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상함의 정치를 위하여 (For the Politics of Appear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8.10
30P 미리보기
현상함의 정치를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철학 / 36호 / 201 ~ 230페이지
    · 저자명 : 한길석

    초록

    정치의 의미에 대한 논의는 여러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되어 왔다. 신자유주의적 사회 지배 형식에 반대하면서 시장에 대한 국가의 규제적 역할과 정치의 적극적 개입을 강조하는 이들은 이러한 비판적 논의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러나 복지국가 정책의 부활을 주장하는 이런 입장은 정치를 국가 경영과 국민 부양이라는 경제적 관점에 고정시킨다는 한계를 노출한다. 경제주의적 정치 이해는 자유의 상실을 야기할 수 있다. 아렌트와 푸코는 이점을 잘 지적하고 있다. 정치를 자유와 동일시했던 아렌트는 필연성의 정치가 사생활의 자유를 보장하기는 했지만 공적 활동의 자유를 망각하게 하였다고 지적한다. 푸코는 근대국가의 통치성을 분석하면서 근대인의 자유 상실을 비판한다.
    이 글에서 나는 필연성의 정치로 귀결된 근대적 통치 형식을 비판하면서 우리 시대가 추구해야할 해 정치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것이다. 우선 나는 공적 자유와 정치의 관계를 논하면서 필연성의 정치를 비판한 아렌트의 논의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인구의 통치’라는 푸코적 개념을 활용해 근대정치제도가 안전을 핑계로 자유로운 삶의 기회를 훼손하고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정치적 자유의 망각이라는 현대적 상황은 자유주의적 삶의 형태가 뿌리내림으로써 등장한 개인화 현상에 의해 야기된 측면도 있다. 그러나 개인화된 현대인들은 정치적 행위에 부담을 느끼기도 하지만 체계가 자행하는 개인적 생활세계에 대한 부당한 개입에 기성과 상이한 형식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그럼으로써 ‘파편적’ 개인들은 정치적 자아로 새롭게 탄생한다. 나는 이러한 정치적 실천이 ‘현상함의 정치’라는 고대적 정치 전통을 오늘의 사회적 조건 속에서 되살리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가 지향해야 할 정치는 경제적 부의 공정한 재분배로 단순화될 수만은 없다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meaning of politics has been examined critically in several standpoints. Some theorists have understood politics on the point of economics. However, it is possible to result in the loss of freedom, if we continue to understand politics on the point of economics. Arendt and Foucault knew this well. As well known, Arendt pointed critically the politics of necessity made modern people forget the concept of political freedom. Analyzed the modern forms of governmentality, Foucault also did the loss of freedom in modern society.
    In this article, I will criticize the modern form of governmentality and consider what the meaning of the politics is to pursue in our times.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freedom and politics, I will look at Arendt's critique about the politics of necessity. And I try to criticize the modern political system by using the Foucault’s concept of 'the governing of the population'.
    The modern situation as the oblivion of political freedom was caused by the phenomenon of liberal individualization. The liberal individualization made people fragment and this resulted in the political indifference. However, not all individualized modern people give up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on. Some people try to create new forms of political practice from their private daily life. Someone calls it ‘the politics of the private’. Practicing ‘the politics of the private’, the fragmented individuals are newly born as a political self. In my opinion, this political practice has revived the ancient tradition of ‘the politics of appearing’. I would like to assert that we make diverse forms of institution for the political experience of appearing to overcome the rule by the political el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전