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론과 인물성동이론이다. 사실 조선의 성리학 절정기 이전에는 대체로 천인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 주요과제로 연구 경향이 단조로왔다. 그러다가 16세기 중엽 사단칠정논쟁 ... 였다. 이로써 조선 성리학이 무엇보다도 인간 문제, 즉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의 수양문제를 중점적인 연구과제로 삼았던 유학이라는 점이 여실히 증명된다.8)흔히 사단칠정논변은 수세기
있을 것이다.6.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 논변1). 논변의 발단과 전개과정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론)의 전개는 명종 14년 기미년 3월에 고봉이 퇴계에게 보낸 서한에서부터 시작 ... 이황과 기대승의 심성론‘리기사칠논쟁’에 나타난 이황과 기대승 입장의 차이점은 대체로 두 가지로 압축시켜 말할 수 있다. 우선 사단과 칠정을 바라보는 두 사람의 시각과, 본연 ... 의 입장에 따라 리기일원론의 입장을 고수하였다.이러한 견지에서 퇴계와 고봉 두 사람의 사단칠정에 관한 입장 차이는 주희의 리기관을 모두 따른 것이긴 하지만 퇴계는 리기 ‘決是二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