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으로써 재량권 행사에 대한 통제 및 개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검사는 공소제기에 앞서서 유죄판결을 받을 수 있는 증거가 있는가를 먼저 ... 판단하여야 한다.B. 검사는 유죄판결을 할 수 있는 증거가 있는 경우에 모두 기소할 의무는 없다.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고 공공의 이익과 일치할 경우에는 검사는 증거가 충분한 경우 ... ⓔ 피해자의 증언기피ⓕ 타인의 범행 가담여부ⓖ 다른 관할 구역에서 기소되어 유죄판결을 받을 가능성C. 검사는 기소결정을 함에 있어서 유죄의 확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적 또는
. 부착명령이 가해제된 자가 그 가해제가 취소됨이 없이 잔여 부착명령기간을 경과한 때제21조 (부착명령의 시효) ①피부착명령자는 그 판결이 확정된 후 집행을 받지 아니하고 함께 선고 ... 이 종료 또는 면제된 후 다시 유괴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부착명령을 청구하여야 한다. ③제1항과 제2항의 청구는 공소가 제기된 특정범죄사건의 제1심 판결 선고 전까지 하여야 한다 ... . 제19조 (가해제의 취소 등) ①보호관찰소의 장은 부착명령이 가해제된 자가 특정범죄를 저지르거나 주거이전 상황 등의 보고에 불응하는 등 재범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