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5), 단원마다 서언과 상란(上欄) 및 부록을 두어 안내를 하고, 연습문제를 만들어 학습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체제가 정비된 교과서가 되었다.광복 이전의 국어교재를 살펴보면 갑오경장 ... 있는 시야를 제공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발견 및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 현상을 교육 현상에 나타낸 결과이다. 국어 현상으로 의미 있는 내용과 교육 ... '는 '조선어급한문'이라 하여 한문과와 합쳐 놓았다. 『조선어급한문독본은 1차 '조선교육령'으로 조선어와 한문을 합친 이후, 식민지 언어문화 통치이념에 맞춰 펴낸 최초의 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