된 인식정부는 우리경제의 국제경쟁력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대기업?공공부문, 강성노조의 전투적 투쟁방식을 들고 있으며 또한 그 때문에 취약근로자의 삶이 더욱 열악해지면서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보고 있음. 그러나 이것은 노사관계 현실을 대단히 심각하게 왜곡하여 인식하고 있는 것이고 전혀 민주적이지 못한 노사관계 현실에서 그나마 대기업노조, 힘있는 노조만이 최소한의 기본적 권리들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마저도 강력한 투쟁이 동반되지 않으면 언제라도 되돌려 지는 상황임. 단지 노동조합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수 천명의 노동자들이 감옥에 갇혀야 하고, 부당해고, 부당징계 등 사용자들의 부당노동행위에 속수 무책 당할 수 밖에 없으며, 그나마 투쟁을 하더라도 용역깡패를 동원하여 폭력적으로 파괴하는 현실에서 힘있는 노조만이 버텨 낼 수 있는 것이다.또,취약노동자들의 삶이 더욱 열악해지고, 격차가 심해 진 것은 대기업노조의 이기적 노동운동때문이 아니라, 기업이 경쟁력 강화를 명분으로 비정규노동자, 이주노동자, 여성노동자, 장애인노동자 등 온갖 차별을 악용하여 노동비용 줄이기 경쟁을 한 때문이다.3.현대자동차 노사분규의 문제점 문제점 및 발생원인○분규를 통한 문제해결방식의 관행화노사간의 문제가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결되기보다는 일단 분규를 거친 후 조정이 되는 기존의 악성적인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개별기업 차원의 교섭에 전체 노사관계의 문제와 부담이 과도하게 전가현대자동차라는 개별기업에서의 교섭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준(국가, 업종, 지역 등)에서 풀어야 할 여러 노사관계의 쟁점과 문제가 전가됨으로 인해 교섭의 원활한 진행에 어려움을 준다.○노사간의 불신의 벽이 높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영참여가 기업의 효과적인 경영활동을 방해할 위험성.많은 이들이 금번 합의에서 노조의 경영참여가 과도하게 보장되어 경영활동이 위축될 것을 우려하고 있으나, 실제로 문제는 경영참여 그 자체가 아니라---노사간의 생산적 파트너십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영참여는 매우 바람직하다.노사간의 불신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경영참여가 보장되고 있다는 점. 이 경우 경영참여는 주로 노조의 경영에 대한 제어와 견제기능이 중심이 되면서 경영활동을 방해할 가능성이 높다.○비정규직 문제의 심각성금번 교섭과정에서 비정규직 처우개선 문제가 주요쟁점이 되었고, 사내하청근로자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비정규직 노조가 구성된 것은 비정규직 문제가 향후 현대자동차 노사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해 주는 것임.○근로자의 회사에 대한 불신과 실리,노동도구주의 인식의 팽배근로자는 여전히 회사를 불신하는 한편 장기적인 이해보다는 당장의 경제적 실리를 확보하는데 높은 관심을 가짐.○ 현장계파조직의 선명성과 주도권 경쟁이 노조의 강성행보를 촉진현대자동차에 결성되어 있는 10개의 현장조직은 노조 및 현장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상호 경쟁관계에 있으며 그 속에서 올해 있을 노조선거는 노조가 교섭 및 쟁의과정에서 더욱 강성행보를 하도록 촉진하였음.Ⅱ.현대사태의 발생과정투쟁을 통한 문제해결을 바람직한 것으로 보는 노동운동의 고식적 관념, 현장계파조직의 선명성과 주도권 경쟁이 노조의 강성행보를 촉진, 분규발생 이전에 대화와 양보에 소극적인 회사의 태도와 중층적 노사관계의 미정립과 노사관계 관련법제도의 미정비(주5일제, 비정규직보호법제 등)로 말미암아 개별기업 노사관계에 과도한 부담을 줬다.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지나친 근로조건 격차, 정규직 인력활용의 경직성과 비정규직의 과도한 유연성, 정규직 중심의 노동운동과 1998년의 고용조정 이후 현대자동차 근로자의 회사에 대한 불신감이 커졌고 장기적 비전보다는 현실적,경제적 이해에 대한 집착(일할 수 있을 때 최대한 많이 벌어두자)이 강해져서 회사의 생산,투자,인사관리와 노사관계에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줘서 있이 현대 자동차의 노사분규가 일어났으며 다음은 전개과정이다.현대자동차 노조는 임금 12만 4,989원 인상(기본급 대비 11.01% 인상), 임금삭감 없는 주 40시간 근무, 경영참가, 비정규직 처우개선 등을 임단협 요구안으로 제시하였다.노조는 단체협약과 관련해 94개의 요구안(단협개정요구 82 + 별도부문요구 12)을 제시했는데, 그 중에서 주40시간, 경영참가(자본이동시 노사공동결정), 비정규직 차별철폐가 3대 핵심요구안 이었다노조는 경영측을 압박하기 위해 6월 20일부터 잔업 및 특근을 거부하고 6월 25일부터는 쟁의행위(부분?전면파업)에 돌입하였으며 전체 조합원 3만8,9117명 가운데 3만5,232명(90.54%)이 참여해 2만1,319명의 찬성(60.54%)으로 쟁의행위를 가결하므로 기존의 쟁의행위 찬성률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치로 쟁의행위에 대한 조합원의 지지가 높았다고 보기 힘들다 .회사는 노사분규로 인한 생산손실액을 1조3,852억(생산대수로는 10만4,895대)으로 추정했다.교섭기간 중 산별노조로의 전환투표가 실시되었으나 부결되었고, 금속노조가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했으며, 사내하청근로자들로 구성된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조가 설립되었다.금속산업연맹과 현대자동차 노조가 상당한 준비와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산별 전환투표가 부결(62% 찬성으로 2/3 획득에 실패)된 것은 기업별 노조체제에서 기득권과 교섭력을 확보하고 있는 대기업 근로자들이 산별 노조의 현실적 유용성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금속산별노조(금속산업연맹 산하의 산별노조)는 100여개 사업장이 참여한 산별교섭에서 임금삭감 없는 주5일제를 도입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해서 주5일근무제에 합의한 사업장 중에 40%가 자동차부품회사들로 이 합의는 현대자동차에서의 주5일제 협상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자동차의 정규직에 비해 근로조건에서 상당한 격차가 있는 사내하청근로자들이 비정규직 독자노조를 설립함. 노조 설립과정에서 현대자동차 노조는 정규직과 함께 비정규노조가 건설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비정규직 독자노조 설립에 반대하여가지고 비정규직, 사내하청근로자 관련협상에 영향을 주었다현대자동차 노사분규가 장기화되며 국민경제에 많은 부담을 주자 정부는 7월 30일 긴급조정권 발동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혀서 노사 양측에 일정한 압박요인으로 작용하였다4월 18일 상견례 이후 28차의 본교섭과 수많은 실무교섭을 진행한 끝에 8월 6일 합의안을 도출함.Ⅲ.현대사태의 영향○1개월 만에 다시 추락한 생산·소비·투자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산업생산과 설비투자 증가율(전년 동월 대비)이 지난 6월 플러스로 반전하고 도·소매 판매 역시 감소세가 둔화돼 경기 회복의 기대를 갖게했다. 그러나 이는 월드컵 축구경기 등으로 생산과 투자가 급감했던 지난해 6월과 비교해서 나타난 ‘반짝 경기’였던 것으로 판명났다.지난달 8.7%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던 산업생산 증감률은 자동차와 섬유제품 등의 생산 감소로 인해 7월에 0.7%로 추락했다. 7월의 0.7%는 올 들어 지난 5월(-0.9) 다음으로 낮은 기록이다.산업생산은 특히 내수가 부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자 제품 출하를 보면 수출은 10.7%로 두 자릿수 증가를 유지한 반면 내수는 지난달 3.8%에서 마이너스 3.4%로 급락했다.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6.23
  • 사례연구 현대자동차 인도시장 진출기
    인도시장에 대한 동향 ∙91년 경제자유화 : 경제자유화 선포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걸친 글로벌기업들의 진출이 이루어지면서 거대자본들의 잠식이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지금도 많은 부분에서 인도시장 속 인도기업들 보다는 외국기업들의 시장 1위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고 있다.(..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1.23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